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1

        1821.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xty-eight open clusters have been sampled in proportion to the age fraction of the number distribution of open clusters in Galaxy in order to find out the aging effect in number density distribution of member stars of the open clusters. The Ring method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number density distribution around the central regions of the open clusters. Their number density distributions have been classified 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ir shapes. They have been arranged to a serial distribution of A to F in age.
        4,000원
        1822.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북도(慶尙北道)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추이(推移)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립(樹立)하기 위하여 송이버섯 생산지(生産地)의 분포도(分布圖)(Fig 1)과 그 위도적(緯度的) 분포(分布)(Table 1)를 작성(作成)하였다. 경상북도(慶尙北道) 동북(東北)쪽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울진군(蔚珍郡), 영덕군(盈德郡), 영양군(英陽郡), 봉화군(奉化郡)에 비교적 균일한 분포(分布)를 나타내었고, 문경군(聞慶郡), 상주군(尙州郡), 예천군(醴泉郡), 영풍군, 의성군(義城郡), 달성군(達城郡), 경산군(慶山郡), 청도군(淸道郡)에는 일부지역에서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금릉군(金陵郡), 성주군(星州郡), 칠곡군(漆谷郡), 월성군(月城郡), 선산군(善山郡), 경산군(慶山郡) 지역(地域)에서는 거의 발생(發生)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全體的)인 송이버섯 발생(發生)의 경향은 소나무 임지(林地)의 분포(分布)나 임분(林分)의 건전도(健全度)에 밀접한 영향을 띠고 있었으며,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면적(面積)을 각군별(各郡別)로 그 수를 헤아려 보면(Table 1) 울진군(蔚珍郡) 117개소(個所), 영덕군(盈德郡) 70개소(個所), 영양군(英陽郡) 54개소(個所), 문경군(聞慶郡) 38개소(個所), 청송군(淸松郡) 37개소(個所), 안동군(安東郡) 35개소(個所), 상주군(尙州郡) 32개소(個所), 봉화군(奉化郡) 26개소(個所), 영풍군 22개소(個所), 영일군(迎日郡) 17개소(個所), 영천군(永川郡) 15개소(個所), 의성군(義城郡) 15개소(個所), 경산군(慶山郡) 10개소(個所), 군위군(軍威郡) 9개소(個所), 청도군(淸道郡) 6개소(個所), 예천군(醴泉郡) 5개소(個所), 선산군(善山郡) 4개소(個所), 달성군(達成郡) 3개소(個所), 칠곡군(漆谷郡) 2개소(個所) 월성군(月城郡)의 경우 1개 개소에서 송이버섯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전혀 발생(發生)하지 않는 지역(地域)도 있었다.
        4,000원
        1826.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829.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830.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4년 7월 24일에서 동년 8월 2일까지 동해안과 울릉도를 항해중 정선하여 14개의 관측점에서 수심 5m~200m층을 관측한 해중소음의 음압레벨을 분석한 결과, 해중소음은 연안에서 멀리 떨어진 해역의 표층부근에서는 평균 1dB/16m의 비율로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상적인 소음분포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항구나 항만입구 부근에서는 육상소음의 영향을 받아, 단속적이고 지역적인 소음분포 형태를 이루고 있음과 해저지형과 해상에 따라서도 크게 변동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831.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rtical distribution of interstitial Cu^(++) contents of bottom sediments, upward benthic flux and oxidation zone flux are measured from the sediments at a site of Gongjichon area, Lake Uiam. Interstitial Cu^(++) contents show a pronounced maximum at water-sediment interface, and linear decrease to the depth of 9 cm at which anoxic sediments begin to occur, which cause an upward benthic flux and oxidation zone flux of interstitial Cu^(++). The depths of minimum interstitial Cu^(++) content show those of maximum sediment Cu^(++) content from which we presume the vertical flux and inter-species exchange of elements in the sediment layer. In oxic zone, interstitial Cu^(++) contents correlate very well with total organic matters, and total organic matters with mean particle size. These facts suggest that the amount of interstitial Cu^(++) contents are mainly controlled by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s supplied to the sediment when they were deposited rather than by the post-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sediment layers. Upward benthic flux to the overlying water and oxidation zone flux to the interface of oxic and anoxic zone are 5.2×10^(-9)μ㏖·㎝^(-2)·sec^(-1), 0.1×10^(-9)μ㏖·㎝^(-2)·sec^(-1), respectively.
        4,000원
        1834.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1836.
        198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adow fescue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와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1.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로서 품종(品種)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하층부(下層部)에 분포(分布)되어 상층부(上層部)로 갈수록 엽량(葉量)이 적어지는 품종(品種)(M), 중간층(中間層)에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분포(分布)되어 상(上) 하층부(下層部)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