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121.
        198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 답다모작지대에 있어서 수도적정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질소시비량을 10a당 10, 15, 20, 25kg의 4수준, 이앙기를 5월 20일, 6월 5일, 6월 20일, 7월 5일의 4시기로하여 수량구성요소및 수량의 변이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지 도작에 있어서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서광벼는 20kg/10a, 동진벼는 15kg/10a 수준이었다. 2. 질소의 적정시비량에서 단위면적당 수수와 등숙률 사이에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서광벼 r =-0.6023* 동진벼 r =-0.8581**)가 인정되었다. 3. 시비수준에 따른 1,2차 지경 및 영화의 퇴화율은 서광벼는 질소 25kg/10a 에서, 동진벼는 질소 20kg/10a 이상의 수준에서 컸다. 4. 등숙비율에 있어서 서광벼는 질소증비에 따른 변이가 크지 않았으나 동진벼는 증비에 따른 급격한 등숙비율의 저하 경향을 보여 수량감소의 주요인이 되었다.
        122.
        198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 다모작지대의 도작 증수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이앙시기를 5월 20일부터 7월 5일까지 15일 간격, 4시기로 하여 수량 형질 및 수량변이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수의 변이는 서광벼에서는 5월 20일 이앙구의 16.2매에 대하여 만식한 7월 5일 이앙구는 15.1매로 1.1매가 적었고 동진벼는 5월 20일 이앙구 14.8매에 대하여 7월 5일 이앙구는 13.1매로 1.7매가 적었다. 2. 지엽단축률은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었다. 3. 작기 이동에 따른 출수일수의 변이는 서광벼는 5월 20일 이앙에서 약 75 일, 6월 5일은 68일, 6월 20일은 67일 정도이었으나, 7월 5일은 71일이 소요되었다. 4. 재배시기에 따른 최대수량은 서광벼는 5월 20일, 동진벼는 6월 20일 이앙이었고 수량생산기의 적산온도와의 관계는 서광벼는 1017± 24℃ 에서, 동진벼는 952± 15℃ 에서 600kg/10a 이상의 고위수량을 보였다. 5. 단위면적당 수수는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서광벼 r=-0.6768**, 동진벼 r=-0.5182**)가 인정되었다. 6. 작기 이동에 따른 1수 영화수는 서광벼는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많아졌고 동진벼는 작기가 빠르거나 늦은 경우 감소경향을 보였다.
        123.
        198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1981년에 참깨품종 "수원 9호"를 Pot에 공시하여 토양의 배수력 차이에 따른 참깨의 생육과 수량형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즉 점토와 세사를 용량비(V/V Ratio)로 각각 0:100, 25:75, 50:50, 75:25 및 100:0가 되도록 혼합한 토양에 6일 간격 20mm 관수와 3일 간격 10mm 관수의 효과와 반응차이를 해석하였다. 토양의 용량비에 따른 수분의 배수성은 점토혼합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토양배수성 차이에 따른 참깨의 생육반응은 순세사토에서만 한해가 인정되므로 관수의 증대가 요구되었고 그 외의 배수조건의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수량구성요소 가운데서 수량에 기여도가 가장 컸던 것은 주당삭수로서 수량과 마찬가지로 점토와 사토가 75%:25%로 혼합된 조건 즉 배수성보다는 보습성이 양호한 토양에서 가장 많았으며 삭당입수나 등숙성은 선행형질인 주당삭수와의 부적상관 때문에 보습성 보다는 배수성이 양호한 토양에서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수방법간에 이들 수량구성 특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수량은 6일 간격 20mm보다 3일 간격 10mm 관수로서 보습력(점사율 75%:25%)이 높은 조건에서 최다수준이었으며 과도한 배수성이나 보습성의 조건에서는 뚜렷한 감수의 경향이었다.감수의 경향이었다.
