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역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DCA의 ordi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70개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에서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소나무 군집, 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졸참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졸참나무 군집으로 나뉘었고, 분리환경인자는 해발 고와 토양습도였다. 본 연구에서는 DCA기법이 TWINSPAN보다 효율성이 더 좋았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 팥배나무→졸참나무→서어나무와 소나무, 쇠물푸래나무→신갈나무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참싸리, 개옻나무. 산초나무→철쭉, 참개암나무, 생강나무, 함박꽃나무→참회나무로 추정되었다. 산화발생에 의해서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은 매우 감소하였고,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 및 보존대책을 위하여 2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10m 방형구 5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방법과 DCA ordination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classification과 DAC ordination방법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지 않았다.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갈참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의 순이었고, 교목하층에서는 개옻나무, 생강나무→쪽동백, 당단풍, 노린재나무→비목나무, 덜꿩나무의 순이었다.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방해극상적인 생태적 관리방법에 의해 교목하층에 자라고 있는 활엽수를 제거하여야 한다.
Lipid levels in the tissues of liver and intestines of O.bartrami amounted to 40.0% and 1.5%. The new compounds was found to be ethyl acylates, from a deduction of their detailed 1H-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and 13C-NMR as well as infra red spectra (IR).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were mainly composed of C16:0(19.0%), C18:1(16.2%) and C22:6Ω3(15.7%), followed by C20:1(9.4%), C22:1(6.4%) and C18:0(5.4%). New compound A and B were seemed to derived from the cleavage of glycerol moieties of triglycerides by microbial activities during storage in a frozen state. Compound A contained C16:0(38.2%), C18:1(13:4%), C20:1(13.3%) and C22:1(11.7%) as major components, while compound B predominantly compris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C20:5Ω3 (41.2%) and C22:6Ω3(36.1%). In both compounds small amounts of odd numbered fatty acids were also detected (3.8~2.2%).
한국산 멧누에(Bomdyx mandarina)chorion 유전자의 형질 발현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실험을 실시했다. 멧누에의 난각구조를 주사형 전자현마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 매우 특이적인 구조가 인정되었다. 즉 원추상의 불규칙 돌기에 의한 돌기구조층과 이 돌기 구조층을 덮고 있는 한 층의 얇은 덮개 구조층이 그것이다. 2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해 chorion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난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성분은 등전점 4~6, 분자량 6~30 kd로 밝혀졌다. 특히 특이난각구조와 관련된 특이단백질 성분을 검출하였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고cysteine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멧누에 난각의 특이 구조 형성에 따른 유전자발현기구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졌다.
케이블 구조물은 응력-변형도관계에서 비선형성이 강하고 대변위에 의해 기하학적 비선형이 도입되므로 해석이 복잡하다. 그러므로 케이블 구조물의 평형형태 탐색과 해석에 앞서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 네트, 전선, 현수케이블 지붕등에 적용될 수 있는 수치해석과정이 소개된다. 이 과정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유연성반복과정에의해 등분포하중을 받는 케이블 구조물의 응력과 평형형태를 구하는 것이고, 다른 한 부분은 비선형 유한요소법에 의해 절점외력을 받는 평형형태를 해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 간 종속 하증을 받는 대형 전산구조응력 해석 문제를 위한 유한요소 모델링 기법
이 소 개된다 유한요소 ]ι 멘 i깅의 분할기준은 분제에 대한 해석 결과에 대한 오차선정에 근거를 둔
다. 이 -와자산정은 해삭션과치에 의한 잔유 에너지의 크기플 유한요소별로 산정한다. 이의 시간존장
IL조촬에 대한 응 용븐‘ 구조연속체의 Ritz 고유진동 모드 를 계산하고 이뜰 진동 모드 중에서 저주따
에 상용하논 진동꼬드에 대해 잔유 에너지의 크기가 구조체 전체영역에서 평형을 유지하도록 유한요
소 모덴냉윤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여기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몇 예제플을 통해서 검증된다.
