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거버넌스가 문화정책 영역에서 문화 접근성 확대, 공공성 강화, 다문화 포 용을 실천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첫째, 디지털 거버넌스 개념에 대한 관련 문헌 검토, 둘째, 미국 연방정부 및 문화기관의 정책 자료 분석을 통한 제도적 맥락 파악, 셋째, 미술관 디지털 운영 담당자 2인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실무 현장 분석이다. 연구 결과,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은 웹사이트 개편(2016), 디지털 부서 설립(2019), 오픈 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 반 콘텐츠 큐레이션(2017–) 등 구체적인 디지털 전략을 통해 ‘유니버설’ 뮤지엄의 기관 정체성을 실현하고 있으며, 연방정부의 정책 기조와 지역적 장소성의 상호보완적 작용을 통해 디지털 거버넌스를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디지털 거버넌스는 이 과정에서 단순한 기술적 도구 가 아니라, 문화의 해석과 참여 방식을 재구성하는 구조적 메커니즘으로 기능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디지털 기술이 문화기관의 운영 전략 및 사회적 책무성과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 실천 패러다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다양한 국가 및 기관 간 비교 연구를 통한 연구 확장 가능성을 제안한다.
오늘날 글로벌 영상 제작 산업은 AI(인공지능)의 발달로 영 화, 방송 드라마의 서사 이미지는 더 이상 인간의 창의적인 독 창성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이 근간은 최근 넷플릭스와 같은 OTT 플랫폼의 확대로 관객들의 획기적인 영상 이미지 욕구 증대와 빠른 기술변화 속도, 관련 전문인력의 노동 생산성 저 하에 따른 제한적인 기술, 우리 인간-관객의 특정 판타지 욕망 확장의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영화나 방송 드라마의 기초가 되는 이야기조차도 이미 헐리우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AI 를 활용한 작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히 OTT 플랫폼들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영상 콘텐츠의 차별성이 사업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화나 방송 드라마의 스 토리를 창작함에 있어, AI가 인간의 도구일 뿐 아니라 ‘창작자’ 로서의 역할에 대한 질문도 대두되었다. 인류에게 AI는 분리된 개체가 아닌 미래를 견인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일상에서 쉽게 경험하고 있다. 이제 AI는 인간의 고유 영역이었던 창작까지 진출하였고, 지금 이 순간에도 진화는 계속되고 있다.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이다.’라고 말하는 ‘마셜 매클루언’의 말 처럼 미디어는 인간의 오감과 뇌의 영역까지 확장해 왔다. AI 와 미디어는 자연스럽게 교차, 미디어 영상에 접목되어 우리의 삶 속에 더욱 깊숙이 밀착되어 있다. 본 고는 디즈니 플러스의 오리지널 드라마 <비질란테> 제작 의 미술 부분, 특히 동 작품의 리얼리티 향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소품인 ‘마스크’ 제작과정을 사례로, 미술감독이 생성형 AI의 창의성에 어느 정도 의존하면서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 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접근에 기반하여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325명의 응답을 분석함으로써, 학 부모의 학교참여와 부모 효능감이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하였다. 연구에서는 학교적응의 하위 영역(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을 중심으로 구 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총 네 가지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부모의 학교참 여는 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 효능감은 모든 학교적응 영역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의 학교참여가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 을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 효능감이 완전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넷째, 부모 효능감이 학교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긴 하나, 이를 매개로 한 학교적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의 학교참 여가 부모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학생의 학교적응을 간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 다. 따라서 부모 효능감 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참여 기반의 정책 설계가 필요하며, 이는 가정과 학교 간 연계 강화를 통한 미래지향적 교육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Three strains (KCOM 2191, KCOM 2668, and KCOM 2812) of Capnocytophaga sp. isolated from a Korean population were initially classified by 16S rDNA sequence comparison. This study aimed to resolve their species-level identity using whole genome sequencing and to assess their taxonomic characteristics. Genomes of the three strains were sequenced using PacBio RS II and Illumina platforms.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analysis was employed for species-level identification. Cellular fatty acid (CFA)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using the MIDI/Hewlett Packard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ANI values for KCOM 2191, KCOM 2668, and KCOM 2812 were 96.43%, 96.33%, and 96.3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type strain Capnocytophaga ochracea DSM 7271T. CFA profiling showed a predominance of iso-C15:0 (57.9%, 67.2%, and 64.9%, respectively), consistent with DSM 7271T (51.5%). These findings confirm that KCOM 2191, KCOM 2668, and KCOM 2812 are strains of C. ochracea . These strains may serve as valuable models for investigating the role of C. ochracea in oral and systemic pathogenesis.