        124.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맥주맥 품종들의 수량과 맥아품질에 영향하는 질소 시비반응차를 구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1979년부터 1980년에 걸쳐 광주시 소재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시험 포장에서 실시한 두 맥주맥 품종(Golden Melon과 향맥)의 질소시비(3, 6, 9, 12 및 15kg ai/10a)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질소 시비로 인한 생육촉진 효과는 Golden Melon보다 향맥에서 더욱 뚜렷하였으며, 주효과는 분벽수 증가와 건물중 증가를 용하여 성립되는 경향이었다. 2. 출수현상은 품종 특성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는 경향이었고 Golden Melon보다 향맥이 약 1주일정도 빠른 조생성을 보였다. 3. 유효경비율은 품종 특성으로서 질소 반응이 둔하였고 성숙일수는 Golden Melon보다 향맥이 약 1주일정도 길어서 만숙성을 보였으며 양품종 공히 질소 증시로 지연되있다. 4. 대부분의 수량 구성요소들은 그 변이가 품종특성으로 결정되며, 질소 증시의 효과는 혜당입수를 통하여 표현되었다(향맥은 단위면적부 수수 증가도 안정되었다). 5. 수량성은 품종 특성상으로도 향맥이 Golden Melon보다도 높고 시비 질소의 수량화 효율도 향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양조 특성의 변이는 주로 질소시비량 차이에 기인되었으며 단백질은 정상관으로, 그리고 탄수화물과 β-Amylase활성은 역상관의 방향으로 변이하였다.
        125.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8연도 전남 광주시, 전남大 농견 전작시험장에서 수행된 대두 제초제의 안전사용 및 사용효과 구명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의 생육 및 수량성은 제초효과에 따른 향상보다 약해에 따른 억제의 영향에 민감한 경향이었고, 억제의 정도는 약종에 따른 변이보다 약해별 처리약량수준에 따른 변이가 켰다. 2. Alachier, Metribuzin, RH-8817 등은 안금사용폭이 비교적 큰 편이었다. 3. Alachier는 바랭이, 피, 방동산이, Nitrofen은 피, 방동관이, Metribuzin은 쇠비름, RH-8817은 바랭이, 피, 방동산이, 쇠 비름의 방제효과가 탁월하였다. 4. 대두 품종과 제초제 약종간에 유의성 있는 저항성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토성별 대두의 발아차이는 주로 산소공급조건의 차이에 기인하였으며, 산소공급이 좋은 상태에서는 제초제간에 발아억제 영향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RH-8817은 발아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6. Simazin, Linuron, Metribuzin은 초기생육중의 동화억제를 통한 황변현상이, Alachlor는 생육어제현상이, RH-8817은 생육억제 및 생장점 부위의 괴저현상이 일반적 약해증세로 나타났다. 7. Simzin과 Linurrm 처리에서는 처이직후 약해 차리정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확대되는 경향이었다. 8. 제초제 처리수준증대에 따른 경·근 및 근류생성억제의 영향은 상호 유의적 관계하에서 증대되는 경향이었다.
        126.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논, 밭 양조건하에서 수륙도를 재배하여 생육과 수량을 비교하였다. 수도는 영남조생과 유신을, 육도는 하다상고구와 다찌미노리를 공시하했으며 처리내용은 무관개표준비, 관개표준비, 관개질소증비의 3구는 밭에, 관수표준비구는 논에 설치하여 1975년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는 논조건하에서 현미 수량이 많았고 유신은 10a 당 431.7k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육도는 논보다 밭에서 증수하였다. 2. 밭조건하에서 질소 증비에 의한 증수는 수도의 영남조생과 유신은 인정되나, 육도 2품종은 증수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영남조생과 유신의 출수기는 논조건하에서 보다 밭조건하에서 약 1주일 늦었다. 4. 고중은 수도는 논, 밭조건하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육도는 논보다 밭에서 많았다. 5. 10cm간 수수는 논ㆍ밭 어느 조건하에서도 수도가 많고 육도는 논, 밭조건하에 의한 차이를 인정할수 없었다. 6. 등숙비율과 천립중은 육도가 수도보다 논, 밭 어느 조건하에서도 컸으며 논과 밭의 비교에서는 수륙도 모두 논조건하에서 컸다. 7. 수도는 논에서, 육도는 밭에서 일수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8. 엽신의 질소함량은 전생육기간을 통하여 공히 논조건하에서 보다 밭조건하에서 많았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