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

        2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 연구는 주로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 ‘항공종사자’로 지정하여 전문가로서 역 할과 책임을 다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객실승무원의 업무 수행과 관 련하여 구체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하는 전문성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항공객실승무원의 능력 관점에서의 전문성 개념을 연구한 유문주·이동명(2020)을 바탕으로, 이러한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또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를 함께 고려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 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자기주도학습과 가족지원을, 또 전문성의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로 경력 만족을 각각 상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에 자기주도학습과 가족지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1, 2는 증 명되었다. 또, 자기주도학습과 가족지원 중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주도학습이 상 대적으로 높았다. 또 전문성은 항공객실승무원의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도 증명 되었다. 둘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 개발에 자기주도학습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 이다. 지금까지 각 항공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식적, 외형적, 제도적 교육훈련은 승무원 본인의 자발적 노력인 자기주도학습 없이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자기주도학습이야말로 전문가가 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 하겠다. 셋째, 항공객실승무원의 전문성에는 가족지원도 중요한 영향 요소로 부각되었다. 항공객실승무원은 스 케쥴근무, 장기간의 해외 출장, 승객과의 대인관계 등으로 체력소모가 많고 피로 및 스트레스가 높은 업무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가족의 정서적 측면에서의 지원 없이는 활력을 회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러한 가족지원상의 문제는 개인이 해결해야 하는 부분도 있으나, 항공사 입장에서도 업무스케쥴의 조정, 휴가제도의 정비 등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전문성은 개인의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항공객실승무원도 장기적인 경력을 쌓아 나가는 하나의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반증이 아닌가 판단된다.
        6,000원
        2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motely Piloted Aircraft (RPA) controls as a type of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is growing rapidly and its flight controller stick disposition is required standardization. We should standardize RPA drone flight control disposition because the flight pilot of RPA is hard to be trained so the flight controller stick differences impairs safety and wastes time and effort of flight controller industry. So this study researches the on-going standardization of RPA drone flight control disposi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lso this paper analyzes and researches of expert about RPA drone flight controller function and application of flight control mode. I accomplished expert research about standardization plan of unmanned flight control mode and confirm the necessity. Nowadays mode1 and 2 are mostly used in Korea so I carried out preference investigation for two modes. There were 4 preferences choices of RPA drone control mode necessity (importance) and recommendation of standardization modes. They answered that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is important considering pilot training, flight safety and positive development of drone industry. The result of standardization mode preference is that they prefer mode 2 (drone maker 86%, training facilities and research facilities 58%, government bureau 60%). Overall preference result shows that mode 1 24%, mode 1&2 16%, mode 2 60%. So they preferred mode 2 by 60%. The differences between two modes are the direction of throttle and pitch. Direction of throttle and pitch operate opposite way. They prefer mode 2 because mode 2 has similarities of manned flight control mod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ed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and flight control preference in a quantitative way. It will help drone standardization in related industries and development direction near future.
        4,000원
        2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수리 11개체에 GPS를 부착하여 비행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에 월동기간은 평균 131일 (SD=17.4)이었고, 평균 비상 비율은 19.6%이었다. 비행고도는 100 m 이하가 21.6%이었으며, 101~200 m는 25.3%, 201~300 m는 19.0% 로, 300 m 이하가 65.9%이었다. 시간대별 비상률과 고도는 양의 상관관계 (r=0.929)를 보였고, 월별 비행고도 비율은 대부분 101~200 m에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p<0.05). 월동기 독수리는 비행비율을 낮추고 300 m 이하 고도에서 비행하였다. 독수리의 넓은 행동권, 높은 비 행비율, 높은 고도 비행특성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먹이를 찾는 효율적인 비행방법으로 판단된다.
