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1

        541.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하천의 유출 및 수질특성을 홍제천 시험유역에서의 관측자료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유역의 수질은 건기시차집 관로에 의한 하수의 차단으로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보이는 반면, 이로 인하여 동기의 약 3-4개월동안에는 건천화의 현상을 보였다. 한편, 우기시에는 합류식 하수계통으로부터의 급격한 비점원 오염부하량의 증대를 보였다. 도시유출 및 수질을 해석하는 모형, SWMM, ILLUDAS, STORM, HEC-1 등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또
        542.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소하천으로 이루어지는 수계에서 복잡한 물수지 요소가 여러 지점에서 발생하는 하천 말단 특히 감조지역에 수자원 시설물을 설치하고자 할 때 유입량의 추정이 문제가 되며 물수지 요소의 변동에 따라 말단의 유출량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는 하천의 유입.유출요소의 정형화를 필요로하며 소유역의 일유출량 추정 모형을 필요로 한다. WWASS 모형은 일별 유입량과 펼요수량 추정 모형으로써 DIROM을 사용하고 있고 물수지 요소들을 하천의 조절점(contro
        543.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ashout on incision cliff is a serious problem. Incision cliff if not carefully done, can contribute to soil erosion and, by removing covering plants could have a large impact on the temporary of normally the quality of water. Because the washout of soil is influenced by its surface, it is necessary to prevent or diminish soil particle by plantation of grass species. Kummerowia stipulacea is an useful species that diminish the injury of soil and rainwater. We study that estimates of preventing soil erosion and river overflow can b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model developmented by several equators. Many potential contaminants are removed by filtration as the water moves slowly through the fields of K. stipulacea.
        544.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otal runoff yield, peak flow and peak flow travel time depending on the urbanization, return period and rainfall patterns at the downstream of Manchon urban watershed in TaeGu City.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is used for runoff analysis based on 5 different steps of urbanization and 4 different types of Huff`s quartile according to 8 return periods. It is analyzed that the order of total runoff yield according to rainfall patterns is Huff`s 4, Huff`s 2. Huff`s 3 and Huff`s 1 quartile, that of peak flow magnitude is Huff`s 2, Huff`s 1, Huffs`4 and Huff`s 3 quartile at present development ratio. under the 60, 70, 80 and 90% of urbanization to the 50% of urbanization by means of the rainfall patterns, the mean increasing ratio of total runoff yield for each case is 4.55, 11.43, 16.07 and 20.02%, that of peak flow is 5.82, 13.61, 17.15 and 18.83%, the mean decreasing ratio of peak flow travel time is 0.00, 2.44, 5.07, and 6.26%, the mean increasing ratio of runoff depth is 4.51, 11.42, 16.02 and 20.05%, respectively. the mean increasing ratio of total runoff yield by means of each return period & Huff`s 3 quartile is 4.86, 12.11, 17.14 and 21.56%, that of peak flow is 5.89, 13.97, 17.82 and 19.71%. Therefor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for principal data as to storm sewage treatment and flood damage protection planning in urban small watershed.
        545.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rainfall-runoff relatio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storms is very important in designing a hydraulic structure or evaluating an environmental influence for land usage. Because of this reason,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finite element model which consider the spatial movement of a stome and it was applied on a small river basin(Wi stream basin). In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he basin was treated as a pivot point and the storms are simulated with movement in each directions.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storms moving from north to south have bigger peak discharge and faster peak time than the storms moving in other directions. So these characteristics have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ation of a hydraulic structure or evaluation of an environmental influence.
        546.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발한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임진강유역내의 연천댐 유역(1,875km2)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는 수치고도모형, 하천도, 흐름방향도, 토양도, 토지피복도, 티센망도 등 6개의 도형자료를 이용하였다. '90년 및 '96년도에 발생한 홍수사상과 비교하였는바, 모형의 결과는 양호하였다. 출력결과인 시간별 지표유출 분포도로부터 유역에서 발생된 유출양상을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47.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격자기반의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지표흐름과 지표하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제 수문인자들의 격자별 물수지를 계산하여 단방향 흐름경로 알고리듬에 의하여 지표 및 지표하 흐름을 추적한다. 전처리과정으로서 GRASS를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ASCII 형태의 자료들을 준비하고,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수행결과인 유역의 유출량, 유출고, 토양수분, 본포 등을 GRASS상에서
        548.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크기와 형상 및 도시화 정도가 다른 동수천유역과 무심천의 청주 시험유역, 두 곳을 대상으로 ILLUDAS 모형과 SWMM 모형을 적용한 유출특성을 바탕으로 각 매개변수의 민간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총 유출량비는 선정 매개변수 대부분 강우지속기간과 유역면적크기에 따라서 일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우의 시간적 분포형변화에는 관계성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첨두유출량비는 ILLUDAS 모형에서는 침투능과 매개변수 모두 일
        54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무차원값을 제시하여 도시유출모형의 매개변수결정을 위한 상대적인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여 매개변수별 민감도특성을 구명하였다. 민감도분석을 위한 무차원값으로 총유출량비,첨두유출량비, 유출민감도비, 민감도비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유역면적의 크기와 강우분포형과 강우지속기간별로 각 적용단계별 총유출량비, 첨두유출량비, 유출민감도를 산정하기 위해 ILLUDAS모형과 SWMM모형의 매개변수를 선저하고 적정 적용범위를 결정하였다.
