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이 직면한 혁신의 장애요인을 자금부족과 정보부족으로 조명하 고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의 장애요인인 자금부족은 수 직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보부족은 수직적 협 력과 수평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기존 연구들은 R&D협력의 선행요인으로서 기업 내부의 활동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혁신 의 장애요인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경쟁의 구도가 기업과 경쟁사 사이의 기업 간 경쟁에서 서로 다른 협력 집단들 간의 경쟁구도로 변화함에 따라 R&D협력 유형을 범위를 수평적 협 력까지 확장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Financial Effect Measurement (FEM) models which measures both the improvement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Quality Control Circle (QCC) and activities of Six Sigma. Concepts and principle of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CIS), Balanced Scorecard (BSC), Time-Driven Activity Based-Costing (TDABC) and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TPM) are applied in order to develop the 4 FEM models presented in this paper. First of all, FEM using CIS depicts the improvement effects of production capacity and yield using relationships between demand and supply, and line balancing efficiency between bottleneck process and non-bottleneck processes . Secondly, cause-and-effect rela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is used to present Critical Success Factor (CSF) effects for QC Story 15 steps of QCC and DMAIC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and Control) of Six Sigma. The next is FEM model for service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that uses TDABC to calculate the time-driven effect for improving the indirec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ost object. Lastly, FEM model for TPM activities 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improvement effect model of TPM Capital Expenditure (CAPEX) and Operating Expenditure (OPEX) maintenance using profit, cash and Economic Added Value (EVA) as metrics of enterprise values. To better understand and further investigate FEMs, recent cases on National Quality Circle Contest are used to evaluate new financial effect measurement developed in this paper.
In this research,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model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as developed. To develop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model, two analytic technic was used. First one is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give weight to each main index. Second one is fuzzy set theory to represent ambiguous index to numerical value. Finally,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model was achieved in combination with the same weight to AHP analysis and fuzzy set theory. With these result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an know important point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기술의 급속한 발전, 글로벌화된 시장 및 사회환경은 기업들에게 전통적 관료제에서 강조해 온 효율성 뿐만 아니라 혁신과 품질에 대한 경쟁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료제를 넘어서 참여, 평등, 협동의 원리가 강조되는 공동체주의적(communitarian) 기업모델이 등장하면서 인사관리 또한 통제중심에서 몰 입지향 인사관리(commitment oriented HRM)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체주의적 기 업의 구조적 특성 파악의 일환으로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장패널조사(WPS2011) 자료를 토대로 하여 우 리나라의 인사관리 및 노사관계에서 사업장내 인사이슈에 대한 근로자참여(즉,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조 직의사소통 (참여)의 관계와 이들 활동이 혁신에 어떻게 영향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검정결과, 첫째 몰입 지향 인사관리특성을 갖춘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소통이 모두 활발히 이루어지는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혁신활동 및 성과의 관계는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 소통 모두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는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의 주요 목적이자 가치인 사회적 효용(social utility)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향 및 하향의 조직의사소통 방향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근로자간 (수평) 의사소통의 질이 모두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사회, 기업 및 사업장 차원(단위)에서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가 토착화되기 위하여 향후연 구에서는 인사 및 노사이슈에 대한 인사부서와 근로자대표기구 및 근로자의 (모범적인) 역할관계의 정립 과 그에 관한 다양한 실증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CEO의 혁신성, 학습적 문화, 정보 시스템 활용 수준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 한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김해시에서 활동하 고 있는 중소제조기업 12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CEO의 혁신성과 학습 문화는 각각 기업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기업의 혁신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혁신은 대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며 대기업에게만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원 이 부족하지만 CEO의 경영 스타일과 학습적 문화와 같이 거대한 자본을 들이지 않는 혁신활동으로도 기업의 혁 신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중소기업에게 있어 혁신이 기업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기 에 중소기업의 CEO는 실무적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 달리 혁신성과를 경제적 성과와 연결하여 살펴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KIS)를 이용하 여, R&D협력과 내부R&D투자와의 양방향성 관계를 규명하고, 내부R&D투자와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기업의 내부R&D투자와 R&D협력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해서는 두 개의 방정식을 설정하고 SUR 모형으로 동시에 추정하였고 내부R&D투 자와 R&D협력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Probit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국내 R&D 활동에 관한 기존 문헌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R&D협력, 내부R&D투자 및 기술혁신과 정의 구조적 체계를 감안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R&D협력과 내 부R&D투자의 관계는 서로 양방향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내부R&D투자는 기술혁신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내부R&D투자와 R&D협력간의 양방향성과 보완성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높이는 것이 R&D시스템의 효율성 제 고에 도움이 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To achieve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firm is required innovative activities and competences. Howeve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is hard to achieve a superior performance because they possess low competences. So, this paper identify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by firm size in motor and electronics industry based on a resource-based view.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innovation activities and competence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using firm-level data provided by Korea Innovation Survey (KIS). The empirical evidence presented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determinants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industry and firm size.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big issue in business management recently. However, employ's job satisfaction is appeared as low. In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those long-term employs.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is prioritized by AHP analysis based on results of survey to compare to the results of previously studied research. An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by comparing the facts in two different groups of occupation.
