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s studied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G. T. 280 to 300 class tuna longliners used in Korea. At first authors calculated the ratios and factors of the ship by use of principal dimensions. In cordance with this ratios and factors authors, examined the effective horse power, propulsion ficiency and brake horse power, and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EHP is sligh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Froude number and speed. (2) Value of propulsion coefficient is obtained in the range of 51-54% at the cruising speed an its average is 52% in 6-13 knot of the speed. (3) EHP and BHP a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prismatic coefficient at the same speed.
The catch per unit effort and the migration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were deduced from the catch data of 1, 208 hauls of a stern trawler operated on and around the continental shelf east of the Kamchatka Peninsula and Kurile Islands from October 1974 to December 1975. Alaska pollack occupied more than ninety per cent of the total catch of approximately 17, 760 metric tons, while the cuttle and flat fishes occupied less than five percent. Beside those fishes, approximately 131 metric tons of Alaska pollack roe were produced during the voyage from February to April 1975. The mean catch per unit effort in each sub-area of fishing ground was approximately 15.5 metric tons and the peak of the CPUE occured in January and August. The CPUE in the continental shelf east of Kamchatka Peninsula (50˚- 52˚ N Lat) showed the maximum of 25-34 metric tons in August. The main fish school is thought to migrate southward speedily in August-September along the continental shelf from the Kamchatka Peninsula to the east of Kurile Islands. The CPUE on the continental shelf east of Kamchatka Peninsula was higher than that on the steeper continental slope. However, the CPUE on the steeper flank of the bank east of Paramushiru Island and Onekotan Island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n the relatively flat top of the bank. The small-sized fishes of less than thirty centimeter in fork length began to recruit in the fishing ground since August 1965.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ea water were studied by use of underwater lux-meters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from May to November 1975.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sea water in the area ranges from O. 169 to 1. 049 and the mean absorpflOn coefficient is 0.413. Maximum monthly mean absorption coefficient (0. 56) was observed in August, while the minimum was O. 338 in September. There was a distinct discontinuity layer of the absorption coefficient in accordance with the thermocline and the halocline in summer. The mean transparency of the area was 3. 8 meters, and transparency in autumn was higher than that in summer. The relation between absorption coefficient (m) and transparency (D) was deduced, m=1. 57/ D. The rate of light penetration at 5 m-layer of sea water was 2. 5 percent when the solar altitude was six degree in July 1975.
광양만의 수온과 염분의 관측을 1974년 5월부터 격월로 1975년 5월까지 7회 걸쳐서 실시한 자료와 그밖에 여수 측후소의 기상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은 9월이 최고로 23.8~24.2˚ C였고, 1월이 최저로 2.5~5.2˚ C여서 연변화량이 19~21˚ C이다. 2)표면에서의 열수지가 (+)일 때는 수심이 얕은 묘도 서쪽해역이 비교적 높은 수온을 나타내며(-)인때는 수심이 깊은 여수해만쪽의 수온이 높게 나타난다. 3)수면의 열수지는 1974년 5월이 93cal/cm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1975년 1월이 -340cal/cm2로 최저로 나타났다. 4)수심이 얕은 St.E에서의 표층염분의 년변화는 7월이 20.8‰,최고는 3월이 32.5%로 연변화량은 7.3%밖에 되지 않는다. 5)St.A에서 10m층의 염분의 연변화량은 7월이 30.8 로 최저,최고는 3월이 33.0‰로 연변화량 2.2%밖에 되지 않아 섬진강의 하천수영 항이 10m이상 깊이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6)St.A의 10m층과 St.E의 표층수의 염분의 차는 P-E값이 큰 7월이 10 로 최고이고 P-E값이 최저인 11월은 1.0‰로 역시 최저이다. 이것으로 보아 만내의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의 염분은 강수량이나 증발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7)표층수를 분류하면 섬진강의 하천수와 대기의 영향을 가장많이 받는곳이 묘도 서쪽의 C해역이고 그 다음이 묘도 주위의 B해역이며,여수해만과 노량수도를 잇는 A해역은 가장 적게 영향을 받는다. 8) 강수량이 많고 수면에서 열수지도(+)인 5월과 7월은 표층과 10m층의 안정도가 커서 251×10-6~297×10-6이며 수면에서 열손실이 크고 강수량이 적었던 11월,1월 그리고 3월은 수직 안정도가 /-1×10-6~14×10-6으로 수직혼합이 쉽게 일어날수 있어 오염물질의 확산이 훨씬 잘도리 것으로 사료된다. 9)수직안정도는 조류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analysis of mechanical and electrical system uoing CHAN-MAI flow graph. This graph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in appearance and easier to coustruct. By applying this graph to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system, the gain of any variables is easily obtained without any equations between input and output nodes.
