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의 허브식물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통하여 그 반응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원예활동이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을 제시하고 그 가설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허브식물을 활용한 수업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허브식물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어린이들의 정서안정, 집중력 증진, 사회성 발달, 책임감 함양 등의 다양한 능력 향상에 기여 할 것이다.” 조사대상 어린이 529명, 유치원 선생님 60명, 자녀를 둔 일반인 75명, 유치원 어린이의 보호자 52명, 조사대상 유치원 이외의 어린이 20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3정도의 어린이가 허브라는 것에 대하여 이름을 들어 보았다고 하였으나 직접 허브를 길러 보았다는 결과는 40%에 불과하였다. 허브를 이용한 원예활동의 필요성은 높은 것에 반해 실제 가정에서 허브를 키우고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저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유 없는 도시환경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어린이의 약 70%가 허브를 알고 있었고 40% 정도는 직접 길러 보았다고 하였다. 이로 짐작해 볼 때 30% 정도는 허브를 직접 길러보지는 않았지만 부모, 유치원 선생님 등의 다른 어른들에게 이야기를 듣거나 방송 광고 또는 여러 가지 대중매체를 통해서 알게 된 경우라고 추론할 수 있다. 98.5%가 허브를 직접 길러 보고 싶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어린이들도 허브 선택 시 향기에 따라 선택하는 경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어린이들의 허브식물에 대한 관심은 처음 무관심에 가까웠으나 간단한 설명을 한 후에는 어린이들이 한꺼번에 향기를 맡아보려고 하여 소란이 일어날 때도 있었을 만큼 반응의 변화가 달랐다. 초반 주위가 소란할 정도로 집중도가 낮은 경우도 있었는데 반해 후반에는 관심이 없던 어린이들도 관심을 보이고 종료시간을 물어올 만큼 재미를 느끼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미래사회를 여유롭고 윤택하게 살아갈 수 있는 전인교육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원예활동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도시의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어린이들의 관심도와 참여도를 분석해 볼 때 설명이전과 설명이후, 초반부와 후반부의 행동변화에서 탐구력, 집중력 등의 변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여한 대상자 중 90% 이상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원예활동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적극 참여를 하고 싶어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교육적 원예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거듭 인식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허브식물을 이용한 교육적 원에활동의 실시는 어린이들에게 정서안정, 집중력 증진, 사회성 발달, 책임감 함양, 인지능력 발달 등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서울시 초등, 중학생 100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온라인게임 사용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온라인 게임을 통한 성취는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학교적응의 관계, 그리고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게임에 대한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그들의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43.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rmanium (Ge) application types on the nutrient concentrations in soil and leaves and leaf characteristics in a ‘Niitaka’ pear orchard in 2004. Ge application included foliar application, fertigation in soils, trunk injection, and the three-combined application. All Ge treatedplots had lower soil NO₃-N, K, and Ca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control plot. Ge concentrations in Ge treated-soils were approximately 50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e applic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area, dry weight, and specific weight in leaves compared to the control. Control treated-trees had greater K concentrations in leaves than the Ge treated-trees, which was oppositively observed for the leaf Ca; leaf Ca was higher on the Ge treated-trees than control. Leaf G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Ge treated-trees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for the Ge fertigation. Ge concentrations in fruits were greater on the Ge-treated trees than the control trees.
        4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established on which germanium (Ge), known as one of the functional nutrients, treatmen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Ge uptake and contributing flowering development in the pruned branches in the winter. Ge treatment included foliar application, soil fertigation, trunk injection, and the three-combined application. Ge concentration in the pruned branches was greater on the three-combined treated trees, and Ge treated branches had greater Ge concentrations than the control. Pruned branches grown in the solution culture had greater bud weight and bud scale number on the Ge treated trees than the control. Ge treatments increased flowering per branch and flower number per bud as well as improved resistance of the freezing temperature damage. Overall, there were no consistent results of all the variables by the Ge application methods.
        4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organic farmers" groups that have tried to manage farming activities at the regional level. They formed the groups from different reasons and situation each other. The motives to set up the groups differ between them. Some set up for the local farmers movement, others aim to get more income from the group activities. Whatever the motives, they all have been succeed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Many new-born farmer"s groups in organic farming sector tend to be regarded them as the models for succ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larify how they have overcome difficult situation that may differ from group to group. This study tries to find and compare the four organic farmers groups with the factors of the historical processes for establishment, the process of business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s.
