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역전이 활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질적 정신분석 사례연구 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역전이 활용의 이해를 확장하고, 역전이 활용에 깊이 있는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분석 대상은 2000년 부터 2024년 9월 질적 수준이 객관적으로 평가된 KCI에 게재된 논문이 다. 정신분석을 토대로 한 역전이 활용 질적 사례 연구 총 5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을 분석한 결과 첫째, 연구 유형은 기술적·묘사적 사례연구가 4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역전이는 치료자의 경력, 환자의 나이와 성별, 치료 기간과 무관하게 발생하였다. 셋째, 역전이 활용은 역전이 인식, 이론 사용, 역전이 활용 과정으로 이 루어졌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역전이 인식에 대한 지속 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정신분석에서 동일한 용어가 사용 이론에 따라 차이를 보여 면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분 석 대상의 수가 적어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역전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한국학술지인 용색인(KCI)에 게재된 13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에서의 역전이에 관한 연구는 2002년 6월에 처음 발표되어, 급격 한 성장을 보인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연 평균 35%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에서 역전이에 관한 분야별 연구 동향은 상담/치 료에서 107편(79%), 사회과학, 교육, 문학과 종교, 간호 분야 순으로 나타나 상담/치료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 상자를 치료자로 보는 견해 86편(80%), 치료자-내담자로 보는 견해 18편 (17%), 내담자로 보는 견해 3편(3%)으로 나타나 역전이 발생에 관한 치료자의 이론적 관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연구 방법에 따른 역전이 주제는 양적연구에서는 ‘역전이 관리 능력’이, 질적연구에서는 ‘역전이 관리’ 와 ‘역전이 활용’이, 이론연구에서는 ‘역전이 활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 다. 이러한 결과 양적연구에서는 역전이는 관리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이 론연구에서는 역전이 활용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역전이와 관계된 변인 중 치료자의 자아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향후 치료자의 자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역전이 교육과 무의식적인 역전이 이해와 활용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질적연구와 이론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