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1

        1481.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mong cultivated , non-cultivated and imported bupleurum falcatum,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nd saikosaponins which are known as a major biologically acitive compounds in Bupleurum falcatum were meausred with GC and HPLC. Color of grinded powder of Bupleuri radix determined by colorimeter showed that the imported one has the highest white and yellow coloer Among the Bupleuri radix cultivated in China, Hong-siho(red-Bupleurum) produced in Yungil Province contained the highest red color. Cultivated Korean Bupleurum radix contained higher saikosaponi a, c, and than the imported ones which were cultivated in Yungil, Ankuk , and Gillium Province in China. Levels of saikosaponin c are 3 times higher in cultivated Korean Bupleuria radix compared the with imported ones. Furthermore, Bupleurum falcatum cultivated in Korea contained higher amount of palmitic and linoleic acids than those of improted and non-cultivated ones. Particularly they contain two to six times higher linoleic acid.
        1482.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Towns development in Rural China. The policies to develop Small Towns have been induced for solving the problem raised during the rural reform. The changes and adaptations of rural reform processes are integrated in Small Towns. Th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Ronggang, a small tow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the fund raised by rural inhabitants that was used for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small town, Second, by implementing the policies of selective migration, the inhabitants of the small town have been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rural region. Third, the activities of commerce and industry of Ronggang have progressed to joint-stock system. Fourth, Hav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lf- development, the small town has grown and is expected to grow higher hierarchy of settlement system.
        1488.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제까지 보고된 앙소시대 농업유적을 검토하여 앙소시대 농업의 발전을 주로 도속혼작 농업의 분포로 파악하고 도속혼작구의 북한계선을 연장하여 도속의 동북전파를 고찰하였다. 앙소시대문화 유적을 가지고 도작농업구, 속작 농업구 그리고 도속혼작 농업구의 구분을 시도하였다. 도혼작 농업구의 도률유적을 검토하고 앙소시대 중의 도속혼작구의 변천을 검토하여 그 북한계선이 남북으로 이동했음을 고찰하였다 앙소시대 장강유역 및 황회지구에서의 고고 발굴물을 가지고 도작에 영향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는 기후 · 환경을 고찰하였다. 도속혼작구 북한계선의 남북이동을 가지고 도작의 동북향 전파 특히 한국 한강유역으로의 전파를 추측하였다.
        1491.
        199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고대농업과 기술을 형성하는 데 직접간접으로 기간역할을 해 왔던 고대중국의 도작기술은, 이미 한전농법과 농본관(정신)을 기원전에 완성하였으며, 특히 심경과 정수 및 토양비옥도 유지를 위한 경전법을 중심으로 도작기술이 발전되었고, 따라서 이앙법, 정조식 심종법, 철제농기구 사용, 수리를 위한 피당 축조기술이 앞섰고, 다양한 지역에서 재해를 회피하거나 다양한 용도의 품질공급을 위하여 벼 품종의 분화가 잘이루어져 왔다. 또한 중국농업의 발상지가 화북이었기 때문에 인희지광의 특성에 맞는 조방적 도작기술로서 화경수누법과 세역법이 태동되었고, 한무제와 ‘참위’학자들의 음역오행설이 농업관과 연계되면서 파종이나 작목선택에 대한 기술이 만술적으로 발달한 경향도 있었다. AD 6세기경의 제민요술 부터 14세기의 왕복 농서 에 이르기까지 도작기술은 지속적, 상가적으로 분화발달되어 왔으나 원대 이후에는 정체된 경향이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여말 농업과 농사직설 시대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