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101.
        202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osphate industry is classified by IAEA as one of the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industry sectors most likely to require regulatory consideration. The production of phosphorous fertilizers constitutes the major activity in the industry, which can give rise to exposures of workers and the public through the handling and usage of phosphate rock and residues associated with processing.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when phosphate rock is digested with acid to produce phosphoric acid, some radionuclides, particularly Radium, become concentrated in residues, such as the scale that tends to form inside pipes and vessels. The registered radioactivity of phosphate rock in South Korea is less than 1.7 Bq/g for U-238, but according to the IAEA SRS No. 49, the radioactivity of phosphate scale can be up to 1,000 times higher than the raw mineral.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for worker exposure during maintenance related to the removal of scales at a fertilizer manufacturing facility producing phosphoric acid in Korea.
        102.
        202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omestic representative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are post-irradiation examination facility (PIEF) and Irradiated Examination Facility (IMEF) at KAERI. They have regularly operated since 1991 and 1993, respectively. Due to the long period of use, the facilities are ageing, and maintenance costs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 maintenance methods have mainly been breakdown maintenance (BM) and partially preventive maintenance (PM). They involve replacing components that have problems through periodic inspections by on-site inspectors. However, these methods are not only uncertain in terms of replacement cycles due to worker’s deviation on the inspection results, but also make it difficult to respond accidents developed through failures on the critical equipment that confines radioactive material. Therefore, an advanced operation and maintenance studied in 2022 through all of nuclear facilities operated at KAERI. Advancement strategy in four categories (safety, sustainability, performance, innovativeness) was analyzed and their priorities according to a facility environment were determined so a roadmap for advanced operation and maintenance could be developed. The safety and sustainability are higher importance than the performance and innovativeness because facilities at KAERI has an emphasi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industrial production. Thus, strategy for advancement has focused even more on strengthening the safety and sustainability. To enhance safet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mmediate improvement of aged structures, systems, and components (SSCs) through large-scale replacement is necessary, while consideration of implementing an ageing management program (AMP) in the medium to long term is also required. Facility sustainability requires strengthening operation expertise through training,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specialized personnel for each system, and addressing outstanding regulatory issues such as approval of radiation environment report on the nuclear fuel processing facilities and improvement work according to fire hazard analysis. One of the safety enhancement methods, AMP, is a new maintenance approach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applied, so it had to be thoroughly examined.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dur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n AMP. An AMP for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AMP applied to the BR2 research reactor in Belgium and modifying it for application to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The ageing management for BR2 has the objective to maintain safety, availability and cost efficiency and three-step process. The first step is the classification of SSCs into four classes to apply graded approach. Secondly, ageing risk is assessed to identify critical failure modes, their frequency and precursors. Final step involves defining measures to reduce the ageing risk to an acceptable level in order to integrate the physical and economic aspects of ageing into a strategy for inspection, repair, and replacement. Similar approach was applied to the nuclear fuel cycle facility. Firstly, the SSCs of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afety and quality classifications, as well as whether they are part of the confinement boundary. The SSCs involved in the confinement boundary were given more weight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even if they are not classified as safety-class. A risk index for ageing was introduced to determine which prevention and mitigation measure should be chosen. By multiplying the health index and the impact index, the ageing risk matrix provides a numerical score that represents guidance on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ageing effect. The health index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likelihood of failure and engineering evalu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 of SSCs, whereas the impact index is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everity of consequences and the duration of downtime resulting from a failure. This ageing management has to be thoroughly reviewed and modified to suit each facility before being applied to nuclear fuel cycle facilities.
        10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에서 보운영에 의한 유사이송능력에 영향을 주는 수리학적 특성변화를 분석하고, 낙동강 주요 4개 지점(낙동, 구미, 왜관, 진동)의 유량-유사량 실측값을 분석하여, 각 지점별 지수형 유량-유사량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모든 지점에서 유사이송능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 었으며 실제로 4대강 사업 이후인 2013년도 실측결과 사업 이전에 비해 유사이송 능력이 확연히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GUIDE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9개 범용 유사이송능 산정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여 4개 지점별로 적용 가능한 기법을 선정, 제시하였다. 주요 9개 지류를 포함한 낙동강 전 구간에 대한 유사수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퇴적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이송능 산정기법으로는 Engelund-Hansen 공식이 가장 작은 오차를 보였으며 이는 4개 지점별 유사이송능 산정기법 적용성 검토 결과와도 일치한다. 한편 유사수지분석이 내포하는 오차가 낙동강 9개 지류로 부터 유입되는 유사량 오차보다 더 작게 나타나 낙동강의 경우 지류의 유입유사량 산정기법에 대한 정밀도 향상이 시급한 과제임을 확인하였다.