In this paper,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domestic market, global competition is intensifying in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capacity building of SM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diagnostic indicator placed on the purpose. In this model, the results of applying several companies overall global innovation pilot enterprises and non-rated global innovative companies award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and the ability to believe the show. Non-global innovation companies, the relative firm size factor and R&D investment and patent number of factors are lacking appeared shone This is a common small business nature of the majority of companies small and R&D investment, the absolute amount is insufficient to reflect that, but the global innovator in the case of firm size and the relatively large amount of investment that never shows.
글로벌 수준에서의 환경, 경제, 사회적 차원의 거대한 도전은 이제까지의 이윤추구 위주의 기업 활동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기업은 경제적 주체임 과 동시에 사회적, 환경적 책무를 가진 사회적 주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 활동이 새로운 현상으로 발흥함에 따라 기업의 정체성, 활동 동기와 비즈니스 모델 진화에 대한 기술혁신 관점에서의 확장된 논의가 요청된 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에 있어 기업의 역할에 주목하고, ‘전환지향적 기업’ 개념을 제출함으로써 기존의 경제적 관점에서만 고려되어온 기업의 개념을 사 회적 문맥 하에서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업이 전환활동에 참여하는 동기,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및 전환을 위한 조직 및 전략 등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의 새로운 범주의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론 및 사례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비즈니스 모델 혁 신의 유형을 크게 기술적 혁신, 조직적 혁신, 사회적 혁신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 고 각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기술 (인지)적, 조직적, 시스템적 차원에서 장애요인에 직면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극 복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기업전략과 시스템 전환을 지원하는 정책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최근 치열해지는 시장경쟁과 함께 가속화⋅다양화되는 기술혁신의 환경 변화 로 인해 기업들은 기존의 제품혁신이나 한정된 서비스의 제공만으로는 고객들의 요구와 기 대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으며, 비즈니스모델(BM) 혁신을 통해 그 해법을 찾고자 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BM혁신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여 연구개발서비스업 내 BM혁신 의 필요성과 성공 요건에 관한 명제들을 도출하고, 자동차 R&D서비스업에서 선도적 글로벌 기업인 AVL과 ETAS의 BM혁신에 대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명제들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BM이 혁신을 통한 가치 창출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연구개발서비스업 분야에서 기술적 역량을 갖춘 기업이 BM혁신을 통해 어떻게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례기 업들은 고객을 위한 가치 제안과 기업의 이윤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품(기술)-서비스 융 합에 기반한 BM을 수립하고 자사에 적합한 보완적 자산을 차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BM혁 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기술혁신경영분야에서 BM혁신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며, 국내 연구개발서비스업과 연구개발전문기업들이 향후에 혁신적 BM에 기반해 효과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는 국민을 창조활동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기존의 전문가 중심, 과학기술공급중심의 경제사회발전전략과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 해석과 정책 실행에 있어 그 특징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가 주목한 국민의 창의성이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 무엇이 다르며, 그것이 정책 패러다임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광범위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창조경제가 담아내야 할 도전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은 사용자로서의 창의성에 더불어 인문학적, 철학적, 윤리적, 경험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는 구분되는 고유의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의 창의성,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의 발현은 삶의 가치에 대한 선택을 내포하며 이는 소비행태의 변화, 삶의 방식의 변화를 통해 기술 고착, 사용자 고착을 타파함으로써 시스템 혁신을 이루거나 새로운 사회ㆍ기술시스템의 구성 혹은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민의 창의성은 기존의 전문가/과학기술공급중심 혁신 패러다임이 아닌 사용자/현장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토대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창의성에 주목하고 있는 창조경제는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경제사회발전정책과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silence climate on the innovation behavior and LMX (Leader-Member Exchange). In order to test our model, we conducted a survey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silence climat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behavior and LMX. Secondly, The LMX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Moreover, the LMX partially mediated silence climate and the innovation behavior. Finally, we drew a conclusion by discussing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물로서 창출되는 특허정보의 거시적ㆍ미시적 분석을 통해 기술혁신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허성과의 기술군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이 IT계열 기술군으로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군별 상대적인용도지수(RCI)의 분석은 향후 BT계열 기술군이 부상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상대적시장확보지수(RFI)는 BT계열 및 IT계열과 같은 기술적 파급이 큰 기술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융ㆍ복합화, 연구개발 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에 대한 신규지표를 설계하고,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군 사이의 흡수-파생 관계, 연구개발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종기술간 기술 융ㆍ복합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상이한 연구개발주체들 사이의 연구개발 협력성과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해당 결정요인들을 바탕으로 실행된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이 다국적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해보기 위함이다. 제도적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규제적 압력과 글로벌 경쟁자 압력이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다국적기업의 친환경혁신전략과 경영성과 간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가설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든 주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통합적인 모형을 나타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PLS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바탕으로 검증 되었으며 자료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다국적기업의 본사 중 식품가공 및 처리를 제외한 제조업만을 한정하여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또한 경로분석에 앞서 수집된 자료의 편의를 없애기 위해 무응답편의 및 동일방법편의 진단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제도적 압력 요인들이 다국적기업의 친환경혁신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와 더불어, 본 연구결과는 다국적기업 의 친환경혁신전략이 기업의 경영성과 개선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an increasingly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innovation output occupies a central position among all organizational outputs, not only because it is a primary way in which firms compete and grow, but also because it profoundly influences social and economic evolution (Eisenhardt & Tabrizi, 1995; Sorensen & Stuart, 2000).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an organization’s ability to produce new ideas and continually innovate thus is a fundamental issue in strategic management and marketing fields. Among all sort of determinants, collaboration with buyers to create value through innovation has attracted particular attention from scholars (von Hippel, 1988; Thomke & von Hippel, 2002; Sawhney, Verona, & Prandelli, 2005).