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01

        1021.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600원
        1022.
        1986.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031.
        1981.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032.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보에서 외국산에 의해 기록된 한반도산 날개응애류 26종과 필자가 채집한 미기록종 29종 도합 65종의 목록을 발표한 바 있다. 그 후의 채집품을 조사결과 다수의 미기록종이 발견되었기에 전보를 증보하여 발표한다. 이로서 한반도산 날개응애류는 29상과, 59과, 99속, 158종이 되었다. 이밖에 미정리분중에도 약 50중의 미기록종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한국산 날개응애류는 200여종이 되는 셈이지만 한국에 실재하고 있는 종수는 그 배가 될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분포를 논할 단계는 아니지만 일본과의 공통종은 69종, 구주와의 공통종은 51종, 3자공통종은 55종이 되어 한반도 고유종은 34종이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인접해 있는 중국대륙의 날개응애상이 밝혀지면 고유종은 줄어들고 중국과의 공통종이 많아질 것이다.
        4,000원
        1034.
        197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chylidae(가는잎말이나방과 : 신칭)은 잎말이나방상과(Tortricoidea)에 속하며 우레 나라에서는 오늘날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소형의 나방 그룹이다. 그러나 이미 1886년에 영국 곤충학자 J. H. Leech의 한반도 채집시에 2종(종)이 채집되어 외국 문헌상에는 기록되어 오고 있다. 이과에 슥하는 종들은 대개가 작물의 꽃, 신소, 줄기 등 비교적 연약한 조직의 내부를 갖아 작해를 주며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작물의 주요 해충들이다. 필자는 현재까지 채집된 재료 중에서 금번에 분류 등정된 한국 미기록 10종을 발표한다.
        4,000원
        1035.
        2025.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welling capacity of bentonite buffers is vital in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repositories, as it minimizes groundwater infiltration, prevents nuclides from reaching the biosphere, and stabilizes the HLW canisters. As swelling capacity is a function of temperature, understanding bentonite’s behavior at approximately 100°C (its presumed upper limit) is essential. However, research on this subject has been scarce. Henc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rmal treatment of Ca-bentonite at 105°C under injected water pressures. The results suggest a 19% reduction in “swell index” and a 35%–36% decrease in the total pressure in thermally treated bentonite. The heated samples demonstrated higher hydraulic conductivity than the non-heated ones, indicating potential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controlling the fluid movement. Furthermore, the injected water pressure (base pressure) was not fully transmitted to the sample ow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and back pressures, leading to variations in the total pressure despite maintaining a constant differential pressure. Thus, the results demonstrated a degradation in bentonite’s swelling capacity and its compromised role in safe HLW disposal, when subjected to treatment at 105°C. The insights from this research can assist in HLW repository design, while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to bentonite’s performance.
        1036.
        202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 이건용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음악적 표현 을 ≪동승≫(2004)과 ≪왕자와 크리스마스≫(2010)의 몇몇 아리아 및 합창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행함에 있어 한국어 고유의 특징인 장단, 고저, 억양, 음절언어적 특성, 말토막 개념 및 음악 에서의 박자 악센트와 리듬 악센트 등을 활용했다. 그 결과 이건용의 오페라에서는 문장 및 말토막이 본래의 언어적인 호흡을 유지한 채 음악화 되었으며, 한국어의 장단구조, 수식구조, 단어의 높낮이, 문장의 억양 등이 다양한 박자 악센트 및 리듬 악센트와 결합하여 해당 텍스트의 음운론적인 측면을 강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건용의 오페라는 단어 및 문장에 새로운 장단이나 악센트 등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 해당 선율들은 ‘방언’을 구사하거나 특정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다가왔다. 이외에 도 한국어의 음절언어적 특성을 드러내듯 음악의 흐름 안에 또렷하게 인지되는 고른 텍스트의 분 포가 존재했다. 그리고 이런 성부를 토대로 하는 대위법적인 짜임새의 표현성이 두드러졌다. 화성적으로 반음계 섹션을 등장시킴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발화되는 텍스트를 독특한 방식으로 청취되도록 하거나, 실제 언어 수행 시 나타나는 상호작용적인 담화방식, 감정이 섞인 말의 반복, 특정 연령 집단이 보여주는 언어적 행동 등을 오페라 안에 음악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있었다. 예컨대 이건용의 오페라는 한국어를 민감하게 다루고 있으며, 한국어의 다양한 음운론적인 특 징과 담화 상의 속성 등을 음악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표현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이건용의 오페라 는 개인의 오페라 작법을 구축한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한국오페라’로서의 기본적인 속성을 스 스로 구체화한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1039.
        202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초기 종교음악 중 ≪호칭기도≫ K. 109와 K. 125를 차용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다. 이 두 곡은 각각 1771년 5월, 1772년 3월에 잘츠부르크에서 작곡 되었는데,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그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는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모차르트의 곡들을 아버지 의 작품과 꼼꼼하게 비교하여 아버지의 영향이 가장 구체적인 경우에서부터 추상적인 경우까지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것이다. 모차르트가 아버지 레오폴트의 작품을 모델로 하여 어떻게 독 립적인 곡들을 만들어나갔는지 살펴보며, 이를 통해 모차르트의 ≪호칭기도≫ 뿐만 아니라 종교 음악 전반에 관한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한다.
        1040.
        202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can affect the environment if multiple devices are operated on one site and even a trace amount of pollutants that may affect the environment after power generation are simultaneously discharged. Therefore, not only radioactive substances but also ionic substances such as boron should be discharged as minimally as possible. We adopted pilot CDI and SD-ELIX sytem to separating and concenrating of boron containing nulcear power plant discharge water. The boron concentration of the initial inflow water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The water quality of concentrated water also reached its peak until the initial 60 minutes, but tended to decrease in line with the decrease in the inflow water concentration. The boron removal rate was in the range of 85 to 99% with respect to the initial boron concentration of 15 to 25 mg/L.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use of electrochemical modules is also observed, and regeneration through low ion-containing water cleaning effective. We shortened processing time by considering the optimal flow rate conditions and conductivity conditions and converting electrochemical modules into series or parall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