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4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총 50개의 SSR 마커를 이용하여,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핵심집단(찰옥수수 40계통, 종실용 옥수수 40계통)의 자식계통들의 유전적 다양성, 집단구조 및 계통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1. 그 결과 65bp에서 225bp 크기의 범위로 총 242개의 대립단편들을 증폭시켰다. SSR primer들에서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최소 2개에서부터 최대 9개까지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 4.84개가 증폭되었다. 그리고 GD값은 0.420에서 0.8
        4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에서 자식계통들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유연관계 정보는 1대잡종 품종개발을 위한 교배조합 선발에 유용한 전략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86개의 튀김 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옥수수 전체 게놈을 대표할 수 있도록 50개의 SSR primer를 선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50개의 SSR primer들은 86개의 튀김 옥수수 자식계통들에서 총 256개의 대립단편을 나타내었으며, SSR loci
        44.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네랄은 이온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카보머나 아크릴레이트 계 점증 시스템의 저점도 가용화 제형에서는 고농도로 안정화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젤 에센스 제형 내 고농도의 미네랄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염류에 안정한 실리콘 코폴리올을 이용한 네트워크 필름을 만들고, 네트워크 내에 미네랄을 고농도로 포집하여 피부에 오랜 시간 동안 고농도의 미네랄이 천천히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제형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최적의 제형을 시료로 이용하여 6주간의 임상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피부 각질층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고, 아미노산이 증가함으로써 각질층의 수분량이 증가하여 피부 투명도가 증가하였고 묵은 각질이 탈락하고 각질층이 정돈되어 피부 칙칙함과 피부 밝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45.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발아에 대한 변이 양상을 구명하기 위해 재배형 들깨 102계통, 잡초형 들깨 41계통 그리고 잡초형 차조기 19계통들에서 측정된 종자발아율 및 발아세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1%에서 9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73%±2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5%±26를 나타내었
        4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수수 성숙기에 간장 길이를 조사한 결과 6개체(12.2%) 가 300 cm 이상의 길이로 바이오매스가 우량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10개체(20.4%)정도는 200~300 cm 사이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었다. 2. 성숙기의 수수 줄기 직경에는 큰 차이를 보여준 개체는 없었으며, 대부분의 수수 수집종들은 2.2±0.1 cm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3. 본 연구에 시험한 수수 수집종들은 엽장이 60~70 cm 정도의 길이에 속하는 유전자원이 22 개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개체는 70 cm 이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엽형은 49% 정도의 개체가 협단으로 분류되었고, 대부분의 엽맥색은 백색으로 나타났다. 5. 본 연구에 사용된 대부분의 수수의 수형은 반밀수 타원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장은 평균적으로 20~30 cm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7.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수의 성숙 종자로부터 캘러스유기 및 재분화 효율 조사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배발생 캘러스 형성을 살펴보기 위해 생장조절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수 성숙종자로부터 캘러스 유기에 적합한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는 2 mg/L 2,4-D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의 고효율 빈도는 B5 배지에 2 mg/L 2,4-D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BAP와 IBA를 넣은 MS 배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BAP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재분화가 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수수 기내배양시 신초와 발근 형성에 효과적인 생장조절제 조합은 0.5 mg l-1 BAP와 0.25 mg l-1 IBA인 것으로 나타났다.