Laetiporus sulphureus, commonly known as ”chicken of the woods”, due to its chicken-like flavor, texture, and aroma, is a species of mushroom with high potential as an alternative to meat, given its reported protein content of 11% to 2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substrate composition for efficient mycelial production of L. sulphureus for use as an alternative to meat. Two types of sawdust, Populus deltoides and Quercus acutissima, and eight nutrient sources were applied in single and mixed compositions. Analysis of mycelial growth revealed that the media containing P. deltodies and Q. acutissima, only supplemented with beet pulp, had the highest mycelial extension, of 106.7 mm and 101.3 mm, respectively. In addition, protein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binations with the highest protein content in mycelia were cultivated on P. deltodies sawdust supplemented with a mixture of beet pulp and corn (21.3%), and on Q. acutissima sawdust supplemented with cottonseed hull (22.0%). The optimal substrate compositions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L. sulphureus mycelia as an alternative to meat.
본 연구는 ‘안정 상태(폐안/개안)’와 ‘인지처리 상태(추상적사고/언어적사고)’에서 측정된 뇌파를 통해 뇌 네트 워크의 연결성(PLV)을 계산하고, 이를 그래프이론의 지수들로 정량화하여 두 상태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네트워크의 특성을 구조화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안정 상태’에서 각각 3개의 프로파일과 ‘인지처리 상태’에서 공통으로 2개 프로파일을 식별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심리적 개인차의 타당성 을 확보하기 위하여 성격6요인 구조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로써 개안상태의 뇌가 가장 높은 Efficiency 를 보여 정보처리의 비용 절감을 위해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시각정보의 유무에 따른 ‘안정 상태’ 간의 유의미한 차이와 ‘추상적사고 처리상태’에서의 모듈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LPA 프로파일의 특성 분류를 통해 인지처리의 종류가 달라져도 신경네트워크 수준에서는 공통된 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과 ‘빠르고 효율적인 국소적 처리’ 유형과 ‘느리지만 통합적인 분산 처리’의 전략이 차별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 네트워크의 기능적 연결성이 다양한 정신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 한다.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producer-centered export organization model, the “Mushroom Korea Export Cooperative Marketing Board,” as a solution to stagnating domestic consumption and sluggish exports in the Korean mushroom industry. The research draws on a literature review, statistical analysis, government policy review, and comparative case studies of overseas models such as Zespri, Enza, and The Greenery. The cancellation of K-MUSH’s designation in 2024 revealed the limitations of government-led models, while successful cases emphasized autonomous producer governance, strict quality control, sustained R&D investment, and strategic government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phased strategy to establish a cooperative model grounded in democratic governance, legal reform, levy-based self-financing, and collaborative branding and marketing. If implemented effectively, the model is expected to stabilize export prices, enhance quality, increase farm income, and fost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mushroom sector.