Fishing explorations for tunas and demersal fish on the sea south west from Sumatra, south sea from Java, south sea from Bali and south sea from Soemba were carried out in 1973 by MIS TaeBeak-San (310 tons, 8001P) of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Ageney, R. O. K.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valuable for good fishing ground for tunas and demesal fishes.
광양만의 물리해상 조사를 1974년 5월, 7월과 9월 3회에 걸쳐서 실시하고 그 자료를 연구 분석 하였으며 여수축후소가 발표한 기상 자료에 의해서 해황에 미치는 기상 조건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내의 해수 유동은 주로 조류에 의한 것이며, 섬진강의 담수가 이에 첨가되어 같이 움직이고 있다. 따라서 만내의 해수는 유입량보다 유출량이 담수의 유입량 만큼 많이 나타난다. 수질은 저 염분이며 섬진강 물이 이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2. 노량수도에서의 유속은 비교적 큰 편이며, 이곳에서는 지형적 영향으로 밀물때 진주만 쪽으로 나가는 유출량보다 썰물때 광양만내에 들어오는 유입량이 다소 많다. 3. 썰물 때 여수해만을 통하여 들어오는 해수는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지며, 하나는 노량수도로, 또 하는 북서절하여 묘도를 우회하여 지진도와 강탄을 거쳐 만의 서쪽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하는 묘도 남쪽수도를 통하여 우순도를 지나 만의 남서해역으로 유입된다. 4.썰물 때 만의 남서해역의 해수도 북쪽수도를 우회하여 여수해만 쪽으로 흘러나가며, 극히 제한된 최남서부해수가 묘도남쪽의 좁은 수도를 통하여 엿해만 쪽으로 흘러나간다. 그리고 노량수도를 통하여 들어온 해수도 광양만 동쪽해역을 통하여 이와함께 여수해만쪽으로 흘러나간다. 5. 만내 수온은 표층이 5월에 17℃내외, 7월과 9월에 22~24℃, 10m층은 5월에 16℃ 내외, 7월에 22℃ 내외, 9월에 24℃ 내외였다. 표층과 10층의 수온 차는 5월에 약 1℃ 표층이 높게 나타났으며, 7월과 9월은 깊이에 의한 차는 없었다. 6. 만내의 수온은 13~15시경에 최고이고, 일출직전이 최저로 일교차는 약 2~4.5℃로,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7. 관측점에서의 염분의 일 변동은 3.7‰로, 만조시 고염준, 간조시 저염분으로 나타난다. 8. 만내외 염분은 5월에 최고 28‰ 7월에 최고 28‰, 9월에 최고 31‰였으며, 10m층은 5월에 30~32‰, 7월에 30~31‰, 9월에 30.5~31‰로 표층 염분은 계절에 따라 변화가 크다. 그러나 10m층은 거의 일정하다. 9. 일반적으로 만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감에 따라 해수의 염분은 점차로 낮아진다. 10. 담수의 유입과, 만의 대부분이 수심이 얕아 바람에 의한 수직혼합이 심하기 때문에, 만내의 수색은 맑지 못하며, 6~9정도이다. 투명도는 대개 1내외이고 9월에는 여수해만 쪽이 5이상 되는 곳도 있다. 11. 점원 방류한 Rhadamine B 30분호의 확산계수는 장축 및 단축방향으로 각각 785.6×102 m2/sec 및 15.×102 m2/sec였다. 12. 평균 기온은 1월에 1.5℃로 최저이고, 최고는 8월의 2.58℃가 되며, 최저기온의 월 평균도 1월이 -1.8℃로 최저이고, 8월이 23.5℃로 가장 높다. 13. 빙점 이하의 날씨도 년 55일로 1월은 제외하고는 비교적 적다. 14. 겨울철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북서풍이 30.1%로 풍속이 6.6 m/sec이고 2월에는 27.1%로 6.3 m/sec이다. 이것으로 보아 겨울철에는 매일 평균 5시간 이상 6 m/sec의 바람이 분다고 생각된다. 여름철은 매일 3시간 내외의 3~4m/sec의 남남서풍이 불며, 정온 상태는 9월이 10%로 가장 높다. 15. 강수량은 1월이 최저로 17.1mm이고, 7월이 262.6mm로 최고이며, 연 총강수량은 1313.7m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의 하나이다.
