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6

        421.
        199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chnological and organisational changes in transport system have introduced new dimension into port system development and inter-port competition. The quality of service now required by the customer is costly and not easily provided by small shipping companies and small por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container shipping may be concentrated by space-sharing arrangements or actual mergers into the hands of a few mega-operators with the investment potential to provide total logistics networks. In order to compete effectively, high load factors will be essential and port concentration inevitable. A fa-voured few ports will become the load centres and other ports will assume a secondary feeder role. In this study, three questions are raised and attempts are made to answer them : (a) what is the new role of ports today ; (b) why should ports be engaged in this new role ; and (c) how can ports play this new role. In short, a modern port should be a service centre and a logistic platform for international trade and transport-a third generation port. Ports, in particular, have to make every effort to be competitive in the cost and quality of services and to make the port a transport and distribution service centre. For most ports, this is not an option but a must ;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survival in this win or lose situation. The best way to win is to maintain a close contact with port users, listen to them, discuss with them, help them and satisfy them. That is port marketing. Starting from the findings of port marketing, it is es-sential to work out appropriate development plans and marketing targets and to improve port competitive-ness. As an alternative method, a port competitiveness model is suggested, which may help port managers to make appropriate improvements.
        423.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쟁결과와 성별이 원인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한 검사도구는 McAuley등이 1989년에 개발한 원인차원척도 질문지를 우리 설정에 맞게 번안한 후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남자 28명과, 여자 20명으로 총 48명이다. 피험자들은 체육수업의 마지막 단계에서 체육교사에 의하여 배드민턴 기능 평가를 받았으며 성적편차 4점을 기준으로 능력별 대진표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대진표에 따라 피험자들은 서울대학교 체육관에서 배드민턴 경기를 하였고, 경기가 끝나는 즉시 승자와 패자로 분류하여 질문지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이원변량 분석의 통게기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결과에 따라 내재성, 안정성, 외적 통제가능성, 내적 통제가능성의 원인지각 차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승자는 패자에 비하여 자신의 결과를 내적이고 안정적인 것으로 원인지각 하였다. 그리고 외적 통제가능하고 내적 통제가능한 것으로 원인지각 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라 외적 통제가능성, 내적 통제가능성의 원인지각 차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자는 여자에 비하여 자신의 결과를 외적 통제불가능하고, 내적 통제가능한 것으로 원인지각 하였다. 셋째, 경쟁결과와 성별에 따라 외적 통제가능성의 원인지각 차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424.
        199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ach`s role and develop the coach`s leadership scal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concept of whole and dynamic leader` s role. Quinn` s Competing Values Instrument (Extended Version) which is composed of 32 items was translated and extended to 64 items in order to represent sport situation. Data were collected for 194 coaches and 210 athletes from 8 sport events. In order to extract the factors with coach` s rol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64 items. From the analysis, six factors of coach` s role are creator, broker, goal setting and director, coordinator, monitor, and support and mentor` s role. 23 items validity were performed by item-to-total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was compu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Coach` s competing values leadership scale composed of 6 role factors and 23 items was developed and criteria for constructing coach` s leadership profile.
        425.
        198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주요 품종별 주내 및 주간경쟁반응과 주내에서 주요 형질의 경간 변이 정도를 구분하고 주요 반응 태상별 재식밀도 반응을 구명하여 다수확 재배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내 및 주간경쟁지수가 다같이 낮은 품종은 팔공벼, 밀양 83호, 밀양 90호, 상풍벼였고, 주내 및 주간경쟁지수가 다같이 큰 품종은 풍산벼, 삼강벼, 원풍벼, 태백벼, 동진벼 등이었다. 2. 주내 가 경간 주요 형질의 병이는 형질에 따라 품종별 반응이 약간 달랐으나, 대체로 각 형질의 변이계수 상호간에는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쟁지수가 높은 품종이 주내에서 주요 형질의 경간 변이계수가 낮은 경향이었다. 3. 경쟁지수와 수량과의 관계에서 주내 경쟁지수가 증가하면 일본형 품종들과, 통일형 품종중에서 소얼성인 밀양 83호 는 수량이 증가하였으나, 풍산벼와 남영벼는 일정한 형향이 없었다. 그러나 전품종 다같이 주간 및 전체 경쟁지수가 증가하면 쌀수량이 증가하였다. 4. 경쟁지수 증가에 따른 쌀수량의 증가 정도는 경쟁지수가 낮았던 팔공벼, 밀양 83호 등에서 크게 나타났다.
        426.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주요 형질의 재식밀도 반응을 구명하여 다수확 재배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다수형 품종(인도형/일본형)인 삼강벼와 일본형 품종인 낙동벼를 공시하여 재식거리를 10 10cm, 20 20cm, 30 30cm, 40 40cm로 하고, 각 재식거리별 주당본수를 1, 3, 5, 7본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밀식할 수록, 주당본수가 많을수록 빨랐는데 재식거리 10 10cm에 주당본수 7본은 40 40cm 1본보다 삼강벼는 5일, 낙동벼는 4일이 빨랐다. 2. m2 당 수수 및 영화수, 총건물중, 수량은 일반적으로 밀식할 수록, 주당본수가 많을 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나, 총건물중은 낙동벼의 경우 재식거리 10 10cm, 주당본수 3본에서 최대에 달하여 그 이상에서는 증가되지 않았다. 3. 수확지수는 밀식보다 소식이 높았고, 주당본수별로는 밀식에서는 본수가 많은 쪽이, 소식에서는 주당본수간 차이가 없었다. 4. 광합성 효율은 낙동벼보다 삼강벼가 높았고, 재식거리별로는 20 20cm에서 높았다. 재식거리별 주당본수에 따른 영향은 삼측벼의 경우 10 10cm에서는 5본, 20 20cm에서는 7본에서 각각 높았고, 그 이상 재식거리에서는 주당본수간 차이가 없었다. 낙동벼는 재식거리 10 10cm에서는 주당본수 1본에서 높았으나, 그 이상 재식거리에서는 주당본수가 증가할 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재식밀도에 따른 전체 경쟁반응은 낙동벼보다삼강벼가, 밀식이 소식보다. 주당본수가 증가할 수록 높았고, 주내 및 주간 경쟁반응의 상호관계는 삼강벼의 경우 재식거리 30 30cm에 주당본수 3본까지, 낙동벼는 재식거리 20 20cm까지는 주간 경쟁반응이 높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오히려 주내 경쟁반응이 높았다. 6. 경쟁지수와 수량과의 상관관계는 두품종 다같이 종합 경쟁지수와는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으나, 주간경쟁지수와는 삼강벼는 직선적인 관계식이, 낙동벼와는 지수곡선적인 관계가 성립하였고, 주내 경쟁지수와는 낙동벼만 유의상관이 있었고, 삼강벼는 유의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삼강벼와 낙동벼는 경합지수가 2.1~2.3정도까지 증가할수록 수량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경쟁지수 증가면에 있어서는 삼강벼는 주간거리에 의해, 낙동벼는 주간거리와 주당본수에 의한 조절이 바람직 하였다.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