본 연구는 중국 풍수 고전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한국지형에서 나타나는 지장혈에 대한 사례를 찾아서 제시하고 그 결혈조건과 특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지장혈은 손바닥 모 양의 장심혈과 손가락 모양의 지혈을 말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손가락 모양의 지혈만 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중국 풍수 고전의 문헌조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지형에서 지장혈과 닮은 7개소의 묘지를 현장 답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지장혈이 나타난 곳은 3개소로서 한국지형에서도 지장혈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 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장혈이 결지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지장 혈만의 여러 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지형에서도 지장혈이 존재하고 있다 는 사실을 찾아내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향후 보다 많은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지형에 맞는 지장혈의 이론적 체계가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ltural imagery vocabulary and symbolic meanings embedded within 85 Recommended Texts issued by Hong Kong Education Bureau. These texts, drawn from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re rich in cultural symbolism and literary aesthetics, offering valuable resources for language and literary education. Through semantic analysis and diachronic comparison, the study identifies primary cultural imagery categories—such as the moon, plants, animals, and human actions—and traces their historical evolution and symbolic transformation. Findings reveal that these vocabulary items convey traditional Chinese values, mode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philosophical thought. Rather than evaluating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theoretical framework to support vocabulary and cultural instruction, thereby enhancing students’ cultural literacy and textual interpretation skills. Building upon this framework, concrete teaching strategies are proposed,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thematic vocabulary columns and cultural archetypes, to facilitate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cultural imagery into curriculum design. By articulating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heritance and innovation, this study offers insights for exploring effective pedagogical approaches to classical imagery within contemporary educational contexts.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ammar items in English textbooks used across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specific grade levels. To achieve this, we developed an automated grammar item analyzer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which analyzed 52,964 sentences from the textbooks. We selected 173 grammar items from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used to determine CEFR levels in the English Grammar Profile. The class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8 items for Grade 3 of elementary school, 6 for Grade 4, 11 for Grade 5, 8 for Grade 6, 29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43 for the second year, 22 for the third year, 29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7 for the second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pedagogical implications, focusing on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refining assessment tools, more precisely defining curricular objectives, and developing grade-specific instructional materials.
부적응적 정서 조절이 범죄 행동을 유발하거나 강화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제안되어 왔으나, 국내에 서 이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부적응적 정서 조절 전략 중 하나인 정서 비수용 및 억압이 도덕 정서 경험 및 범죄 행동 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인과 수감자 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두 집단 모두에서 도덕 정서를 측정하고, 정서 비수용이 공격 성향(일반인) 및 범죄 행동(수감자)과 어떠한 경로로 연결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집단별로 매개분석을 수행한 결과, 일반인 집단에서는 도덕 정서가 정서 비수용과 공격 성향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으나, 수감자 집단에서는 정서 비수용과 범죄행동 간 유의미한 상관 또는 매개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격 성향과 범죄 행동의 설명에서 정서 조절의 중요성을 강조하 는 한편, 일반인과 수감자 집단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dual linguistic challenges experienced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English-Medium Instruction (EMI) programs at South Korean universities. Drawing 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2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wo leading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s navigate the linguistic demands of studying in English while simultaneously adjusting to Korean as the dominant campus language.