        551.
        199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의 지형특성에 근거를 두고 유출기여면적의 변화를 고려한 분포형 모형인 TOPMODEL을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에 대한 적용성을 연구하였다. 건설교통부에서 설치운영중인 위천대표시험유역의 소유역인 동곡 및 고로지점을 분석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1/25,0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수치고도지도를 작성하였고 지형인자분석은 지리정보 시스템 도구인 Arc/Info를 이용하였다. 두 소유역의 지형상수가 서로 비슷하였고 각 연도별 동일호우사상에 대한 모형매개변수도
        552.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낙동강 유역의 저수유출 해석을 위해 IS(integrated snowband) 유역모형이 포함된 SSARR 모형을 적용하였다. IS유역모형은 증발산, 침투 및 장기회귀 지하수 추적기능이 추가된 최신 버전으로서 연물수지분석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며 대화식 구동방식인 IA(interactive)방식도 내재되어 있다. 고수시와 저수시 민감한 매개변수를 민감도 분석결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모형의 보정이 이루어졌다. 7개 제어지점에서 유량의 관측치와
        553.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경회로망은 어떤 사상에 대한 인과관계를 연상기억능력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비선형현상에 대한 적응능력이 뛰어나 수문계의 강우-유출 현상에 대한 적용가능성은 많으나 이를 수문학적으로 검증하는데는 아직 검토단계라 할 수 있으며 적용에 따른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에서 호우의 발생에 따른 하천의 홍수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하기 위한 블랙박스모형으로서 신경회로망이론의 적용에 따른 문제를 수문
        554.
        199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 which is able to be used for getting the velocity vector distribution of a surface of the spilt oil in the ocean without contacting the flow itself. This technique is based upon the PIV(Particle Imaging Velocimetry) technique and its system mainly consists of a high sensitive camera, a CCD camera, an image grabber, and a host computer in which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is adopted for velocity vector acquisition. For the acquisition of the advective velocity vector of floating matters on the ocean, a new multi-frame tracking algorithm is proposed, and for the acquisition of the diffusion velocity vector distribution of the spilt oil onto the water surface, a high sensitive gray-level cross-correlation algorithm is proposed.
        556.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자원개발 계획과 설계를 위한 설계홍수량 추정에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가 유효우량 추정이다. 우리나라 수공구조물의 설계홍수량 추정에는 미국 SCS에서 개발한 유출곡선번호(curve number)로부터 유효우량을 추정하고 홍수도달시간을 고려하여 단위도를 합성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시간별 강우-유출량 자료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SCS 유출곡선번호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유효우량을 추정할 때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557.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논에서의 수문 특성을 현장 조사 및 측정하고,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논의 최대 잠재저류장의 확률적 특성을 분석하여, 선행강우조건에 따른 CN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CN은 AMC II의 경우 78이었으며, AMC-I, III의 경우에는 각각 63, 88이었다. 논의 강우-유출자료에 의한 CN은 년 홍수량 자료의 적용여부가 불확실하므로 이를 보완하고, 물고높이나 초기담수심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논의 물수지 모형을 구성하였다. 논의 유출량은 선
        558.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소하천 유역에서 강우-유출과정의 모의절 위한 정도 높은 개념적 모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개념적 선형 모형인 Clark 모형, Nash 모형과 개념적 비선형 모형인 Laurenson 모형과 WBN 모형을 위천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 및 비교검토를 하였다. 선형 모형에서 산정된 매개변수들의 변동성은 비선형 모형의 매개변수의 변동성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계측유역에서 4개 개념적 모형으로부터 합성한 수문곡선을 분석한 결과 첨두유량은 4개 모형
        559.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도시유역에서의 강우-유출을 해석하기 위한 설계조건으로서 강우 공간분포와 소유역의 분할이 결과치에 미치는 영향을 9개 도시유역에 대하여 SWMM으로 평가한 것이다. 도시유역을 상류 2개 권역으로 구분하는 각각 Huff의 4개 분포형을 조합하여 적용한 결과는 기존의 Huff2 분포로 균일하게 적용한 경우보다 첨두유량에서 -54.68~18.77% 의 편차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설계홍수량산정에서는 공간분포의 고려는 홍수위험도의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560.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우로 인한 도시 배수구역에서의 유출 및 수질 산정을 위한 주요인자들이 모의해석 결과치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적용대상유역으로서 남가좌, 산본 배수구역과 미국의 Gray Haven, Kings Creek 배수구역 등의 4개 지역을 선택하였다. 실측치를 토대로 각 영향인자들의 최적치를 주요 유역영향인자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SWMM모형으로 산정하고, 이를 기준값으로 하여 이들이 계산 결과치에 주는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유출영향 인자로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