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ge is ceremonial and legendary space unlike the ordinary world. Performance is not simply scrip-staged, but spatial art based on tempo that transmits extreme condition. The stage art is a visual art combined with stage settings, lighting, customs and the like. I exemplify the stage of Middle Age and Renaissance in the history of the art of public performance and so I review that what meditative functions each stage perform and that as what pattern of media it can be conceptualized. In this thesis, I divide the places of public performance Into the spaces of proscenium and polygon and also set up the concepts of hot and cool that McLuhan presents for each space. S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quantity of information, which is communication following the patterns of spaces. The basis of public performance might be the communication between co-actors and audiences. Since the sense of the art of public performance is the ar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eaning ba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co-actors, it is not a confirmed and fixed one, but rather a reflexive one that can be created and changed continuously. Therefore, audiences should be regarded as the subjects, who are making the art of public performance with co-actors.
아산만에서 크기별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인 변동과 크기 구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인자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3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매월 5개의 조사 정점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엽록소 α 농도에 대해서 크기가 큰 세포들(소형 식물플랑크톤, >20 μm)은 크기가 작은 세포들(미소식물플랑크톤, 3~20μ m; 초미세 식물플랑크톤, <3μ m)보다 더
본 논문에서는 동적하중 재하 시 공간 강뼈대 구조물의 비선형 시간이력 해석에 대한 간편하고 효율적인 수치해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뼈대의 강성행렬에 안정함수를 적용함으로서 기하학적 비선형성 즉 및 효과를 고려하였다. 접선계수 개념 및 New Orbison 완전 소성면에 기초한 연화소성힌지를 적용하여 축방항력에 의한 부재의 점진적 항복 및 휨에 의한 부재의 부분 소성화를 고려하였다. 증분형태로 정식화된 뼈대 구조의 동적평형방정식의 해를 수치적으로 구하기 위하여 적분형태의 평균가속도법을 사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검증 예제에 대하여 보요소 모델을 사용한 ABAQUS 및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한 해석결과를 비교함으로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정밀도와 해석시간에 대한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experience and expression in the architecture of Louis I. Kahn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of entrance, court and window/wall of his public buildings. In the course of composition, Kahn defined the entrance, court and window/wall as an connecting elements and elements of boundary. The characters revealed by these elements or rooms give the clue to insight Kahn's thought of rela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 or inner and outer space. Following are the characters of these elements. First, a entrance reveals the fact that inner space separates from outer space by connecting these two space and giving the value to inner space as the entity and totality like outer space. The entrance gives its ontological being to human subjects not by vision but experience and expression which is the essence of commonness, that is, Silence. Kahn made the possibility of activity amplify in this common and silent space. Second, this entrance is connected with wide and huge central space not individual spaces of interior space. This extreme procedure of entering makes human subject feel sublime of intoner space. And the central spaces becomes another exterior or another world in the inner world of architecture by the lights from above and by having the boundary wall which shows same pattern of exterior wall. Third, Kahn regarded a window as the giver of lights not as the medium of vision connecting inner space with outer. He tried to connect interior with exterior through the being and character of the light expressed in the interior. And in his buildings, interior space is connected with exterior by expressing the purpose of building, composition of inner space, structural truth and construction facts through the Form, a pattern of wall, details and ornamental joints. By practicing this thoughts in the real buildings, Kahn tried to gave aura to both the interior space and entity of architecture which is regarded as micro universe like flowers, rocks and human beings.
We are so used to the concept of the term 'space' that we do not question its conceptual validity.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notion of space prevailing all over the world, is not a universal concept that can be applicable to all architectures of the world, but is a particular concept that is generated from the Western way of thinking. This paper alm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idea of space as it is originated in the tradition of the West, and, as an alternative view of space, trie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view of space perceived in the tradition of the Eastern architecture. Comparison of the two views, that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ir meaning in the future of architecture, is another task to discuss in this paper. To be able to clarify the meaning of space in East Asian tradition, a set of new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of space was invited. They are ; 1. sky-earth(天地); insisting that the notion of space should be replaced within the context of sky, which is one half of sky-earth totality 2. energy of the air (空氣), space is not empty part inside of a building, but is a dynamic condition of air that is a part of the sky which always exist in form of energy 3. place(자리): instead of space, which, basically. is a man-made concept, idea of place is necessary, which include not only space but also earth Such concept of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otion of space of the West, is meaningful not only to identify the idea of space in the East, but also to be able to contribute for more dynamic, varied, and balanced understanding of space.