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encounter significant obstacles, including professors’ limited English proficiency, inconsistent classroom language policies, and marginalization in group work and class discussions. Despite these difficulties, many students gradually adapted through self-directed strategies and peer support, ultimately gaining academic and linguistic benefits. Some participants reported enhanced preparedness for further studie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developed bilingual competencies. The study highlights the complex realities of EMI implementation for non-Anglophone international students and calls for more transparent language policies, targeted support programs, and inclusive pedagogical practices to promote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본 연구는 이탈리아 미술사 방법론과 문화유산 제도의 변화가 디지털 기술과 어떻게 교차했는지를 분석하며, 우피치 미술관이 주도한 ‘우피치 디푸시’와 ‘우피치 디지털레’ 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전통적인 연대기적 미술사에서 장소 기반 접 근으로의 전환 과정을 엔리코 카스텔노보와 카를로 진즈버그가 제안했던 중심–주변 모델이 분산된 박물관(musei diffusi)로 알려진 안드레아 에밀리아니의 ‘영토의 박물관들’개념으로 이어지며, 우피치의 두 프로젝트의 이론적 실천적 토대라는 사실을 다루었다. 이런 점은 상호 보완적 인 두 프로젝트가 디지털 거버넌스, 지역 간 연계성, 참여적 전략을 통해 디지털 시대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재정의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서 성경의 자연스러운 인용과 영적 진리의 탐색을 왜곡하거나 의도적으로 간과한 일부 비판들을 수정하고자 한다. “원주,” “중심,” “산문,” “가능성,” 그리고 “은둔” 등 디킨슨이 그녀의 시와 편지에서 직 접 언급한 은유들의 의미와 상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종교적 신앙과 성서적 진리 탐구를 구현하는 디킨슨의 시를 재평가한다. “비스듬히 말하기”를 우회적 이고 은유적인 진술인 시 쓰기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 디킨슨이 이 전략을 통해 자신의 영성을 어떻게 숨기고 동시에 드러내는지를 고찰한다. 제도화된 종교에 대한 거부와 신 앞에서의 인간 존재의 한계에 대한 좌절을 다루는 시들 속에서, 디킨슨이 성서적 진리에 기반한 진정한 개인적 영성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음 을 읽을 수 있었다. 실제로, 종교와 신에 대한 회의와 저항을 담은 시들은 오히 려 성서적 진리에 접근하기 위한 디킨슨의 우회적 여정이었음이 확인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s’ peer feedback in collaborative English writing of general English classes. For this reason, online pre-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on 33 students enrolled in D University in Chuncheongnam-do.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affective aspects of peer feedback, the burden of providing feedback, anxiety about English proficiency and negative feedback, and discomfort with negative feedback decreased. At the same tim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peer feedback increased. However,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trust in peer feedback, motivation, and the burden of inter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students mentioned that they benefited from peer feedback in the order of grammar, text structure, and vocabulary. As positive aspects, they highlighted objectivity, assistance in English learning, and increased confidence. On the other hand, they pointed out their discomfort in giving feedback due to their low English proficiency and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incorrect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emperature management in wholesale fish markets, the first stage of the seafood distribution structure, in light of the increasing consumption of seafood and the government's strategy to revitalize the seafood consumption market.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in efficient cold chain management at wholesale markets, a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assess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among industry stakeholders. The survey results highlighted key reinforcement factors, such as ensuring the separation and safety of workspaces, securing low-temperature auction facilities, improving outdated wholesale market infrastructure, and raising workers' awareness of quality and hygiene management. Priority improvement areas included enhancing hygiene-related facilities, standardizing and regulating equipment, establishing temperat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ies for hygiene improvement in wholesale markets, and providing subsid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adoption of seafood cold chain policies.
