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작용과 간 질환을 예방하는 약용곤충으로 널리 알려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2016년 12월 일반식품으로 등록되었으나 판매가가 높아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생산 단가를 낮추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업부산물인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와 표고버섯 수확 후 배지를 유충의 먹이로 급이하여 생육특성과 미량성분, 중금속함 량을 조사하였고 대조구로는 관행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하였다.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급이한 처리구가 유충사육기간이 16.2일로 가장 짧았고 유충 무게 증가율과 고치 무게는 각각 156.3%와 4.1 g이었다.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급이한 처리구에서 용화율은 100%였고 우화율은 93.9%로 가장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총질소함량도 10.28%로 가장 높았고 미량원소 중 철은 145.8 mg/kg으로 다른 먹이와 비교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성충의 산란선호성은 먹이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참나무 발효톱밥 대신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먹이로 사용하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100 kg 당 667,960원의 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 for setting a legal system for senior-friendly food. We conducted a web-based survey on 95 food industry workers. Answers to 10 questions in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it comes to food for seniors are the supply of balanced nutrition, enhancement of functionality, and promotion of convenience. A total of 47 respondents (51.1%) felt the need for a legal system for senior food, and they thought that a certification for senior-friendly food would be advantageous for companies. They said that there should be texture standards to promote ease of chewing, standards for functionality, nutritional standards, and safety standards to certify senior-friendly foods. A total of 41 people (44.6%) said that it was reasonable to classify Japanese food into five levels of senior-friendly foods according to ease of chewing. Certification management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implementing an activation plan for senior-friendly food.
최근 이슬람 시장 진출을 위하여 식물성 단백질를 이용한 한국형 대체육 패티의 K-food 개발이 현저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패티는 대표적인 HMR 식품으로, 간편하고 맛이 좋은 특성을 지니나, 패티는 쇠고기나 돼지고기 또는 닭고기 등 육류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므로 에너지와 지방 특히 포화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다. 이와 같은 이유로, 품질 개선이나 저장성 향상뿐만 아니라 건강에 긍정적인 특성을 지닌 육가공 대체 패티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패티 제품의 구매 평가 기준은 패티의 맛과 가격, 크기, 영양가 및 원료육의 품질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패티 패티는 주요 성분인 원료육과 지방, 향신료 및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품질 및 맛의 차이가 나타난다. 패티의 원료육으로는 주로 우육과 돈육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방은 대부분 우지방이나 돈지방을 사용하고 있는데, 지방을 사용하는 이유는 맛, 향, 조직감에 영향을 주며, 조리 후의 적당한 다즙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영양성분, 가공적성 등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정량의 지방 첨가는 중요하다. 패티는 대개 20% 내외의 지방을 원료육에 별도로 첨가시키거나, 지방이 붙어 있는 저급육을 사용하여 제조되나, 패티의 성분 중 순수한 정육부분을 제외하고는 지방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중요한 풍미 증진 성분이기 때문에 패티 제조 시 지방의 종류나 구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패티나 육제품에 사용되는 지방은 기호적, 이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지만 건강기능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동물성 지방으로 제조된 육제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포화지방산은 세포내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여러 심혈관계 질환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이 없고 불포화/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식물성 유지를 이용하여 동물성 지방을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티 재료 중 육류를 Texturized Soy Protein(TSP)로 대체하여 저에너지, 저지방 및 저콜레스테롤 패티를 개발하여, 이들 패티의 품질 특성과 관능성 및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티 패티 제조 시 첨가되는 동물성 지방인 돈지를 식물성 유지로 대체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rice flour infant food with mealworm content (0, 15, and 30%) at 110 and 140℃ die temperature and 20 and 25% moisture content. An increase in mealworm content from 0 to 30% led to increased redness, yellowness, color different, water absorption index, reducing sugar, digestibility of protein and rancidity but decreased lightness, water solubility index, and digestibility of starch. Paste viscosity of extruda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mealworm content from 0 to 15%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mealworm content from 15 to 30%. Elevation of die temperature resulted in increased color difference, water absorption index, and rancidity but decreased water solubility index and digestibility of starch. As moisture content increased, water absorption index and reducing sugar at 140℃ die temperature increased, whereas color difference, water solubility index, and reducing sugar at 110℃ die temperature decreased. In conclusion, addition of mealworm content and extrusion process could enhance nutritional quality and th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extrudates.