이 論文은 魚類의 視覺능력을 硏究한 것이며, 視力軸의 방향과 視角과 의 問題에 관계된 몇가지 事實들을 관찰하고 있다. 필자는 어류의 시식조직에 대한 해부학상의 구조를 설명하고 여러 시력軸들이 생활양식과 어떻게 연관지워져 있는가를 연구했다.
변사와 nylon系를 볼수있는 능력에 대한 재미 있는 실험을 했으며, 미끼(먹이)에 대한 어류의 반응에 대하여도 연구하였다.
예를들면, 어류가 미끼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되려면 미끼의 움직임이 있어야 하며, 어류는 자기의 먹이를 일정한 거리에서 볼 수는 있으나, 미끼를 꽉 물어뜯게 만드는 원인은 미끼의 요동에 의해 생기는 물이 움직임이라는 것이다.
The method of forecasting advection fog at Busan area in July is developed using the Spreen's scatter-diagraam technique.
The used Parameters are (1) air temperature (2) dew-point temperature, (3) sea surface temperature (4) resultantt wind direction (5) resultant wind speed in Busan.
The skill score and the pcr cent correct based on 4 yeare of dependent data are 0.79 and 90.3% respectively.
중층트를 어구(漁具)의 소해심도(掃海深度)를 일정(一定)한 적정어획속도(適正漁獲速度)에서 기동성(機動性)있게 변화(變化)시키기 위하여 기초적인 모형어구(模型漁具)의 수조실험(水槽實驗)과 특별(特別)히 고안한 깊이바꿈틀을 이용(利用)한 이차(二次)에 걸친 해상시험(海上試驗)을 통(通)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의 깊이 y는 끌줄의 길이 L과 단위(單位) 길이의 끌줄, 깊이바꿈틀 및 그물의 각(各) 수중중량(水中重量) $W_r,\;W_o,\;W_n$과 각(各) 항력(抗力) $R_r,\;R_o,\;R_n$ 사이의 관계(關係)는 차원해석법(次元解析法)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y=kLf(\frac{W_r}{R_r},\;\frac{W_o}{R_o},\;\frac{W_n}{R_n})$$ 단(但), k는 상수(常數)이고 f는 함수이다. 2. 단위 길이당(當)의 수중중량(水中重量) $W_r$, 길이 L인 끌줄 끝에 항력(抗力) $D_n$, 수중중량(水中重量) $W_n$d인 수중저항분를 매달고 끌줄의 다른 한 끝을 수면(水面)에서 예인(曳引)할 때,. 끌줄의 형상(形狀)을 현수곡선이라고 보면, 수중저항분의 깊이 y는 다음과 같다. $$y=\frac{1}{W_r}\{\sqrt{{D_n^2}+{(W_n+W_rL)^2}}-\sqrt{{D_n^2+W_n}^2\}$$ 3.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漁具)깊이의 변화(變化) ${\Delta}y$는 예강(曳綱)의 길이 L을 바꾸거나 추(錘) ${\Delta}W_n$를 부가(附加)하면 다음과 같다. $${\Delta}y{\approx}\frac{W_n+W_{r}L}{\sqrt{D_n^2+(W_n+W_{r}L)^2}}{\Delta}L$$ $${\Delta}y{\approx}\frac{1}{W_r}\{\frac{W_n+W_rL}{\sqrt{D_n^2+(W_n+W_{r}L)^2}}-{\frac{W_n}{\sqrt{D_n^2+W_n^2}}\}{\Delta}W_n$$ 단(但), $D_n$은 그물어구의 항력(抗力)이다. 4.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추(錘) $W_s$를 부가(附加)할 때 중층(中層)트롤 그물어구의 깊이바꿈 ${\Delta}y$는 $${\Delta}y=\frac{1}{W_r}\{(T_{ur}'-T_{ur})-T_u'-T_u)\}$$ 단(但) $$T_{ur}^l=\sqrt{T_u^2+(W_s+W_{r}L)^2+2T_u(W_s+W_{r}L)sin{\theta}_u$$ $$T_{ur}=\sqrt{T_u^2+(W_{r}L)^2+2T_uW_{r}L\;sin{\theta}_u$$ $$T_{u}'=\sqrt{T_u^2+W_s^2+2T_uW_{s}\;sin{\theta}_u$$ $T_u$ 추(錘)를 부가(附加)하지 않았을 때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있어서의 예인어선(曳引漁船) 쪽을 향하는 장력(張力)이고, ${\theta}_u$는 장력(張力) $T_u$와 수평방향(水平方向)과 이루는 각도(角度)이다. 5. 어떠한 형태(形態)의 저예강용(底曳綱用) 전개판(展開板)도 성능(性能)에 있서어 차이는 있으나 전중량(全重量)을 가볍게 하고 저변(底邊)에 무게를 달아 안정(安定)시키면 중층예강용(中層曳綱用)으로 사용(使用)할 수 있다는 것이 모형(模型) 실험(實驗)결과 밝혀졌다. 6. 