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9

        10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re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mesenchymal tissue such as bone, cartilage, muscle, and adipose, and have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various species. Deer adipose tissue-derived MSCs (dAD-MSCs) have not been studied and deer bone marrow-derived MSCs (dBM-MSCs) have not been fully characterized. In this study, we firstly isolated MSCs from deer tissues and then compared characteristics of dAD-MSCs and dBM-MSCs. dAD-MSCs and dBM-MSCs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 in proliferation under low-glucose DMEM culture condition during 20 and 10 passages consecutive passages, respectively. Both cells expressed cell surface markers such as CD73, CD90, and CD105, but did not express CD34 and CD45. Two types of cells expressed stemness markers (Oct4, Sox2, and Nanog) and exhibited differentiation potential into mesodermal lineages. Both cells exhibited osteogenic and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but poor adip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Specifically, dAD-MSCs have a greater capacity for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compared to dBM-MSCs. Collectively, we successfully isolated dAD-MSCs from deer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adipose tissue of deer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deer MSCs.
        4,000원
        10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idney is a highly complex organ, and acute or chronic renal diseases can occur with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diabetes and hypertension. So far, no target specific treatment is available in acute or chronic renal failure, necessitating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therapeutic strategy. Recent experimental findings suggest that the renal function and structure can be restored after being treated with various sources of stem/progenitor cells. In this review, we discuss up-to-date findings of the potential of renal progenitor/stem cells in alleviating renal injuries with a focus on preclinical studies. We also review cell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se cells.
        4,000원
        109.
        2019.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considered the major cause of mortality in the world. Tremendous animal studies are performed to develop novel therapeutics, and this study aimed to induce porcine myocardial infarction model by u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oronary guidewire was placed in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 The balloon angioplasty catheter was inserted at the back of the PET. The balloon catheter was carefully pushed forward, until the balloon marker was located in mid-LAD. Coronary angiography was performed pre- and post-occlusion at 28 days by C-arm. Histologic analysis of heart tissue was performed 28 days after inducing AMI. Thirty three pigs were anesthetized and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catheterization. All pigs were successfully embolized in mid-LAD by PET. Fifteen pigs died due to ventricular fibrillation during post-anesthetic recovery time, and overall experiment mortality was 45.5%. In 2,3,5- 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staining, gross finding of the ischemic heart lesion showed firm and white area of infarction associated with the apex and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Infarct on H&E-stained sections demonstrated a region without myocytes and rich with cardiomyocyte with atypical nuclei. Successful induction of AMI by using PET may provide the pathophysiological information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improvement of therapy development for AMI.
        4,000원
        11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다양한 유기재배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굼벵이류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굼벵이류는 토양 내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발생시기 및 그 종류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해충이다. 피해를 끼치는 굼벵이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 고구마 유기재배지에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굼벵이의 성충의 종류 및 발생 동향을 조사하였다. 조사지는 무안 유기재배농가와 국립농업과학원 완주군 포장에서 이루어졌다. 3종의 풍뎅이 페로몬 루어를 유인제로 사용하였으 며 6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조사지에 트랩을 설치하여 포획된 풍뎅이를 수집하여 동정을 하였다. 유기재배포장에서 포획된 종은 큰검정풍뎅이, 콩풍뎅이, 청동풍뎅이, 녹색콩풍뎅이, 별줄풍뎅이 등의 풍뎅이와 흰점박이꽃무지 등이 주로 채집되었다. 유기재배 고구마포장에서 풍뎅이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최대로 발생한 시기는 7월초였다.
        11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는 감귤에 피해를 주는 주요 깍지벌레 중 하나로 연 1회 발생하며 수액을 흡즙하는 직접적인 피해와 분비된 감로로 인한 그을음병 유발의 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루비깍지벌레 천적으로는 루비붉은깡충좀벌 Anicetus beneficus와 애홍점박이무당벌레 Chilocorus kuwanae 2종이 확인되었다. 1975년 일본에서 도입 방사한 천적인 루비붉은깡충좀벌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루비깍지벌레 발생 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도내 유기재배 감귤원 (2개소)에서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 루비붉은깡충좀벌 성충의 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월동세대 성충은 5월 중순, 제1세대와 제2세대 성충은 각각 7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발생 정점을 나타내었다. 조사 포장에서 루비깍지벌레의 기생률은 9월 중순에 9.6%와 19.6%이었다.
        11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y is a major polyphagous insect pest with a worldwide distribution.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time, survivorship, longevity and fecundity of B. dorsalis at six different temperatures. We applied the computer programs – TWOSEX-MSChart and TIMING-MSChart - to analyze our data. We obtained the population parameters – adult preoviposition period (APOP), total preoviposition period (TPOP), oviposition days, eggs per reproductive female, first age of survival rate <50%, proportion of male and female individuals, propoortion of N-type individual, and life table parameters (net reproductive rate, intrinsic rate of increase, finite rate of increase, and mean generation time) - and population projection using two computer programs.
        11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조사지역인 갑천은 충청남도 금산군·논산시와 대전광역시를 북류하고 금강으로 흘러드는 도심하천이다. 광대한 갈대 군락과 초원, 버드나무 등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며 크고 작은 자연 소택지, 늪, 웅덩이 등의 형태로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도시생태계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갑천 일대의 육상곤충류를 대상으로 4월 11~13일, 6월 11~12일, 8월 20~22일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직접찾기와 쓸어잡기로, 총 9개 지점으로 나누어 군집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단구역인 Site3의 다양성지수가 0.16으로 매우 낮았으며 도심구역인 Site4와 Site7이 각각 다양성지수 2.92와 2.41로 타구역에 비해 낮았다. 반면 산림구역인 Site1, Site8 그리고 Site9는 모두 다양성지수가 3이상으로 높은 편에 속했다.
        11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미는 산림 및 농작물 해충의 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겨울철 벼 재배지에서 볏짚이나 논둑 등에 월동한다. 이 연구는 월동시기부터 모내기 전까지 유기 벼 재배지에 서식하는 거미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미의 발생을 조사하기 위해 함정트랩을 이용하였고, 농업과학원 유기재배포장에서 2018년 1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2주 간격으로 총 8회에 걸쳐 거미를 채집하였다. 조사가 이루어진 논은 거미가 월동 서식처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볏짚을 걷어내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조사 결과 6과 15종 359개체의 거미가 채집되었다. 그 중에서 애접시거미가 119개체(33%)로 가장 많았고, 들늑대거미(23%), 턱거미(17%), 각시긴손접시거미(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4월 중순(7회)에 가장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고, 채집이 이루어질수록 거미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1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ack pine bast scale are the main insects of the Japanese black pine forest in Korea, and the distribution is spreading around the Japanese black pine forest in the east and west coast. However, after the nationwide survey in 2010,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spread of these, so we conducted the 2017 and 2018 surveys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northern area inland or east and west. In the 2017 survey, outbreaks were observed in 35 areas from 47 dong or myeon of 14 cities or counties, mainly in areas not previously located in the outbreak area. In the 2018 survey, additional outbreaks were confirmed at 14 out of 23 areas in the East Coast region, and damage was detected at 27 out of 28 points in the inland area of the South Sea and distribution was found at 16 out of 17 in the west coast.
        116.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다국적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PBG, Perceived Brand Globalness)을 재개념화하고 개념의 다차원성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글로벌 브랜드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개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글로벌성은 단일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본 연구는 브랜드 글로벌성의 다차원성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