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Internet-based collaboration in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in promoting product innovation of supplying firms. Drawing on the juxtaposition of the governance literature and social exchange theory, we proposed that Internet-based collaboration positively affects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of supplying firms, but too much dependence on it impedes product innovation. That is, Internet-based collaboration ha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of supplying firms. It further posited that in-person interaction between buying and supplying firms strengthens the positive effect of Internet-based collaboration on product innovation, such that when the degree of in-person interaction is high, Internet-based collaboration is associated with better innovation performance. These propositions were tested using data from a large survey conducted by a survey data on buyer-supplier relationships in China. The results show that Internet-based collaboration has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is positive effect declines after the degree of Internet-based collaboration goes beyond a threshold. Moreover, the first-order effect of Internet-based collaboration is stronger when the degree of in-person interaction is high than when it is low. The optimal level of Internet-based collaboration in low degree of in-person interaction is moderate, whereas when in-person interaction is more frequently used in connecting with buying firms the optimal level rises. These results provide strong supports for the predictions of hypo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media 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based on a theoretical foundation. Social media was firstly used as a new communication tool by internet users, and is being commercialized as a powerful tool to build and maintain long-term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 and businesses. This study focuses on service sectors and aims to clarify how social media helps companies innovate traditional CRM. Social CRM is seen as one of these service innovations and is highlighted in this paper.
These days, thanks to lots of smart devices and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onsumer’s recognition and relations have been changed. They, beyond relying on information and services which are produced by experts, produce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themselves via SNS or web that they want to know. As consumer’s recognition is changing like this, SNS is evolving into social platform. Theref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characteristics in social platform, knowledge sharing, social capital, social innovation and customer’s value. This paper has clarified influence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consumer’s behaviors in social platform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network characteristics in social platform a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knowledge sharing efforts of social platform. Second, knowledge sharing has been found to positively affect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in social platform. However, enjoyment in helping others i.e a sub variable is found to positively affect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through anticipated reciprocal relationships. Third,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in social platform have affected customer value in social platform positively. Consequently, this paper is intended to solve various problems found from overall societies and industries through social innovation and also to advance them. For these purposes, social platform is believed to prompt sharing idea and knowledge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social relationship. These actions become social capitals resulting in social innovation. Moreover, these would create new businesses and marketing opportunities across various areas in the processes that innovative activities form customer values.
Although cross-functional conflicts occur between market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departments, empirical research on the inherent mechanism remains scant. This study examine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various cross-functional conflict types. Trust moderates conflict resolution in a sample of 135 Chinese high-tech companies. Results show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for cross-functional task conflict and a negative relationship for cross-functional relationships on team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performance. Trus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oss-functional task conflict and team effectiveness; however, the results do not show trust’s link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effectiveness. When trust is high, the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cross-functional task conflict and team effectiveness becomes positive. This study offers executives new guidelines for managing conflict and trust to improve high-tech firm’s innovation climate.
Partnerships have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However, the amount of empirical attention devoted to determining how firms intensively co-produce with alliance partners to improve their innovation performance is lacking. In response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co-production in the partnerships, this study addresses how firms integrate their alliance partners as co-creators into the innovation process. Specifically, this study not only integrates the thre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examines their separate effects on co-production but also incorporates the roles of absorptive capacity and self-efficacy and investigates their influences on innovation. That is, co-production may operate through absorptive capacity and self-efficacy to increase innovation because knowledge is exchanged and utilized and firms are willing to select challenging goals and remain firmly committed to fulfill them within the network. The proposed model is test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Findings indicat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co-production. Moreover, co-produ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self-efficacy. Absorptive capacity and self-efficacy enhance innovation. As such, we suggest that co-production should be considered explicitly in the management of a partnership and should be developed through mentioned above platform, encouraging and enabling both parties to work together for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