모형(模型) 그물(Fig.6)의 수조실험(水槽實驗)에서는 예강속도(曳綱速度) v m/sec, 강고(綱高) H cm 및 수유저항(水流抵抗) R kg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簡單)한 관계식(關係式)이 성립(成立)한다. $$H=8+\frac{10}{0.4+v}$$$R=3+9v^2$$ 7. 특별(特別)히 고안한 십자(十字)날개형(型) 깊이바꿈틀과 H날개형(型) 깊이 바꿈틀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전자(前者)보다 안정성(安定性)이 우월하였다. 8. 그물어구(漁具)의 유수저항(流水抵抗)이 매우 크며 또 거의가 항력(抗力)으로 볼 수 있으므로 깊이바꿈틀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물어구의 소해심도(掃海深度)는 대단히 안정(安定)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9. H날개형(型) 깊이바꿈틀의 수평(水平)날개 면적율 $1.2{\times}2.4m^2$로 하였을 때 유수저항(流水抵抗) 2 ton의 그물 어구를 2.3kts로 예인(曳引)하면서 영각(迎角)을 $0^{\circ}{\sim}30^{\circ}$로 변화(變化)시킨 결과(結果), 끌줄의 길이에 관계없이 약(約) 20m의 깊이바꿈을 얻을 수 있었다.
For the development of acoustic fishing method, the noises of fishes have been recorded and analy/'ed by many scientists. Some specimens of fishes were selected as such Cyprinus carpio, Ctenopharyngodon idellus Carassius carassius, and pagrosol1ms major in this experiment. The noises such as feeding noise, driving away noise, jumping noise and fi llip noise were recorded by the tape recorder, Sony Model 262, through the underwa te r microph I one, Oki ST 6582, and analyzed in frequencies bv octave band analyzer, Rion SA-55, and sound pressure level of source by sound level meter, Rion NA-opNN The supplied feed was placed within 5em apart from the hydrophone. The result of analyzed noises were as follow. Cyprinus carjJio; Feeding noise 250- 500 cps, 92- 99 dB Driving away noise 125-2, 000 eps, 101-112 dB Jumping noise 125-2, 000 eps, 99-116.5 dB Ctenopharyngodon idcllus; Driving away noise 125-1, 000 cps, 96-109 dB Carassius carassius; Feeding noise 250- 500 cps, 91. 5- 99.5 dB Driving away noise 125-1, 000 eps, 99-108 dB Carassius auratus Feeding noise 250 eps, 94-101 dB Driving away noise 125-1, 000 cps, 98-110 dB Pagrosomus major Feeding noise 230-500 cps, 90-101 dB Fillip noise 500 cps, 98-108 dB (1) Feeding noise was produced as like as snap noise of twig and gulping down saliva noise in human and dominant frequency range of the noise is 250-500 cps and noise level 90-101 dB. (2) It was found that feeding noise were not a monotonic but a complex tones though fish took the same food. (3) Driving away noise was produced not so keen and the wave form of the noise is rising very sharp and big amplitude in the oscillograph. Dominant frequency range of this noise was about 150-1, 000 cps and noise level 96-112 dB except thut of carp. (4) The frequency of snapper's fillip noise, when it produced by caudal fin in swimming at the surface of water, was 500 cps and noise level 93-108 dB snd that of jumping noise of carp about 150-2, 000 cps and noise level 99-116.5 dB.