        104.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 지역의 공립 유치원 방과후 과정 전반적인 운영 체계, 급·간식 및 안전 관리, 교직원 구성, 시설 및 행·재정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제주도에 소재 하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방과후 과정 업무를 담당한 교사 89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5년 1월 5일 (월) ∼ 1월 23일(금)까지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성화 프로그램을 가르치는 외부강사의 질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급·간식 업무는 전문가의 영양(교)사가 담당해야 하며 보안시설이 완비되고 보안 담당자가 배치된 안 전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방과후 과정의 인력 배치가 확대 되어야 한다. 넷째, 방과후 과정의 예산이 확대 와 행정 실무 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업무를 지원 하는 교육청의 행·재정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05.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Purpose of paper is to clarify this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s)’s essence and advantages as well as disadvantages, and then it will take it out some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ogether. To do so, PPP should be examined carefully and then landlord port will be investigated in view of PPP, then, it will give some implications whether or not PPP is successful to apply more port in concer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methodology that I take is to look into both PPPs and then to look intp landlord port in view of PPP. By doing so, it can be more understandable to PPP in port industry. Results – It can be found that landlord port system is more valuable and applicable instrument to adapt for port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which leads to efficient port management. Conclusions – Landlord port system is an alternative instrument to be apply to port management in terms of PPP, and it has been justified that many worldclass port has taken this landlord port management system.
        10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hip-to-ship (STS) lightering operation takes place in order to transfer cargo (e.g. crude oil or petroleum products) between an ocean-going ship and a service ship alongside it. Instrumental measurement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relative speeds and distances during the approach between the vessels would benefit the operational safety and efficiency. A velocity information GPS (VI-GPS) system, which uses the instantaneous velocity measures from carrier-phase Doppler measurement, has been applied in a field observation onboard a service ship (Aframax tanker) approaching a ship-to-be-lightered (VLCC) in open waters. This article proposes to apply VI-GPS as the input sensor to a guidance and decision-support system aiming to provide accurate velocity information to the officer in charge of an STS operation. A method for precise velocity measurement using VI-GPS was described and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compared each other with the results of Voyage Data Recorder (VDR) and VI-GPS that showed the concept of a guidance and decision-support system applying VI-GPS with the field test results during STS operations. Also, it turned out that VI-GPS has sufficient accuracy to serve as an input sensor from the field test results.
        10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 이르러 기후변화에 따른 급격한 지구온난화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임하-안동댐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유량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목적댐 운영 전략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래 유량 전망결과를 이용하여 댐군을 연계운영하고 그 영향을 단독 댐 운영방법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을 고려하기 위해 GCM와 통계학적 축소화 기법인 일기발생기 LARS-WG, 유출전망 모형 abcd에 적용하여 미래 전망 댐 유입량을 산정하였다. 수위운영방법이 기존 댐 운영방법에 대한 모의로 선정되었으며, 대안으로서 New York City rule을 적용한 선형계획법의 댐군 연계운영 모형을 적용하였다. 미래 유입량 전망결과는 과거의 연 총 유입량에 비하여 안동댐에서 평균 72.81%, 임하댐에서 평균 65.65% 감소하였다. 미래 유입량 전망자료를 댐 운영모형에 적용한 결과, 연계운영한 결과의 신뢰도가 평균 62.22%로 단독 운영 결과의 신뢰도 47.55%에 비해 GCM 종류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수량 부족으로 인해 신뢰도가 낮은 경우, 편차는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동-임하 댐군에 연계운영을 적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량의 변화에 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8.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rea is located on the western coast, and the inner development construction has been ongoing since 2011. The purposes of current study are to effectively simulate and quantitatively predict a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ue to the stages of inner development construction in saemangeum reclaimed area. The transient-state numerical modeling using EFDC model is done,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re validated reasonably by repetitive numerical model calibration procedures with respect to field measuremen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 similar trends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dikes. In spring season, the salinity has maximum value of 21 psu, while, in summer season, the salinity shows 7 psu in a whole modeling domain. Thus, it is clearly observed that salt water is replaced by freshwater. However, the salinity and temperature reach their initial conditions at the end of the year. The salin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dikes is lower than that before construction of them at Mankyeong area. On the other hands, after construction of the dikes, the salinity after dredging operations is higher than that before dredging. Because drastical increasing of water volume in Saemangeum Lake leads to increasing of stagnation time at bottom layer, and salt water is easily intruded to the two estuaries.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n Saemangeum are dominated by either Mankyeong and Dongjin discharge or sluice gates in/out-flow amounts, and thus they must be properly considered when rigorous and reasonable predic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ccording to the stages of inner development construction.