        4,000원
        2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ambrosia beetle species, Xyleborus glabratus, Monarthrum mali, and Euwallacea fornicatus belong to subfamily, Scolytinae, showing similar morphology and body size, but their flight capability and patterns showed species-specific. Body length of Xyleborus glabratus and Monarthrum mal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ight capabilities; shorter beetles performed longer average flights, longer single flights, total flight distance, and total flight time. Elytral length als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ight distance in X. glabratus and M. mali. Conversely, only average flight time of E. fornicat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length, pronotal width, and elytral length. Body length had no effect on the flight velocity of any of the three beetle species examined.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body size characteristics of ambrosia beetles differentially influence on their dispersal by species.
        2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develop a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spring flight period of overwintering Ips acuminatus adult, their density were monitored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s at Chuncheon in 2015. The monitoring data of the beetles and temperature in the forests were used to develop the empirical predictive model based on degree-day model, and it was validated using the data from Korean pine forest at Wonju in 2018.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for flight (LTF) and a thermal requirement for the onset of flight activity of the beetles in spring were estimated. As the result, the LTF was estimated as 1.3 ℃ and 269.96 DD was required for the spring flight. The median flight date estimated by the empirical model was one day earlier than the observed flight date. Therefore, the model is suitable for predicting the spring flight of overwintering I. acuminatus.
        3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의 체내 선충보유량에 따른 비행능력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춘천시 지내리의 잣나무림에서 어리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mucronatus)에 감염이 확인된 북방수염하늘소 암·수 각 20마리를 채집, 실내사육 후 우화-섭식 1 주일이 지난 시점부터 1주 간격으로 Flight mill을 이용하여 비행실험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사육통 바닥에 여과지와 섭식한 잣나무 신초를 3~4일 마다 교체 후 Baermman funnel법으로 소나무 재선충을 분리하여 그 수를 조사, 비행능력과 선충보유량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약 50,000마리 이상 선충을 체내에 보유시 비행능력이 급감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선충의 체내 보유량에 따른 비행능력의 차이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31.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방무인기 운용지침(안)을 제안하고자 비행환경 계측과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 해 계측용 소방무인기를 이용한 재난 및 사고현장의 고도별 온도, 고도별 풍속 측정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한 비행영향 요소, 비행임무조건, 비행한계 등을 도출하였다. 특히 무인항공기의 운용에 있어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운용 계획을 수립하고자 산악실험, 해안실험, 고도별 가시도 실험 등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사고현장 비행계획을 위한 재난 현장 비행사례 영상을 분석하였다.
        4,000원
        3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는 전 세계적으로 배를 포함한 과수와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가루깍지 벌레를 방제하기 위하여 가루깍지벌레 수컷의 온도별 발육과 교미비행 및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방제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루깍지벌레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에서 알이 산란 및 부화되지 않았고, 25℃까지 발육기간이 짧아지다가 30℃에서 다시 늘어났다. 산란수는 25℃에서 평균 482개로 나타났으며, 성비는 15℃, 20℃, 25℃에서 50%에 육박하였지만 30℃에서 수컷의 성비가 37%였다. 비행패턴은 오전에 비행이 많았고 그 중에서도 해가 뜨고 난 직후 2시간 이내에 가장 많았다. 광주기가 달라지더라도 해가 뜨고 난 후 4시간 사이에 비행하 는 개체가 많았다. 암조건만에서 암수를 사육하는 경우에도 비행이 일어났다. 상승 바람의 풍속에 따른 가루깍지벌레 수컷의 비행을 조사한 결과, 0.5 m거리 일 경우 1.5 mph 이상에서는 비행을 하지 못하였다. 배원에서 수컷의 비행은 2 m 이상에서는 채집되는 개체가 거의 없었고 1.5 m에서 가장 많은 수가 포획되어 트랩을 설치하는 높이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수컷 방사지점과 트랩 사이의 비행가능 거리를 보면, 0.5 m, 1 m, 5 m까지는 트랩에 잡히는 수가 많았고 10 m, 15 m, 20 m에서 적었다. 