Yellow croacker, Tseudociaena manchurica Jordan et Thomps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are subjected to be caught by trawl nets throughout the year. First indices of population size in every period 8re calculated. Considering present status of the yellow croacker fishery and ecology of the fish, mathematical models must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determine catchability coefficient, natural m ortali ty, fishing mortality, recrui ting coefficient of the fish ing ground, and dispersion coefficienl from the fishing ground. The results an, summmarized as follows: Catchabil i ty coefficient (C) = 2. 2628 × 10-5 Natural mortality (M)=0.3293 Population for lhe first half season(July 1st to the following January 3lst) Initial population = 14, 621 /MT Recruitment =45, 597 /MT Natural mortality = 8, 660 /MT Final population =42, 970 /MT Population for the latter 1131f scason(February 1st to June 30th) Initial population = 69, 170 /MT Dispersion =51, 688 /MT Natural mortality = 6, 082 /MT Final population = 1, 802 /MT.
Korean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North Pacific fisheries since the exploratory fishing was carried out by R/V Baek-Kyung of Pusan Fisheries College in 1966. Although the salmon fishing was interrupted by some countries, Korean trawlers are venturing in the North Pacific Ocean for catching demersal fishes. The trawl fishery in the region raises some problems. i. e. the conflict with the coastal or nearshore fishery, low fish price, etc.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plan for the settlement of these problems..
There has been established bilateral and multilateral agreements of fisheries in the North Pacific, such as, the Agreements of International North Pacific Fisheries Commission, of Japan-Soviet Fisheries Commission for the Northwest Pacific and of the Furseal and King Crab. The auther reviewed these agreements and discussed about the growth of the International Fisheries Agreements in the future.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present status of demersal resources which are important in commercial fisheries and caught in the North Pacific.
Oceanography of the Subarctic North Pacific Ocean is reviewed. The submarine topography and the current systems in the region are explained. Recent serial observation data reveals that. though the upper mixed layer of low salinity is relatively thick. the pattern of the property distribution in winter is essencially similar to that in summer. Alaskan Stream Extension Water. which influences the abundance and the location of demersal fishes. extends northward to 58˚ N Lat in the Bering Sea. A southeastward intrusion of the Bering Borcal Cold Water causes the formation of a sharp oceanic front. where the demersal fishes such as Alaska pollacks and cods arc concentrated. The Alaska pollacks seem to avoid the low salinity water of the Alaskan Coastal Water.
The forth dye diffusion experiment, which was authorized by the Office of Atomic Energy, and some physical aspect of oceanographic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in the sea off Kori in September 29-October 1, 1971. In a series of drift bottle experiments the 337 bottles were released. And bottom topography by echo soundings in the survey was well approached to the chart No. 433, Kori and Approaches, published by Hydrographic Office in October 1970. Results deduced from this survey were as follows: 1. A small ridge extends from Kori-Mal tip in southwestward over 1300 meters, and eastside of which is plain and a little sloping while westside of which cliffy and very steeper sloping. 2. A gyre was formed in the waters from Kori-Mal to Mat-dum in cum sole definitely at flood tide and in contra solem less definitely at ebb tide. And that the gyre rose and decayed with the turn of the tide. 3. Diffusion coefficients of 2.5% Rhodamine B solution of 200 liters were 9. 3 ×102 cm2/sec in the waters Kori-Mal to Mat-dum and 28.6×102 cm2/sec in the waters eastside of Mat-dum at the time after 26 minutes from releasing of the dye solution. 4.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eastside of Mat-dum is rather recommendable to settle as the point for the outlet of drainage or waste of atomic power plant to be constructed.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Nylon 6 망사의 원사는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여 제망해서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수입하고 있는 원사중 어느 회사의 원사가 우수한지 또한 염색 가공후의 망사의 성질변화에 대하여서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뿐만 아니라 같은 Nylon 6 망사라 할지라도 제조 공정에 따라 망사의 성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저자들은 일산 Nylon6 망사를 가지고 염색전과 후의 강신도와 염색후의 수축등을 시험 비교해 보았다. 특히 망사는 수중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습윤시의 인장 강도와 신장이 겁습에 비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관찰하였다.
①Connecting Spread를 일정하게 하고 Towing Line의 길이를 변화시킬 때 각 속도에 따른 망고 및 망폭 Towing line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망고는 높아지고 망폭은 좁아진다. ② Towing line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Connecting Spread를 변화시킬 때 망고 및 망폭은 Connecting Spread가 넓어질 수록 망폭은 넓어지나 망고는 거의 변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