오늘날 시민교육은 제도화된 체계 속에서 지식 전달과 규범 내면화에 초점을 맞추며, 인간의 자율성 과 공동체적 감수성을 배제하는 한계를 지닌다. 특히 기술주의와 성과주의적 교육 환경은 시민됨을 제 도적 기능이나 역할 수행에 국한시키며, 존재의 성찰이나 사회적 실천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연구는 이반 일리히의 『Tools for Conviviality』에 담긴 사상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기존 시민교육의 구조 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넘어서는 ‘시민배움’의 가능성을 자율적 공생이라는 관점에서 재 구성하고자 하였다. 일리히가 강조한 자율성과 공생이라는 윤리적 가치들은 단지 교육의 내용에 머무르 지 않고, 존재 방식과 관계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철학적 기반이 된다. 이러한 가 치들은 시민배움을 단순한 정보 전달이나 규범 순응의 훈련이 아닌, 삶의 실천과 자기 성찰을 중심으로 한 교육의 전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시민배움은 치유, 개조, 의식소통과 같은 배움의 역량을 통해 삶의 윤리적 전환과 공동체적 책임을 가능케 하는 실천적 교육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시민배움의 전환이 시민성을 넘어 자율적 공생을 실현하는 시민됨의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시민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손 재활을 위한 탐색적 고찰의 일환으로, 자수 기반 스트레인 센서를 단층과 복층 구조로 설계하여 각 구조에서의 접촉 면적 변화와 센싱 성능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손가락 동작 센싱에 적합한 센서 구조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다양한 스티치 밀도와 층 구성으로 제작된 센서를 3D 프린팅 관절 모형 에 올린 후 1 Hz 주기의 신전–이완 동작을 반복 적용하여, 생성된 신호의 peak-to-peak 전압(mVp-p)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신호는 형상 분석과 비모수 통계 검정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2차 실험에서는 1차 실험 결과를 바탕 으로 복층 구조 센서를 선정하고, 접촉 점 수와 스티치 밀도를 기준으로 네 가지 조합의 센서를 장갑 형태로 제작하 였다. 그리고 스마트 장갑을 착용한 피험자의 엄지와 검지에 대해 굽힘–폄 동작을 기준으로, 센싱 신호의 안정성과 품질을 형상적 특성과 정량 지표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1차에서는 복층-고밀도 구조 센서가 단층-저밀도 구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신호 크기를 나타냈다. 2차 실험에서도 복층-고밀도 구조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신호 품질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1차 실험에서는 센서의 구조적 설계가 신호 세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입증하였고, 2차 실험에서는 실제 사용 환경에서도 자수 구조적 변수에 따라 신호 품질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수형 센서 설계 시 구조적 설계 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웨어러블 손 재활 장치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경로당 중식 이용 동기가 경로당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 고령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노인 복지 증진이 중요한 사회적 과 제로 부상함에 따라, 경로당 중식 서비스는 단순한 식사 제공 을 넘어 노인의 사회적 교류 및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는 핵심 복지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식 이용 동기를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 요 인으로 구분하고, 이들 요인이 중식 만족도 및 경로당 이용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경로당을 이용 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 식모형(SE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동기는 중식 만족도와 이용 만족도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중식 만족도는 이용 만족도의 핵심 결 정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경제적·신체적 동기는 유의미하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식 만족도는 정서적 동기와 이용 만족도 간의 매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노인들이 중식을 단순한 식사 제공이 아닌 정서적 교류 와 사회적 유대 형성의 기회로 인식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 후 중식 제공은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교류를 증진하는 환경 조성과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로당 중식 제공의 정책적 가치와 운영 방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보다 효과적인 노인복지 서비스 설계를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사례 보고는 소아 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에서 협조가 원활하지 않아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시간차 자기공명혈관촬영(TOF MRA) 영상의 획득이 어려운 상황에서, 삼차원 구조화 자기공명영상(3D MPRAGE)을 수평면(axial) 방향으로 획득한 후 최대강도투사(MIP) 기법을 적용하여 혈관 형태를 성공적으로 시각 화한 사례를 소개하고, 그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영상 획득 시, TOF MRA는 약 7분, 3D MPRAGE는 약 4~5분의 검사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3D MPRAGE는 짧은 촬영 시간과 인코딩 방향 변경으로 인한 움직임 감소 효과를 보였다. 수평면 3D MPRAGE 영상은 주요 뇌혈관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였고, 진단 해상도 면에서도 TOF 영상과 비교해 손색이 없었다. 본 사례 보고는 특히 협조가 어려운 1세에서 7세 사이의 소아 환자에서 3D MPRAGE 기반 MIP 영상이 TOF 영상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혈류 흐름 방향에 맞추어 MPRAGE의 획득 단면을 조정하고 수평면 영상에 MIP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뇌혈관 구조 시각화를 최적화할 수 있었다. 비록 미세혈관 표현에는 TOF 영상 대비 한계가 있었으나, 주요 대혈관 영상은 충분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였다. TOF 영상 이 혈관에 특화된 반면, 3D MPRAGE는 뇌 실질 영상과 함께 뇌혈관 형태 영상까지 제공할 수 있어, 진정이 필요한 소아 환자에게 보다 유리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검사 시간을 단축시키고, 뇌혈관 질환과 관련된 부가 적인 임상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