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재래산양의 핵이식을 실시하여 공여세포의 조건, 전기적 세기 및 융합횟수 등이 융합율과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적의 융합조건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여세포는 귀 유래 섬유아세포와 태아 유래 섬유아세포 2종류를 분리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수핵란의 채취는 성숙한 미경산 재래산양에 과배란을 유기하여 hCG 투여 후 제 35시간째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in vivo (체내성숙)난자는 난관을 관류하는 방법으로 회수하고 in vitro (체외성숙)난자는 난포로부터 흡입하여 난포란을 채취하여 약 22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수핵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한 다음 0.05 M sucrose를 처리하여 세포질이 양호하고 극체가 뚜렷하게 보이는 난자만을 선별하여 핵이식을 실시하였다. 핵이식란의 융합은 전기자극방법으로 융합을 실시하였으며, 핵이식 조작 후 약 3시간 동안 전배양을 실시한 다음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복제수정란은 0.8% BSA가 첨가된 mSOF 배양액으로 6∼7일 동안 체외 배양을 실시하였다. 귀 유래 섬유아세포를 공여세포로 사용하였을 때 융합율은 60.4%로서 태아 유래 섬유아세포의 40.3%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분할율에 있어서는 귀 유래 섬유아세포와 태아 유래 섬유아세포가 각각 47.6 및 48.2%로서 차이가 없었다. 2.40∼2.46 ㎸/㎝로 전기자극을 주었을 때 융합율은 43.8%로서 1.30∼l.40 ㎸/㎝(26.7%)와 2.30∼2.39 ㎸/㎝ (34.8%)가 높게 나타났으며, 융합이 이루어진 핵이식란의 분할율은 82.9(1.30∼l.40 ㎸/㎝), 43.8(2.30∼2.39 ㎸/㎝) 및 51.8%(2.40∼2.46 ㎸/㎝)로서 전기자극의 세기에 따른 유의적(p<0.05)인 차이는 없었다. 전기융합을 1회 실시하였을 때 in vivo 난자는 43.5%로서 in vitro 난자의 23.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회 실시하였을 때는 55.7(in vivo) 및 39.2%(in vitro)로 in vivo에서 높게 나타났다. 3회 자극을 주어 전체 융합율은 in vivo가 66.1%로서 in vitro의 52.8%보다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22.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observe dose-response effects of squid liver oil enriched 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n-3 PUFA) on the metabolism of streptozotocint(STZ)-induced diabetic rats. In this experiment, 24 STZ-induced diabetic male rats of Sprague Dawley strain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for 4 weeks with basal diet(0%). 33%,67% and 100% squid liver oil(SLO) of total fat content, and 6 normal rats were fed with 0% SLO diet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Rat group fed with 33% SLO diet showed the least body weight loss and changes in blood glucose, while ones of 100% SLO diet showed the highest level. 2. Serum total protein and ratio of albumin to globulin of all the groups were below the standard level, but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 groups. 3.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of all the groups were stayed whthin normal range, but BUN were 3 to 4 times higher than normal rats. BUN concentration of rats fed with 0% and 33% SLO di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s. 4. Total-cholesterol level of serum increased in all the groups except 33% SLO diet, but since HDL-chol, levels and TG concentration went up with an incerase of SLO in the diets, the ratio of HDL-chol. to total-chol, of rats fed with 67% and 100% SLO diet showed higher than those with 0%, and 33% SLO, and TG concentration of rats fed with 67% and 100% SLO diet decreased significantly.
        4,000원
        23.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ied seeds of Camellia japonica and Thea sinensi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induction period in the coupled oxidation of a substrate lard and extracts or isolates to be tested. 70% methanol and dichloromethane extracts were found to be antioxidative abilities. Their unsaponifiables revealed weak antioxidative activity, although hexane extracts did not show antioxidative effect on lard. Column chromatography for dlchloromethane extracts gave 4 fractions(only 2 fractions were potent). HPLC was used in isolating potent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column fractions and the precolumn-passed methanol extracts. They were separated into 7 and 8 components, respectively. The column fractions obtained from both seeds comprised trans-p-coumaric acid. trans-p-ferulic acid and an unknown component with minor components such as chlorogenic acid and catechin. On the other hand, the most prominent components in the methanol extracts were an unidentified component. trans-pcoumaric acid, trans-p-ferulic acid, catechin and chlorogenic acid. The unknown compound isolated from the column fractions and methanol extracts was identified as epicatechin by 1H-and 13C-NMR.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se components were epicatechin 〉 catechin 〉 chlorogenic acid 〉 trans-p-ferulic acid 〉 trans-p-coumaric acid.
        4,000원
        24.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지질(脂質) 성분(成分)을 상호(相互) 분리(分離)하였다. 여기서 얻은 트리글리세리드의 일부(一部)를 취하여 알칼리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하거나 또는 pancreatic lipase로 가수분해(加水分解) 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構成) 지방산(脂肪酸) 또는 1, 3- 위치(位置)와 2-위치(位置)에 급합(給合) 한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조사(調査)하였다. 나머지 트리글리세리드는 16% AgNO3 TLC로 이중결합선(二重結合敾)별로 나누었으며, 이렇게 나누어진 분획(分劃)을 다시 HPLC로 PN별로 재분획(再分劃)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획분(劃分)들 중 PN이 같은 것은 모두 모아서 알칼리 가수분해(加水分解)로 PN의 총지방산(總脂肪酸) 조성(組成)을, pancreatic lipase로 1,3 위치(位置)에 결합선(結合敾)한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조사(調査)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結果)로 부터 구성(構成) 트리그리셀리드 분자종(分子種)을 산출(算出)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算出)를 얻었다. 1) 종실유(種實油)는 투명(透明)한 액체(液體)로 그 함량(含量)이 73.5%였으며, 그 중 트리글리세리드가 94.8%, 극성(極性) 지질(極性)이 2.0%, 탄화(炭化) 수소(水素)가 1.8%였다. 2) AgNO3-TLC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였더니 5개의 획분(劃分)을 얻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이중(二重) 결합선(結合敾) 3~5개인 band 2와 band 3에 80% 이상 존재(存在)하였다. 3) AgNO3-TLC에서 얻은 각 획분(劃分)은 모두가 HPLC상에서 PN 46, 48 및 50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체(全體) 분획(分劃)에서 PN 48이 78.13%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으로 PN 50이 12.04%였으며, PN 46이 9.83%였다. 4) 전체(全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分子種) 중에서 0.1mol%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분자종(分子種)이 43종(種)이었으며, OOO와 POO가 각각 39.8mol%와 25.8mol%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OPO가 5.5 mol%, OOL가 4.8 mol%, POS가 3.9mol%, SOO가 3.5mol%. POL이 3.0mol%였다. 또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 존재(存在)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의 조성(組成)은 1,3-random, 2-random 분포설(分布說)에 따라 구성(分布說)되어 있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