다만, 50 m까지도 채집되는 것으로 보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50 m 이상 떨어져 있는 수컷도 유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Conventional pre-saturation pulse for suppressing venous signals cannot be applied to time-of-flight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TOF-MRA) at 7 Tesla MRI due to specific absorption rate(SAR) limitation. The SAR could be attenuated with using low saturation flip angle, but a few repetitions are needed to reach signals below the steady-state signal of the brain t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ress venous system with clinically acceptable acquisition time by using 90 degree flip angle. Methods:The standard slab-selective radio-frequency and gradient waveform were modified to new-shaped models by minimum-time variable-rate selective excitation(Min-VERSE) algorithm. Excitation slice profile was measured and evaluated by a phantom scan. In volunteer measurement, the vessel-tissue contrast ratio of the sinuses(VTCR_S) and middle cerebral artery(VTCR_MCA) were assessed in correlation to surrounding tissue and compared to the values measured by the conventional TOF(cTOF) pulse sequence. Results:The experimentally-measured profiles showed that there was good agreement between conventional and modified pulse. The total scan time was 5 min 55 sec(Min-VERSE 90 FA, TR 28 ms) and 8 min 50 sec(90 FA, TR 42 ms). The quantitative results of ROI analysis were nearly similar, except the venous signal and VTCR_S at Min-VERSE 90 FA. Conclusions:We have presented that the use of Min-VERSE with high flip angle was useful. The total acquisition time was faster about 3 minutes and the signal analysis was hardly different to the values acquired by the values of 90 FA at cTOF. Since 7T MRI has been suitable for ultra-high resolution imaging, our protocol would be used by default for diagnosing various intracranial vascular pathologies.
        34.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piperazine 기반 상용화 된 NE70 분리막 표면 성분인 아마이드기가, 산 가수분해 이후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는 카르복실과 아민기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 15 w/v% 황산 수용액 조건에서 7일간 노출 전/후의 NE70 분리막을 ToF-SIMS 기기를 이용하여 카르복실산과 아민기를 포함하는, Molecular weight이 120 미만인 이차이온들을 비교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내산성이 있는 m-phenylene diamine 기반 상용화 된 NE90 분리막을 15 w/v% 황산 수용액 조건에서 63일간 노출 전/후 샘플을 비교군으로 두어 NE70 분리막에서 발생 되는 peak intensity 차이는 산 가수분해로 인해 발생한 것임을 추가로 확인 하였다.
        37.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flight operations are determined by real-time weather conditions, the importance of weather information utilization in the airline industry is absolutely critical. Especially, abnormal flight operations due to the weather phenomenon is directly linked to a loss of airline, and also causes a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customer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occurrence conditions and correlates abnormal flight operations by the meteorological phenomenon at 4 major airports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stable flight operation to make the best decisions.
        3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ymptoms of pine wilt disease caused by the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whichis recognized as a major forest pest. The PWN is transmitted by Monochamus saltuarius adults to healthy Korean whitepine (Pinus koraiensis). Because flight capacity of vector insects is important to protect pine forests, we tested flightdistance of M. saltuarius adults using flight mills in relation to biological characters (sex, age, and body weight). In addition,flight distance of M. saltuarius adults was compared between mated and unmated beetles to test effect of sexually matureon flight capacity. Although unmated adult beetles were more rapidly die compared with mated adults, total cumulatedflight distance during entire lifespan was differed according to whether mating or not, i.e., unmated adult beetles moretraversed than mated adults. Proportion of intermittent flights in mated femal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3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fety flight training can be done, through the platform proposed in this paper. This paper designed a flight dynamic model and identified essential functions in order to enable pilots to simulate a training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It also design activity diagram, concept as well as class diagram. This paper presents the main features and direction of aircraft to be equipped in the future standard platforms. By design main class of flight dynamic and description. it will help developer to setup the standard platform for aircraft simulatio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