        4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봄내엽1호’ 들깨 품종은 강원대학교 농장에서 2006년에서 2008년에 걸쳐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들깨의 적정 재배조건 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봄내엽1호’ 들깨 품종은 대조 품종보다 경장이 크고, 화방군수와 화방군당삭수가 많으며 잎색은 대조품종에 비해 진한 녹색을 띤다. 정유 성분 분석결과 ‘봄내엽1호’ 들깨잎의 주요성분으로는 Perilla ketone, Beta-caryophyl
        5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파키스탄에서 수집한 재래종 조 계통들에 대하여 형태적 특징에 의한 유전적 변이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및 중국, 파키스탄의 조 계통들은 다음과 같은 형태적 변이를 나타내었다. 1. 형태적 특성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조 계통들은 중국과 파키스탄에서 수집한 계통들보다 출수기가 늦었고, 초장이 크고, 이삭이 긴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파키스탄에서 수집한 계통들은 출수기가 빠르고, 초장이 작고,
        5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AFLP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국내 및 국외에서 수집된 조(Setaria italica (L.) P. Beauv.) 37계통 (국내 26계통, 파키스탄과 중국 11계통)들에 대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이용된 9개의 AFLP primer 조합들에서 총 171개의 DNA fragment를 확인하였고, 그 중 147(85.96%)개가 다형성 band를 나타 냈다. 9개의 AFLP primer 조합들에서 나타난 다형성 band의 수는 E-AAG/M-CTT primer 조합에서 10(74.43%) 개로 가장 낮은 수의 다형성 밴드를, 그리고 E-ACT/M-CAC primer 조합에서는 17(94.44%)개로 가장 높은 수의 다형성 밴드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들 9개의 AFLP primer 조합들에서 측정된 평균 phenotypic diversity 값은 국내 수집종인 GroupⅠ에서 3.62를, 그리고 국외 수집종인 GroupⅡ에서 2.81를 각각 나타내었다. 한편 UPGMA 분석 결과에 의하면, 유전적 유사성 0.77수준에서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는데. 첫 번째 Group Ⅰ에는 파키스탄 수집종과 국내 수집종이 포함되어있었고, 두 번째 GroupⅡ에는 중국 수집종과 국내 수집종 이 각각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및 국외에서 수집된 조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5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파키스탄, 중국에서 수집된 조(Setaria italica (L.) P. Beauv.)의 26계통들에 대하여 총 9개의 양적 및 질적 형질을 이용하여 형태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7개의 양적 형질들을 이용한 분산분석에서 각 나라에서 수집된 조 26계통들은 초장, 엽수, 마디수, 출수기 등의 형질들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이삭길이 의 경우는 한국/파키스탄, 중국/파키스탄의 계통들에서 차이를 나타내었고, 천립중은 한국과 중국에서 수집된 계통들에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각 나라에서 수집된 조 계통들은 분얼수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주성분 분석의 결과에서는 한국에서 수집된 15계통과 중국에서 수집된 2계통들이 제 1축의 오른쪽에 위치하였고, 파키스탄의 수집 계통들과 중국에서 수집된 2계통들은 제 1축의 왼쪽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분석에 이용된 7개의 양적 형질들 중에서 특히 초장, 엽수, 마디수, 출수기 등의 형질들은 한국, 파키스탄 그리고 중국의 조 계통들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들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동아시아에서 조 유전자원들의 지리적 분포에 따른 형태적 변이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 로 기대된다.
        5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이용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69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 특성 및 종자발아 변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177 g에서부터 0.40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대부분의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계통들은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45 g에서부터 0.17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2. 재배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4 g에서부터 0.101 g까지의 범위였고, 잡초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9 g에서부터 0.135 g까지의 범위였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3. 실온 및 28℃ 항온조건의 발아율 조사에서 수확 후 1개월째에서는 들깨의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이 50% 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재배형 들깨의 일부 계통들이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개월 및 3개월이 경과한 상태에서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계통들이 많이 나타났다. 4.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서의 평균발아율 및 평균발아세는 수확 후 1개월째에서 가장 낮고 수확 후 3개월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실온 및 28℃ 항온조건에서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28℃ 항온조건 보다는 실온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품종들의 교배친인 11개의 자식계통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간 유연관계를 50개의 SSR 마커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0개의 SSR primer들은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품종들의 교배친인 11개 자식계통들에서 총 171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고, 각 SSR primer들에서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최소 2개에서 최대 6개의 범위로 나타나 SSR loci당 평균 3.4개가 증폭되었으며, 유전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