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8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study was to develop methods for inhibiting the germination of cotton seeds. Germination rates after heating treatment at 80℃ with 10, 20, 30, 40 min. were 9.3, 9.3, 5.3 and 1.3 percentage, respectively. Heat treatment over 85℃ with 10 min. caused no germination of cotton seeds. Germin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gamma rays treatment more than 10,000 gy, while the treatment within 2,000-8,000 gy induced less effects. Microwave processing for 30 seconds and 60 seconds inhibit the germination of cotton seed under 8 and 0%, respectively. As a physical treatment, rollmill milling with 1.5, 2, 2.5 mm gap inhibited any germination of cotton seeds. The optimum gap of roll-mill for processing physical cracking was below 51% of the thickness of seed.
        8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트윈케이크 및 팩트용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을 아미노산 분석, 항산화, 보습 및 탄력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시험제형의 아미노산은 serine (26.77 %), aspartic (15.47 %), glycine (9.62 %) 등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serin은 누에분말보다 150 % 이상 함유하고 있었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시험제형이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보다 입자 크기가 작음을 확인하였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한 시험제형이 비교제형보다 피부 보습력과 탄력성에서 각각 257.2 %와 181.15 %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항산화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탄력성을 높인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화장품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86.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지 논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1년 농업기반공사 김포간척지에서 9개 벼 품종의 수량과 단백질 함량 및 식미치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 수량은 식미계에 의한 식미치와 고도로 유의한 부상관(r=-0.49** )을 나타내었다. 수량이 낮은 수라벼의 식미치가 가장 높았고 수량이 높은 대안벼와 진품벼는 식미치가 가장 낮았다. 2. 간척지 재배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모든 품종이 7.5% 이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는데 이는 시비와 관개용수에서 많은 질소질비료가 공급된 결과로 보여졌다. 3. 김포간척지에 적합한 벼 품종은 수량성 면에서는 대안벼, 진품벼, 신동진벼이나 품질을 고려한다면 단백질 함량이 낮고 식미치가 높은 광안벼, 수라벼, 남평벼가 적합하다고 사료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