Now days, customer’s health awareness is of extreme significance. Food can become contaminated at any point during production, preparation and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of key importance for the perishable food supply chain to monitor the food quality and safety. Traceability system offers complete food information and therefore, it guarantees food quality and safety. The current study postulates a low cost IoT-based traceability system that utilized RFID and smartphone-based sensors. The RFID handheld reader based on smartphone is utilized to track and trace the product. In addition the smartphone-based sensor is used to measure temperature, humidity, and location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The proposed system was verified for kimchi supply chain in Korea, and revealed significant benefits to managers as well as customers by providing the real-time product information, location as well as complete temperature and humidity history. The results displayed that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s, the proposed system is capable of tracking products as well as processing an immense input of data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 this study, a relatively effective process is used to sterilize Escherichia coli on the surface of micro-sized calcium citrate powder using nitrogen and argon as process gases in a low-temperature vacuum plasma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nd to introduce the effectiveness of homogeneous surface treatment for the sterilization of fine inorganic powder by the rotatable low-temperature RF plasma system designed by ourselves. The results of the test using 3M petrifilm showed that there were no remarkable spots in the case of the surface of plasma treated powder, whereas the untreated powder showed many blue spots, which indicating that the E. coli was alive. After 5 days, in the same samples, the blue spots were seen to be larger and darker than before, while the plasma-treated powder showed no changes. The results from FE-SEM analysis showed that the E. coli was damaged and/or destroyed by reactive species generated in the plasma space, resulting in the E. coli being sterilized. Furthermore, the steriliz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selected parameters (N2 and Ar; flow rate 30 and 50 sccm) adapted in this study were mutually similar, regardless of such different process parameters, and this indicates that homogeneous treatment of powder surfaces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methods. Therefore, the plasma apparatus used in this study may be a practical method to use in a powerful sterilization process in powder-type food.
The Sasang constitution typology was analyzed through SCAT2 and a specialis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dietary pattern, and the difference in BMI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was determined. The Sasang constitution typology of the subjects was classified by SCAT2 and a specialist. Seventy-four subjects were screened by SCAT2 (SC), and 18 of them were judged by the specialist (SP). The results of SCAT2 and the specialist were consistent in 13 subjects (SS). BMI and food preference among these groups were compared. The concordance rate of SCAT2 and the specialist classification was 72.2%. The BMI in SC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rder of Taeeumin, Soyangin, and Soeumi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aeeumin and Soyangin in SP and SS.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food and the constitutional suitability, the ‘Yin-Yang food preference index’ wa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the data classified by constitutional food according to existing ideological medical theory. As a result, there were 33 food items that matched in the SP-SS, which was more than that in the SC-SP (4 items), SC-SS (6 items), and SCSP- SS (4 items). Twenty-four of the 33 matched food items wer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constitutional food data. In conclusion, SCAT2 is a very useful tool for Sasang constitutional research, but for more objective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subjects who show consistent results by different methods be targe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ort food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erceptions and to survey 295 consumers from December 10 to December 20 as the center of consumers who purchase retort food. As a result, most of the consumers who purchase retort food were women and the age were under 25 and 26 to 30 years old. There were many housewives and students in the occupation group and 2 to 3 in the family members. In addition, many graduated from college and many places of purchase were convenience stores and large discount stores. Consumer retort food purchase rate were high by 30-40% in meat products. Fish meat products were high by 30-40% and sauces were high by 20-30%. Instant foods were high by 20-30%, Tang (탕) / Guk (국) / Jigae (찌개) were high by 30-40% and canned food were high by lower than 10%.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retort food characteristics on positive perceptions only convenience were influential.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tort food on negative perceptions were influenced only by hygiene and standardization.