공간 해상도 1m 이하의 고해상도 원격 탐사 영상의 민간 활용이 활발해 짐에 따라, 이를 위한 전문 분야 별 영상 분석 방법의 개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영상분석 기법 중에, 주변 화소들간의 공간 분포 관계에 의해 특성이 결정되는 텍스처 영상의 분석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유용한 영상 분석 방법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원시 영상으로부터 GLCM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텍스처 영상에 대해서 방향 인자, 마스킹 커널의 크기, 변수의 종류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한 뒤 각각의 결과 영상의 지형공간 특성 분석의 적용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원시 영상과 텍스처 영상에서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레이트를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반복적인 패턴을 자동으로 검색하는 템플레이트 정합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이를 원시 영상과 텍스처 영상에 적용하였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일정한 패턴으로 나타나는 지구과학적인 지형 특성이나 고해상도 위성영상 정보를 이용한 인공 지형지물의 파악 및 분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산재한 총 152개 지점의 측정망으로부터, 6년 동안 월 단위로 요약 정리한 PM10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주요 행정구역(7개시와 9개 도)에 대한 PM10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진단하였다. 16개 행정구역에 대한 PM10의 농도분포를 조사한 결과, PM10의 농도는 황사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강수의 양이 많은 여름철에 농도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배출원의 강도와 습식침적이 왕성하게 나타나는 기상환경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PM10의 농도를 비교하면, 서울에서 68.2μg/m3로 최고 농도를 보인데 반면, 제주도가 39.2μg/m3로 최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지역별로 보면, PM10의 농도는 대도시 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분석을 통하여 지역간 PM10 농도 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이를 통해 PM10 농도는 근접한 거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M10 농도는 기상조건과 인위적인 배출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생들에게 천체운동개념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과학탐구능력 성취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공간능력은 학생들의 천체운동 개념 이해에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천체운동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능력 하위 요소는 도형유추, 도막세기, 회전등이었다. 셋째, 공간능력은 과학탐구능력의 성취도에 매우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과학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능력 하위요소는 도막세기가 가장 높았고, 단일요소보다는 여러 요소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그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spatial generative process of Borromini's architecture. The close examination of his sketches and the analysis of his major four works such as San Carlo alle Quattro Fontane (1634-1667), Sant'Ivo della Sapienza (1642-1660), Santa Maria dei Sette Dolori, Chapel (1643-1646), Collegio di Propaganda Fide, Chapel (1652-1667) show common features in the generation of space as follow. 1) The spatial generative process of Borromini's architecture is dominated by the plan of main space which is formulated from simple geometric elements into complexly folded space by mean of union, addition, copy and warping. 2) Borromini made various kinds of annexed space around the main space to create long and continuous circulation. 3) Borromini's architecture has a tendency to divide interior elevation into two parts, wall part and roof part by thick entablature. Moreover the entablature play important role to copy the figure of the plan of main space three-dimensionally. 4) Borromini tried to create the sense of depth through perspectival distortion and multi-focal space through the ceiling pattern.
항해 중 발생하는 선박의 화재는 외부로부터 소방 활동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선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더구나 여객선의 경우에는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이고,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심각하다 화재가 발생하며 연소과정에서 열 뿐만 아니라 많은 연기가 동시에 발생하고 다량의 유독성 연기는 질식사와 같은 인명피해를 가져오게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박의 실내공간에서 화재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연기거동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화원의 크기를 두가지로 하고 세가지 형태의 화재 위치에 따라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견과 연기 및 열의 확산 특성은 모서리형 화재에서 가장 가파른 상승 곡선을 보였다.
TOMS 월별 오존전량의 전구 자료를 이용하여, 두 기간(전기: 1979-1992년, 후기: 1997-2002년)에 대한 오존전량 추세 및 시공간 변동을 지역과 해륙 분포에 따라 상호 비교하였다. 전기에 비하여 후기의 오존전량이 0-20 N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전지구적으로 10 DU 정도 감소하였다. 오존전량의 추세는 전구적으로 전자기간에 감소(-6.30 DU/decade)를 나타냈다. 후자 기간의 오존 증가 경향은 열대 지역에서 현저하였다. 1997-2002년 기간의 오존전량에 대한 경험직교함수 분석은 준2년 진동(QBO), 준3년 진동(QTO), 엘니뇨(ENSO), 그리고 화산폭발과 관련된 시공간 변동을 반영하였다. 열대 지역에서 대류권 오존의 연직 분포는 동서방향에서 파수 1의 형태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후 및 환경변화와 관련된 성층권과 대류권 오존 변화의 원인 규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a space for man in upper classes house that is one of appeared characteristics as Korea, China and Japan imported Confucianism become common cultural base in these countries. Because a space for man in these countries has the same nature represented as a typical space in a upper classes house, and this space is differentiated by regional features, a way of thinking, a way of life and social structure as well,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one another. Import of Confucianism influenced formation of a upper classes house and the spaces of the house are divided by generation, sexuality and classes. A space for man become a center of the house as well as a space for reception in accordance with patriarchism because this space stands for hierarchy of the house. A space for man of each country, Korea, China and Japan, has differences; that is, Chinese Jeongbang is used as a space for family as well as for guests; Korean Sarangchae is for only men and used as a reception space; Japanese Zasiki is used just for reception. Thes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are caused by owner's class, a civil officer or a military officer, and this class differenti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ception for guest. Even though the these countries take the space for man for meeting, Chinese is for family, Korean is for ancestors and Japanese is for guests.
On the framework of a linearly perturbed Friedmann-Robertson-Walker spacetime, we derive an expression for the cosmological angular diameter distance affected by scalar and tensor perturbations. Our expression is applicable in linear order to distances in general FRW models. We study the effect of a stocastic gravitaional wave background on the two-point correlation function of the angular diameter distance fluctuations and, on the basis of this we also derive an expression for the power spectrum of the angular diameter distance fluctuations.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스노젤렌 공간이 중증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자극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스노젤렌 공간의 이론적 및 작동적 쟁점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3세와 11세의 두 명의 중등도 정신지체 아동이었다. 두 개의 A-B 개별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자료는 작업치료실에서 치료선 자료는 스노젤렌 공간 안에서 30분 동안 연구대상자의 자기자극 행동의 빈도가 측정되었다. 결과 자료는 빈도수의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시각적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 두 명의 연구대상자 각각에서 기초선 3회기, 치료선 7회기 동안 자기자극 행동의 빈도가 측정되었다. 기초선 보다 치료선에서 자기 자극 행동의 평균 빈도가 감소하였으며 치료 회기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 자극 행동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이 연구는 스노젤렌 공간이 중증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 자극행동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