        10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운수로 홍수기 수위 산정을 위하여 미 공병단에서 개발한 HEC-RAS 모형을 적용하였다. 아라뱃길은 다양한 수리구조물의 조작을 통하여 선박운항 및 홍수처리가 이루어지며 유입홍수, 한강수위, 그리고 서해조위 변동과 연계하여 귤현보, 서해배수문, 체절수문, 그리고 배수펌프장등의 대표적인 구조물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홍수위 계산모형이 필요하다. 특히 서해배수문의 개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조위와 내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한 수문운영이 필요하여 HEC-RAS의 Rule-script 기능을 적용하여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였다. 모형의 검보정을 위하여 2010년 9월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수위값과 관측된 수위값이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HEC-RAS모형은 홍수기 주운수로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111.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Flight Dynamics Automation (FDA) system for COMS Flight Dynamics System (FDS) and its test result in terms of the performance of the automation jobs. FDA controls the flight dynamics functions such as orbit determination, orbit prediction, event prediction, and fuel accounting. The designed FDA is independent from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which are defined by spacecraft manufacturer or specific satellite missions. Therefore, FDA could easily links its autonomous job control functions to any satellite mission control system with some interface modification. By adding autonomous system along with flight dynamics system, it decreases the operator’s tedious and repeated jobs but increase the us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Therefore, FDA is us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whole mission control system’s quality. The FDA is applied to the real flight dynamics system of a geostationary satellite, COMS and the experimental test is performed.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ission control operations through the automatic job control.
        113.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대청댐 하류 금강을 대상으로 댐건설에 따른 유황 변동이 어류서식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RAP을 이용하였고, 대표어종으로는 쉬리, 참마자, 감돌고기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량이 감소하는 갈수기에 대청댐의 건설과 더불어 서식처 조건이 향상 하였으나, 용담댐 건설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댐건설에 따른 갈수기의 방류량 증가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표어종들이 선호하는 서식처
        114.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생태계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는 주요 개발 및 관리 활동들을 기초로 하여 생태수 문학적인 하천평가 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태수문학적 하천평가를 위하여 여러 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유역물수지 모델인 KModSim과 하천생태분석 모델인 RAP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용담댐과 대청댐의 건설 및 운영에 따라 예측되는 유황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11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준설선을 이용하여 가덕수도를 횡단하며 준설공사를 하는 동안에 선박들의 안전한 통항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건설공사 중 가덕수도의 해저로 횡단하는 침매터널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준설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불가피하게 준설선이 가덕수도 항로를 횡단하며 준설을 해야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가덕수도를 통항하는 선박들의 잠재적인 위험상황으로 충돌 등의 해양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선박의 안전통항방안을 모색하고 대책을 제시하였다. 먼저 해상교통량을 추정하고 교통혼잡도를 평가한 결과 장래(2009년)까지 주간 중에 통항량이 최대통항능력에 대비하여 20%미만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항로설계원칙의 검토를 통해 임시항로를 설정하여 준설공사를 3단계로 나눠 실시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부산신항 VTS 센터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116.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매월 1일 생성한 월 앙상블 유량예측(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SP)을 근거로 월 최적운영 모형인 SSDP모형을 통해 월말목표저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실시간 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월 중간에 발생하는 수문기상학적 변화를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자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일부터 예측시점까지는 그 동안 발생한 강우 관측자료를 이용하고 이후
        117.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PG, 전략 시뮬레이션등의 2D/3D 게임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장애물이나 지형 정보 등을 관리하기에는 대체로 동적 그래프가 적합하다. 이 논문에서는 빠르게 길 찾기를 수행하고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고정 레벨의 계층적 그래프 모델을 제안한다. 공간 분류나 공간 모델을 이용해 그래프를 분할하여 계층적 그래프를 구성하고, 동적 그래프의 연산자들을 제시하여 계층적 그래프 모델에서의 실시간 A* 길 찾기 방법을 실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동적 장애물이나 동적 구조를 가지는 게임 환경에서 빠르게 길 찾기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그래프 모델임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11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기 동안의 저수지 운영은 효율적인 홍수조절과 갈수기를 대비한 용수량 확보를 모두 고려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세트 컨트롤 알고리즘(SCA)을 홍수기 저수지 운영방안으로 적용하였다. SCA의 개념은 유입량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주어질 경우에 저수지의 상태가 허용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저수량과 방류량의 조절 세트(Control Set)를 저수지 운영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입량 세트는과거자료를 이용하
        119.
        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apply a supply chain modeling and its analysis framework to the supply chain in the port industry. The simulation approach serves two purposes: to model a supply chain network in quantity approach and to evaluate its supply chain performance based on proposed strategies. Through the modeling works to improve the performance, the components of simulation model such as input model, strategy model, operational policy model and performance model in port supply chain were identified. The effects of various strategies can guide the way to administrate the supply chain in the different objectives.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