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0

        26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under double cropping system such as winter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rice (WBFR) or after Sorghum ㎡ Sudan hybrid (WBASS) in paddy l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at Baeksan-myeon, Kimje, Jeonbuk province in Korea on clay loam soil for 3 years. All plots were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yield of dry matter (DM) of whole crop barley in WBASS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WBFR. And then, the contents of ADF, NDF and TDN of whole crop barley in WBASS treatment were higher t㏊n those of WBFR.
        26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은 매년 봄철 중국의 서부지역 및 몽골로부터 불어오는 황사 피해를 받고 있다. 황사발생은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멀리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중국의 서부지역은 장기간의 기후변화와 인간의 훼손행위로 인해 사막화가 급격히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을 비롯한 각국은 식물식재를 통한 사막의 생태적인 복원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막의 생태적인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중국 서북부의 대표적인 건조지인 빠이청(白城)지역의 식생을 조사하였다. 건조지에 1차적으로 침입한 강아지풀은 건조에 따른 토양의 염분농도 상승과 알칼리화와 더불어 Artemisia mongolica-강아지풀군락을 비롯하여 강아지풀-Cannabis sativa var. fruderalis 군락으로 천이하였다. 환경조건의 지속적인 악화와 더불어 강한 바람에 의한 증발량 상승으로 건조가 극심한 평지에서는 최종적으로 Artemisia mongolica 군락이 일부 잔존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라 간헐적인 그늘이 생길 수 있는 구릉지는 상대적으로 공중습도가 확보될 수 있어 다른 유형의 식생이 나타났다. 조사대상지의 전 지역에 흔히 분포하는 남가새군락은 토양환경 악화와 더불어 남가새-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으로 천이하였고 낮은 구릉지 지형조건에서 환경악화와 더불어 건조와 토양염분 및 강알칼 토양에 강한 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이 최종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본 조사지 일대에서 건조에 강한 27과 49속 58종 4변종의 총 6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환경내성이 뛰어난 국화과식물이 27.4%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4,000원
        26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해안 매립도시인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완충녹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완충녹지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산시 철도별 완충녹지의 식재밀도는 0.04~0.17주/m2 이었고, 녹지용적계수는 0.15~1.65m3/m2로 녹량이 부족하여 완충기능이 미흡하였다. 마운딩 완충녹지의 토양경도는 2.72~15kg/cm2로 식생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다. 완충녹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 측면의 생물서식기능, 주변 토지이용 측면의 도시공원기능, 식재수종 계절성 측면의 경관개선기능을 검토하였다. 완충녹지를 기능에 따라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경관개선기능의 완충녹지, 경관 및 도시공원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로 재설정하였다. 완충기능 식재방안에서는 곰솔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4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고, 경관개선 기능에서는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2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다. 생물서식기능에서는 상수리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적정 식재 밀도를 교목종 0.06주/m2, 아교목종 0.1주/m2, 관목종 0.8주/m2로 식재밀도를 제시하였다.
        4,900원
        27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1984년에 방조제가 완공된 충남 당진군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의 한국농촌공사 시험연구포장에서 2004년 3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여름 작물에서 출현율은 수수수단그라스 파종구에서 로 매우 낮았다. 겨울작물에서는 총체 벼 재배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월동율은 총체 벼 재배 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수단그라스 재배후 총체보리 파종구가 가장 낮았다. 하작물과 동작물을 연계한
        4,000원
        27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276.
        2007.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Rapid urbanization enhanced the inner city inhabitants quality of life in sociel, cultured, and economical side. However, due to global warming environmented side has not improved. Rather, ecological environment got worse. This study is to improve to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n the densely built-up inner city area by analizing ecological preservation land suitability. Ecological preservation land suitability analysis has been developed by Ian McHarg through Map overlay method and it has evolaed into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used in distributed model, evaluating model , and in Korea ,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nd envi개 ment assessment. The concept, Finding to the utilize the land by analyzing the land’s ecological specificity starts with the basic concept that human and environment can coexist.
        5,800원
        279.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reservoir water quality and land use types of the watersheds. In order to derive regression equation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using observed data from 88 reservoirs in the Kyungpook Provcince. The measured values of BOD, COD, T-N, and T-P were correlated with the areas of land use types. 23 regression equations were obtained for all the water quality items and watershed sizes. The results showed that 2 regression equations have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MCC) above 0.90, 10 regression equations have the MCC values from 0.70 to 0.90, 9 equations have the MCC from 0.40 to 0.70, and 2 equations have the MCC from 0.20 to 0.4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imate reservoir water quality simply and quickly in the planning phas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