Malaysia is regarded as one of the leaders in the global halal marketplace, which has undergone huge growth in the past few year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imported food consumers in Malaysia based on Food Related Lifestyle (FRL) attributes and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each segmented groups. Using an online survey, a total of 600 responses were collected in Malaysia. Excluding invalid responses, cluster analysis segmented imported food consumers into four FRL groups: impulsive, high interest, low interest, and traditional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lifestyle, the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race, religion, and education level). Second, differences in purchasing behaviors (purchasing frequency, place, and information sources of imported food products) were verified. Especially, purchasing frequency of imported food was higher in the high interest consumer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marketing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폴리락타이드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유해 중금속인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을 측정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에 유통중인 폴리락타이드 시료 총 211건을 수거하였다. 용출실험은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조건 에 따라 식품모사용매인 4% acetic acid로 하였으며 온도 조건으로 70oC와 가혹사용조건인 100oC 모두 적용하여 이 행량을 비교하였다.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은 모두 70oC보다 100oC의 조건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납 의 최대 이행량은 기준·규격과 비교하여 1.0%의 낮은 수 준이었고, 카드뮴은 모두 미량이 검출되었으며, 비소의 최대 이행량은 기준·규격 대비 3.9%의 낮은 수준으로 기준·규격을 초과하는 시료는 없었다. 이행량 결과를 바탕으로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후 잠정주간섭취허용량 등과 비교하는 안전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용 폴리락타이드 기구 및 용기·포장을 통한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2.5 × 10−5~ 2.0 × 10−3μg/kg bw/day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용출조건별로는 70oC, 30분에서 카드뮴의 일일추정섭취량이 가장 낮았고, 100oC, 30분에서의 납 일일추정섭취량이 2.0 × 10−3μg/kg bw/day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나, 납의 위해도는 인체안전기준(25 μg/kg bw/week)과 비교시 0.055% 수준으로 매우 낮음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국내 유통 폴리락타이드 재질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의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은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 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화랑곡나방 유충(Plodia interpunctella)에 대해 기피력을 갖는 팔각회향 에센셜 오일을 혼입한 폴리우레탄계 코팅액 제조 기술을 이용해 식품용 방충 다층필름 제작하고 유충에 대한 필름의 기피효과를 측정하였다. 방충 물질을 선정하기 위해, 총 9 종류의 에센셜 오일을 스크리닝하였으며 팔각회향이 가장 우수한 기피효과를 보였다. 이를 방충 물질로 선정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코팅액을 polyethylene terephthalate 12 μm 필름 표면에 코팅하였다. 방충 물질이 코팅된 필름은 polypropylene 30 μm을 적층하여 다층필름으로 제조하였으며, 개발된 필름의 화랑곡나방 유충에 대한 기피력 측정이 진행되었다. 기피테스트 결과, 대조군 필름은 유충에 대한 기피 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개발된 방충 필름은 보다 지속적인 기피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 포장재에 적용 가능한 표면코팅기술을 개발하고 그 방충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식품 중 곤충 이물 저감화를 위한 식품포장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식품생산현장에서 제품 생산 중 오염되는 이물의 발생경로, 원인은 식품 유형별로 매우 다양하나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대별된다. 첫 번째는 원부자재, 작업 인원, 생산현장의 음압 발생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이며 두 번째는 생산현장 내부의 설비, 배관, 내벽 틈새 등에서 발생되는 이물이다. 따라서 식품생산현장에서는 기본적으로 현장내부의 곤충 포획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곤충과 내부에서 발생되는 곤충 종을 구분하고 생산현장 입고단계 주변의 서식처 제거, 생산현장 양압공조 개선, 원부자재의 유입경로와 생산현장 작업동선을 고려하여 해충 유입 경로를 분석하고 유입된 해충과 내부 서식해충의 확산 경로를 추적하는 지속적인 모니터링, 시설, 설비, 공조, 배관의 불합리 개소 지속 발굴, 개선하는 관리가 수반되어야한다.
식품 중 곰팡이 이물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식품 제조 및 유통/보관 현장에서의 곰팡이 오염수준 및 주요 곰팡이류를 조사하였다. 측정은 식품유형별 총 8장소(과자류, 젓갈류, 식초류, 빵류, 쌀류, 밀가루류, 냉동만두류, 생면류)와 유통/보관현장 총 8장소(물류창고)에서 진행하였고, 각 생산라인에서 부유곰팡이, 표면 곰팡이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측정결과, 젓갈류 생산현장에서 부유곰팡이 오염도는 5.5 × 102 CFU/m3 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쌀류 생산현장에서 의 부유곰팡이 오염도는 38 CFU/m3 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설비 및 벽면에서의 표면 곰팡이 오염도의 경우, 식품 제조 및 유통/보관 현장에 관계없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현장에서 검출된 주요곰팡이류를 조사한 결과, 총 42종의 곰팡이가 검출되었고, 그 중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Cladosporium sp. 종이 우점종 곰팡이로 조사되었다. 기존 문헌에서 알려진 식품제조현장에서의 곰팡이 종과 공통적으로 발견된 종은 총 8종이고 새롭게 발견된 종은 총 34종으로 조사되었다.
식품 중 발견 이물은 광물성, 동물성, 식물성 이물로 대별된다. 식약처 이물 발생 신고 자료를 보면 곤충(35%), 곰팡이(10%), 금속(8%), 플라스틱(5%) 순으로 곤충이물이 거의 모든 식품유형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며 제조 중 발생(6.5%) 보다는 소비, 유통 단계 유입(39.4%), 판정불가(53.4%)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곤충 이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체 위해성과는 큰 관계는 없으나 소비자에게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며(특히 생존곤충 발견 시) 비위생적 취급의 우려로 인해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언론과 소비자단체를 통해 지속적인 이슈가 되어 식품 기업의 매출감소, 위생, 안전성 측면의 신뢰도를 감소시키고 이물관련 공무원의 이물조사 업무가중 등 행정력낭비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실용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이물 저감화 기술의 개발로 이물발생을 낮추고 국민의 식품안전에 대한 체감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