        4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임파워먼트, 교장의 변혁적지도성, 학교조직풍토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학교효과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공립초등학교 교사 5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AMOS 5.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임파워먼트는 학교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조직풍토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학교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장의 변혁적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교사임파워먼트와 학교조직풍토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학교효과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교조직풍토는 학교효과성에 직접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함께 교장의 변혁적지도성 발휘를 통한 개방적인 학교조직풍토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이들의 직업재활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K고등학교 일반학급에 재학중인 지적장애학생 8명을 대상으로 1차시기 2008년 3월부터 7월까지, 2차시기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매주 월요일 2시간씩 총 30회기에 걸쳐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를 실시하고 지적장애학생들의 대인관계, 우울, 사회행동, 악력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대인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대인관계 하위요인 만족감(p=.003), 의사소통(p=.000), 신뢰감(p=.001), 친근감(p=.003), 민감성(p=.003), 개방성(p=.000), 이해성(p=.000)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둘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우울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우울 하위요인 부정적인 태도(p=.000), 수행상의 어려움(p=.001), 신체적 요소(p=.002)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셋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행동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사회행동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사회행동 하위요인 언어적 행동(p=.000), 비언어적 행동(p=.006), 대화의 내용(p=.000) 모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넷째,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악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지적장애학생의 악력을 분석한 결과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43).따라서 본 연구의 화훼장식을 이용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이 직업을 가지고 직업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학생 개개인의 독특한 행동요소들을 개선시키고 직업적응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며, 훈련방법임을 보여준다.
        48.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게르마늄(Ge) 처리 및 처리방법에 따른 배 '신고'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확 6개월 후에 저온 저장된 과실을 분석한 결과 Ge처리에 의해서 배 '신고' 품종의 고유한 색깔을 나타내는 담황색을 많이 띄는 과실을 생산하였다. 과실의 형태나 무게는 Ge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Ge처리구는, 과실의 당산비를 높였다. 과실의 씹힙성을 저해하는 석세포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든 Ge 처리구에서 대조구보
        4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U recently adopted the policy for organic food and farming, Even though the EU enacted a regulation for or ganic farming in 1991, there has been no formal policy for supporting organic farming in the EU. This may mean that the EU regards the organic food and farming as an important sector for the future of European farming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explores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EU organic food and farming policy, and then summaries the priorities of the EU organic food and farming sector. These were reflected to make up an action plan and a new regulation for the EU organic food and farming. The main features of the recent change in the EU policy would be the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dealing with organic food and farming issues.
        5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ultimately aims at suggesting the improvements for community development policy in Korea. In order to do so, this carried out field surveys for two rural villages and tried to find out the current institutional situation of rural villages. Reviewing conceptual debates on rural, village, community and organisation theory, it sets up a typology of four groups as follows: voluntary expressive group, involuntary expressive group, voluntary instrumental group, and involuntary instrumental group. Based on this typology, this study conducted field surveys for two rural villages; Pyeongchon-Ri in Chungnam and Noolmi-Ri in Kyoungbuk. From the analysis on the field surveys, it finds some features on Korean rural groups. First, the residents in rural villages have very strong identity for their living areas. Second, the number of rural groups are tend to decrease recently. Third, the actions of instrumental groups are determined by the organisations operating nearby. Fourth, the function of groups within rural villages only carry out some village festivals, but other friendly relationship among rural residents are expanded out to wider areas called Myeon.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recognize the diversity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and deals with them in different ways of public policies.
        51.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farmers’ group in Asan City that now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of the region. While increase in income in general may be one of main purposes making farmers join or form a group, the farmers group in Asan, instead, has tried to form a cooperative of local organic farmers. In doing so, they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and learnt by trial and error. As a result, the farmers’ group has recently developed in terms of business and organisational growth. The growth is not merely due to the growth of organic food markets but also due to the strong internal ties and trust that made possible to expand into food processing as well as to do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for the rural residents. It implies that trust and cooperative identity between farmer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locally embedded farmers groups in a specific region.
        5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이방성 재료로 구성된 파형 관로의 좌굴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좌굴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파형의 높이와 길이, 암거의 직경과 두께가 고려되었다. 또한 이방성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길이방향의 강성과 원주방향의 강성도 함께 좌굴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고려되었다. 다양한 형상의 파형 관로에 대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매개변수연구를 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방성 재료로 구성된 파형 관로의 좌굴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간략식을 제안하였다. 해석결과, 파형 관로는 일반적인 평탄한 관로에 비해 우수한 좌굴강도를 보였으며, 제안식 또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에 근접하는 좌굴강도를 보여주었다.
        53.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ic farming in the UK has been greatly grown for the last decade. Two policies for supporting organic farming introduced in 1994 and 1999 played a crucial role in expanding organic farming area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farmers taken up organic farming methods. Comparing the two policies, this paper identifies that the significant increase in financial aid to organic farming in 1999 not only was a key factor to succeed in the scheme but also provided environmental base for further development of rural areas. However, such a national aid schem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reflect reg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local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experience of the UK suggests that the role of organic farming in rural economies should be defined before enhancing financial support to farmer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