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ortance of indoor air environment gets higher because time of staying in indoor such as house or car become longer due to a change of the life pattern on human society. One of major pollution sources, VOCs or odor could be reduced or controlled by using adsorbent. It may be valuable for used catalyst to be applied in the adsorption of VOCs or odor. This could reduce the cost of adsorbent. In this work, the potential of used zeolites such as HZSM-5 catalyst and FCC catalyst as an adsorbent for removing acetaldehyde was investigated. Their adsorptive performa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ctive carbon and MCM-41. The removal performace of used HZSM-5 was similar to that of active carbon due to its higher surface area. But used-FCC catalyst showed the lowest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used HZSM-5 can be applied to cheap adsorbent for acetaldehyde removal.
Laccase는 균류와 식물에서 광범위하게 알려진 효소로 서 다양한 기질에 대하여 촉매반응을 나타낸다. 오래 전부 터 펄프산업에서 리그닌의 제거와 섬유소의 표백작업, 그 리고 오염된 물과 토양의 복원 등의 여러 응용성에서 잠재 적인 산업적 효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는 버섯의 자 실체로부터 세포내 효소의 작용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 으며, 최근에는 표고버섯의 자실체에서 laccase가 melanin의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우리는 일정한 조건에서 특정한 색의 갓을 보이 는 느타리버섯에서 흑색 및 갈색을 나타내는 색소인 melanin과의 연관성을 laccase의 효소활성으로 확인고자 하였다. 시료는 느타리버섯에서 분리한 흑색 및 백색의 갓 색 변이체를 사용하였으며, 생활 주기와 자실체의 부위별 로 나누어 각각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버섯시 료를 sodium phosphate 완충액에서 homogenizing한 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Laccase 활성은 McIlvaine 완충액상에서 2,2'-azinobis(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를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와 반 응시켰으며, ABTS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화물을 ELISA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laccase 효소활성 은 갓 색 변이체(흑, 백색)의 자실체 중에서 흑색 자실체가 가장 높았으며, 생활주기별(균사체, 원기, 자실체, 포자)에 서는 균사체가 가장 높았다. 또한, 느타리버섯의 자실체 부 위별(갓, 갓껍질, 갓주름, 줄기)에서는 갓 껍질이 가장 높 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e present study, Zr-base metallic glass (MG) and Zr-base BMG/diamond composites were fabricated using a combination of gas atomization and spark plasma sintering (SPS). The microstructure,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y of both the specimens as atomized and sintered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PSed specimens could be densified into nearly 100% and maintained the initial thermal stability at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630K. In addition, MG/diamond powder composites were successfully synthesised using SPS process. The composites, even a very low diamond volume fraction, gene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With increasing the diamond volume frac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also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hardest diamonds. It suggests that these composites w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a new cutting tool material.
We designed the Intermediate Frequency(IF) distributor for multi beam backend system and manufactured Voltage to Frequency Converter(VFC) to measure the multi-beam receiver performance. Multi beam receiver has 15 channel receivers and can get 15 spectrums at once. The multi beam receiver has more observation efficiency than single beam receiver. We manufactured the 15 IF distributors to distribute IF signal for Autocorrelation spectrometer that is radio signal processor. Also, we manufactured the VF Converter to test the performance measurement of receiver for Korea VLBI Network(KVN) system which is under-construct in Seoul, Ulsan and Jeju. As a result of performance measurement, we could obtain linearity of 99.4% on the input power vs output frequency and measured the operating range of input frequency.
Laccase는 균류와 식물에서 광범위하게 알려진 효소로서 다양한 기질에 대하여 촉매반응을 나타낸다. 오래 전부터 펄프산업에서 리그닌의 제거와 섬유소의 표백작업, 그리고 오염 된 물과 토양의 복원 등의 여러 응용성에서 잠재적인 산업적 효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세포내 효소의 작용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표고버섯의 자실체에서 laccase가 melanin의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우리는 일정한 조건에서 특정한 색의 갓을 보이는 느타리버섯에서 흑색 및 갈색을 나타내는 색소인 melanin과의 연관성을 laccase의 효소활성으로 확인고자 하였다. 시료는 느타리버섯에서 분리한 흑색 및 백색의 갓 색 변이체를 사용하였으며, 생활 주기와 자실체의 부위별로 나누어 각각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버섯시료를 sodium phosphate 완충액에서 homogenizing한 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Laccase 활성은 McIlvaine 완충액상에서 2,2'-azino-bis(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를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와 반응시켰으며, ABTS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화물을 ELISA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laccase 효소활성은 갓 색 변이체(흑, 백색)의 자실체 중에서 흑색 자실체가 가장 높았으며, 생활주기별(균사체, 원기, 자실체, 포자)에서는 균사체가 가장 높았다. 또한, 느타리버섯의 자실체 부위별(갓, 갓껍질, 갓주름, 줄기)에서는 갓 껍질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도내 주요 해안지역인 화북, 삼양, 대포, 중문, 표선, 안덕, 애월, 곽지에서 생산되는 해수, 갯벌, 해산물 등에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V. parahaemolyticus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가검물은 총 2,880건으로 각각 해수 960건, 갯벌 960건, 해산물 960건이었으며, 분리된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생화학적, 혈청학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가검물 2,880건에 대한 분리 동정에서 417건(14.5%)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