A seismic study combined with well data of a circular oil field in Cass County, Michigan, indicates that the structure's origin may be related to an impact event. The structural closures in the time structure maps and drilling results both show a central uplift. The fault system in the Trempealeau Formation shows a structure similar to other proven astroblemes. Undisturbed layers just beneath the central uplift also provide an evidence of an impact structure. The impact event occurred on the Utica shale of the Late Ordovician age. The subsequent uplifting and erosion formed the missing of some Late Ordovician rocks in the center of the oil field. A delayed isostatic adjustment may resulted in the structural closures of the Silurian and Devonian sedimentary formations which played the role of structural trap as a hydrocarbon reservoir. The diameter of the original crater was at least 2 kilometers. The meteorite seems likely to be as heavy as about 9×10⁴ tons and as large as 36-50 meters in its diameter depending on itscomposition.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완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되는 건물의 예비설계분야에 전문가 시스템의 기법을 이용한 설계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존의 수치해석용 프로그램으로 수행되던 구조부재의 물량에 의한 경제성이외에도 건물의 안정성, 시공성, 그리고 건축공간성등의 경험적 영역까지를 고려한 많은 대안을 사전에 검토해봄으로서 더욱 효율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구조설계의 오류를 초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근세 사회의 눈부신 산업발전과 함께 늘어나는 빈번한 차량 하중을 좀더 합리적으로 충분히 노반에 분산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포장이 근래 널리 이용 되어져 왔다. 아스팔트계 포장의 표층이 휨응력에 저항하지 못하고 하중을 받으면 표층의 변형이 그대로 노반에 전달되어 일체로되어 변형을 하지만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 슬래브가 구조체로서의 높은 휨강도와 큰 탄성계수에 의해 휨응력 및 전단력에도 저항을 하게 되므로 차량하중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온도 변화에 의한 팽창, 수축, 솟음, 노상 노반의 체적변화등에 의한 복잡한 응력을 받게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포장구조의 제응력 현상을 구조 역학적인 입장에서 좀더 정확하게 합리적으로 해석을 하기위해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컴퓨터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모든 하중 조건하에서의 슬래브 처짐과 응력을 계산하고 예상하므로써 콘크리트 포장구조의 파괴현상을 연구하고 합리적인 설계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wo perforated plates(a square plate and a rectangular plate having an as야ct ratlO 1.57(L,=11, L,=
7)) are taken as analysis examples. Each of these plates is given some changes in the boundary ∞nditions.
The size of cutouts as well as their locations are also changed in order to examine the variation
of two eigenvalues corresponding to the fundamental mod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eigenvalues
is estab!ished by changing the magnitude of edge thrust
본 연구에서는 쉘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개선된 degenerated 쉘유한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개선된 degenerated 쉘요소는 shear locking 해결에 우수한 결과를 보인 가정된 전단변형도를 사용하고, membrane locking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평면내 변형도의 구성시 감차적분을 행하며, 쉘요소자체의 거동을 보완하기위해 비적합 변위형을 선택적으로 추가하였다. 본 요소는 기존 degenerated 요소계열에서 가장 큰 문제점중의 하나인 locking 현상과 전달가능한 거짓영에너지모드가 발생하지 않으며, 조각시험도 통과한다. 본 개선된 쉘요소의 거동을 알아보기위해 다수의 예제시험을 행하였다. 수치시험결과 본 요소는 빠른 수렴성과 안정성을 보여준다.
