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래종과 도입종을 포함한 62계통의 고추를 경북대학교 부속농장에 재배하여 종자를 증식하는 동시에 개화소요일수를 포함한 16가지 형질의 특성을 조사 기록하였다. 개화소요일수에 있어서는 KC85(칠곡 동명)와 KC116(PI308791), KC154(Cherry Sweet) 및 KC185(조선고추)가 83일로 가장 조생이었고 KC139(Serrano Chili)와 KC103(PI297488)이 126일로 가장 만생이었다. 과실을 따는데 걸리는 힘에 있어서는 KC85(칠곡 동명)가 0.45kg으로 가장 쉽게 따지고 KC162(PI224444)가 3.34kg으로 가장 많은 힘이 걸렸다. 흰가루병에는 KC10(Pimiento), KC23(PI224423), KC51(PI257044), KC56(PI257053), KC126(PI358812), KC119(PI322719), KC143(Emerald Giant), KC148(VR-2), KC163(PI224445), KC166(Papari Mild)이 발병이 적었다. 탄저병 발생은 KC39(Serrano Chili)에서 가장 적었다. 고추 품종의 수집 및 도입활동을 계속하여 한국재래종 14점과 도입종 25점을 추가 확보하였다.
1. 잡초종 54종을 수집 보관중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발아력을 검정한 결과 치상후 15일째에 31종이 발아력을 보이고 그 가운데 50% 이상의 발아력을 보인것은 14종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잡초종은 휴면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어떤 형태로든지 휴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2.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피속 잡초종은 외형적으로 여러종이 발생하는것 같았으나 2종만이 존재하는데 한 종은 강피이고 다른 종은 돌피와 변종으로 물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종자의 단백질 패턴 검정으로 종자 형태학적으로 분류한 종들을 재점검해 본 결과 강피는 돌피와 물피와는 달리 B zone에 주요 band가 있어서 쉽게 구분되었으나 돌피와 물피의 단백질 패턴이 유사하여 구분이 쉽지 않았다.
1989년 11월 4~12일의 동지나해에서 관측한 자료를 사용하여 해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층의 해황은 쓰시마 난류수와 중국 대륙 연안수로 대별되고 그 사이에는 강한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쓰시마 난류수는 수온 22~24℃, 염분 33.5~34.5‰의 고온.고염수로 용존산소는 4.5ml/l 이하로 낮았다. 그리고 중국 대륙 연안수는 수온 18~20℃, 염분 32.0‰ 이하인 저온.저염수로 용존산소는 4.5~5.0ml/l로 높게 나타났다. 저층에도 역시 표층과 같이 쓰시마 난류수와 중국 대륙 연안수가 존재하였다. 이 외에도 북쪽에는 수온 10℃ 이하, 염분 33.0‰ 내외, 용존 산소는 4.5ml/l 이상의 고산소수인 황해 저층냉수가 분포하고, 동남쪽에는 수온 15~19℃ 염분 34.5‰, 용존산소는 2.0~3.5ml/l의 저산소수인 동지나해 남부 저층수도 분포하였다. 그리고 중국 대륙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수의 중간 특성을 나타내는 수온 20.5~22.0℃, 염분 32.3~33.3‰의 물은 중국 대륙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가 혼합된 결과라고 판단된다.
동지나해의 어업자원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도로서, 부산수산대학교와 일본 북해도대학이 공동으로 실시한 제1차 동지나해의 저서어족자원조사중에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각종의 기초자료를 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지나해의 24회 조사 Line에서 저층 Trawl에 의해 어획된 어종수는 총 96어종이고, 1시간 예망당 평균어획량은 58.8kg/hour이었다. 2. 저층 Trawl을 행한 수탐층(약 4.5m)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63.9dB, -67.3dB로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3.4dB 더 높았다. 3. 전수탐층(송수파기과 해저간)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61.9dB, -67.0dB로서 역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1.5dB 더 높았다. 4. 저층 Trawl을 행한 수탐층에 분포하는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SV, dB)와 이 때 어획된 전위제적당의 평균어획량(kg)으로부터 추정한 kg당의 평균반사강도는 25KHz와 100KHz에서 각각 -23.6dB/kg, -26.3dB/kg로서 저주파수의 경우가 고주파수보다 약 2.7dB/kg 더 컸다.
동지나해의 저서 어업자원에 대한 어획시험 조사연구가 일본의 북해도대학과 부산수산대학교의 공동으로 1989년 11월 5일~11월 12일의 기간 중에 실시되었다. 이 공동 연구는 앞으로 1992년도까지 연 4년간의 조사기간은 설정하고 있으며, 어획시험은 매년 같은 시기 같은 해역의 동일 지점에서 실시할 예정으로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업자원의 현황과 동태, 지리적인 분포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본 북해도대학의 연습선 OSHORU-MARU를 이용하여, 한일 공동규제수역 밖의 동지나해 북부 해역에서 1일 3회 총 24회의 트로올 조업을 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1. 조업해역의 수심은 51~132m, 예망수층의 수온은 8~21℃의 범위에 있었고, 예망 중의 망고는 4.5m, 오터 보오드의 간격은 80m 정도였다. 2. 총 24회의 조업에서 어류 76종, 오징어 문어류 6종, 게, 새우류 7종을 어획하였으며, 이들중 홍어류, 달고기, 민어, 민강달이, 황돔, 전갱이류, 병치매가리, 갈치, 삼치, 병어, 덕대, 샛돔, 꼼치, 말쥐치,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는 어획량이나 개체수가 비교적 많았다. 3. 주요 어종들에 대하여 어획 해역별로 체장 계급별로 미수분포를 보면, 갈치, 병어, 말쥐치는 해역에 따라 체장의 모드가 다른 어군이 별개로 어획이 되고 있으며,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로는 같은 해역에서 성장단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군이 혼획되는 것으로 보인다. 4. 특히, 갈치, 병어는 대.소형어가 분리 어획되고 있으나, 살오징어, 칼오징어, 꽃게 등은 같은 어장에서 대.소형어가 혼획되고 있으므로 소형어의 난획 방지를 위한 방책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Seventy-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Norwegian polar explorer Roald Amundsen put the first human footprint on the South Pole in his South Pole Expedition in 1911. Natural environment, petroleum, and mineral resources of Antarctica are briefly reviewed. No petroleum or mineral deposits with economic value are discovered yet in Antarctica. However, it is thought that petroleum (and probably including minerals of Dufek stratiform gabbros) would be most promising in several decades. International stewardship of Antarctica associated with systematic investigations strengthened by modern techniques and facilities will show further possibility in other minerals.
In accordance with a rapid growth of demani on aquatic animals, researches of the unused fishery resources On the deep sea b~d in the Korean Waters has been and will be required. The authors carried out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available resources and to find the effective fishing method on the deep sea bed of the Korean East Sea. In the experiments, 19 kinds of traps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hape, mesh size and entrance diameter were used. The fishing experiments w~r;; carried out in four areas of 20Dm, 600.'11, 800m and 1000.'11 deep respectively, by the Pusan 402 (30:) GT) and the Pusan 403 (279GT), the training ships of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during August, 1986. The catc~ were analyzed with the size, the depth and the construction of trap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ain species of the catch w~re pink shrimp, Pandalus bolelis, a kind of welks, Buccimum striatissimum and a kind of larg~ crabs. Chiono8cetes japonicus and the another species were few. 2. The CPUE value (expressed by the number of catch per trap in this paper) of pink shrimp was the highest in the depth of 20J-n around, and the value in the depth of 600.'11 or more decreased gradually with an increase of the depth. But, the value of Buccimum straitissimum was much higher in the depth of 6:J:)!1I or more than that in the depth of 200m around.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Chion:Jecetes japonjcus was very low in general. 3. The iniividual body size of the catch differed with the depth. Pink shrimps caught in the depth of 200m around were smaller than those in the depth of 600.'11 or more. In contrast with this, Baccimum striatissim:t.m caught in the depth of 200m around were larger than those in the depth of 600.'11 or more. 4. Depending on the selection curve in Ishida's method for the mesh size of trap webbing, the carapace length of pink shrimp and the shell length of Buccimum striatissimum which are equivalent to 100% relative catching efficiency can be estimated about 3.5cm and 6.5cm or so respectively. 5. The number of catch of pink shrimp and Buccimum striatissimum by the 60.'1'1.'11 entrance diameter of trap were less than that by the 90mm, 120mm and 150mm, even thogh the diffierence am~r, g 9:Jmm, 120.'11.'11 and 150:1'.'11 are not so large.
Human activities have gradually damaged the land-water ecosystem, and natural processes, in turn, produce grievous losses to human society. Numerous environmental laws have been enacted to safeguard people and their investments from pollution and other forms of air, water, and land degradation. There have also been massiv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se have been produced by a combination of urbanization, population growth, production of new machines rapidly increasing fuel consumption. An important objective of environmental research work and study should be directed to determine which types of plant construction and resource extraction methods minimize damages to the land-water ecosystem. This objective must be linked to attempts to understand and find solutions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exist, whether rfatural or the result of human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