주로 경험에 의존하여 최선의 상태를 구하는 설계방식에 반하여 수학적인 해석방법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최상의 결과를 얻고자하는 것이 최적설계이다. 이때 상태의 해석방법 뿐아니라 비선형의 설계함수의 최적화에 관한 기법 연구가 요구된다. 해석적인 비선형 최적화의 기법중 공학설계에 사용할 수 있는 수렴속도가 빠르며, 사용하기에 편리하다고 알려진 반복 이차 계획법(Recursive Quadratic Programming Method)의 매개변수들의 역할을 살피고 이들의 변화에 따른 수치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계산효율이 개선된 수치적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설계함수들의 일차 미분정보를 이용한 근사 이차 미분정보에 의하여 최적해의 접근속도가 빠른 RQP 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하여 구조물의 무게를 최소화하면서 유한요소의 응력, 변위, 최소고유진동수등의 제한조건을 만족하는 주어진 형상의 최적단면을 가지는 구조물도 설계하였다.
구조설계에 작용되는 하중과 이로 인한 동적거동의 측정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구조계의 미지계수 행렬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상 미분방정식으로 주어지는 운동방정식을 ARMAX 모형식으로 변환시켜 ARMAX 식의 계수행렬을 추정한 후, 이로부터 운동방정식의 계수행렬을 구하였다. ARMAX 계수의 추정은 최소자승법, Instrumental Variable방법, Maximum Likelihood방법 및 Limited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지진 하중을 받는 3층 건물 모형을 예제로 하여 각 방법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몇 가지의 예를 들어 점진적 붕괴가 내진설계의 중요한 설계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과 이와 관련하여 Shakedown 해석이 한 구조설계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이 Shakedown 해석기법을 사용하여 비선형 계획에 의한 최적 구조설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은: (i) 탄성응력과 처짐에 대한 제약조건: (ii) 점진적 붕괴와 약충붕괴의 방지를 위한 제약조건: 그리고 (iii) 구조물의 기본주기에 대한 제약조건을 수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내진설계의 모든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설계를 얻기 위하여, 이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5-단계 설계방법론이 제시되고 있다.
구조해석에 사용되는 변수들이 갖고 있는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에서는 경험에 입각한 안전계수를 사용하여, 변수가 갖고 있는 불확실성을 정성적으로 취급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점검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확률이론에 입각한 신뢰성이론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다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충분한 경험과 실적이 부족한 새로운 형태의 구조물의 안전성 점검에도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한요소법에 확률론적 수법을 가미한 확률 유한요소법을 개발하여, 구조해석에 사용되는 변수들이 갖고 있는 불확실량들이 구조해석의 최종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률적으로 처리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철골 건축 구조물이 횡하중을 받을 때 합성보의 거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를 이용하여 합성보의 강성과 연결부에서의 강도를 위한 수학적 모델이 연결부의 상세를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캔티레버 합성보의 skeleton 곡선과 hysteresis 곡선을 위한 해석모델이 제시되었다. 탄성보와 부재내의 비탄성 변형이 응집된 양 단부스프링으로 구성된 단일요소모델에 의한 합성보 요소가 컴퓨터 프로그램, DRAIN-2D에 포함되었으며,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의 비교를 통해 검정되었다.
The study area located in Chongpung-myon and Kumsong-Myon, Chewon-Kun, Chungbuk Province consists of the Chosun Group (Great Limestone Series) in eastern part and the Okchon Group in Western part. In order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 structural patterns and geologic features have systematically been investigated. The dominant structural features of the area are NW~E trending thrust faults, which are interpreted to have formed by progressive northward thrust movement during the Late CretaceousrEarly Tertiary orgeny. The predominant ocurrence of cataclastic rocks such as fault breccia, fault clay and micro-breccia suggests that the thrust faults were formed at relatively high level. The folds in limestone area consist of the primary fold (axial plane of NNW direction)and the secondary fold (axial plane of NE direction). F1 fold looks like a recumbent fold and F2 fold looks like up-right fold. The interference patterns of the area are applicable type 3. According to the interlimb angle F1 fold is included to the closed fold and F2 fold the open fold. The micro fabric study reveals that the ductile deformation is dominant in this area. According to the strain measurements using the deformed quartz grains, Lode'value(ν) is-0.24∼1.00 and the strain ellipsoids are oblate and prolate strain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