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64

        14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e of the taxa of the superfamily Gelechioidea, Stathmopodidae, is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with 39 genera and 390 species reported as of 2015. This family shares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carrying their long hind tibia, but depending on the species, they have a variety of wing patterns and colors. Additionally, while there are species classified as pests for causing damage to grains and fruits, there are also species that feed on moss, spore of ferns and aphids. Consequently, they exhibit a diverse range of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search and similarities between species, there is still much confusion in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to date. In this current situation, further research intends to resolve the confusion in the phylogenetic sutdy of Stathmopodidae not only throug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but also by incorporation the latest technologies.
        14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of Pterophoridae, also called ‘Plume moth’, is distributed all around the world. More than 1,100 species have been studied and reported in the most recent world catalogue, and it has been discovered 34 species from Korea. The reason why they are called Plume moth is that they have a distinct shape of wings, which makes them easily distinguished. This group have a 6-40mm wingspan, mostly have two-pronged forewings and three-pronged hindwings. Interestingly, their resting posture is T-shaped with the narrow forewings held perpendicular to the body, while the hindwings tucked under or folded within the forewings. They have slender bodies with long, fragile legs, and also have three types of color : plain white, mottled gray or brown. Pterophoridae has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 is an interesting group for us to look over them in general.
        14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y Acronictinae is established by Harris in 1841 based on the type species, Acronicta leporina.. In the Korean penisula, the acronictine moth Acronicta cuspis was initially reported by leech in 1889, and a total 45 species have been recorded to date. This brief overview cover adult and larval morphology, as well as ecological data, for more profound comprehension of the Acronictinae.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direction could involve conducting a phylogenetic analysis and clarifying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s within the subfamily.
        14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perfamily Noctuoidea Latreille, 1809 is the largest group within the order Lepidoptera. This big superfamily have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by numerous authors and literatures. However, these huge number of information make hard to study this important group. In this discussion, we hope to talk a simplified overview of significant literature on Korean noctuid moths, recent trends, and forecast for approaching them more easily.
        14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ear pest, Cacopsylla jukyungi (Hemiptera: Psyllidae), is one of the most damaging insect to commercial pear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developed eight microsatellite markers specific to C. jukyungi and genotyped 132 individuals collected from 11 localities throughout South Korea. Populations showed lower observed heterozygosity than expected heterozygosity and slightly or highly positive values of inbreeding coefficients, suggesting that C. jukyungi is subjected to inbreeding. The nationwide expansion of pear orchards and the replacement with a popular new cultivar during the last 50 years, which may have accompanied the spread of C. jukyungi-bearing pear grafts and scions, are likely sources of such facilitated dispersal. Thus, a management strategy against unintended anthropogenic dispersal of the pear psyllid will be required for better control of C. jukyungi.
        14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가에서 곤충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프로그램의 개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곤충 돌보기 중심의 치유프로그램과 더불어 활용할 수 있는 야간 곤충채집 활동을 치유농업프로그램으로 개발하 고 시범 적용하였다. 야간곤충채집 활동은 대학생 9명에게 사전에 참여 동의를 획득하고, 전남대학교 학술림(장성)에서 1박 2일간 진행하였다. 18시부터 24시까지 야간 채집 활동과 익일 오전에는 채집한 곤충을 이용한 곤충 표본 제작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사전 (활동 전), 중간(채집활동 직후), 사후(표본제작 직후)에 뇌파, 맥파 검사 그리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뇌파 분석 결과, 야간 채집활동 직후 뇌파의 기초율동이 향상(10.67→11.44)하였다(p<0.05). 요인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분석 결과, 내적 스트레스는 3.22(사전)→2.96(사후)로 감소(p<0.1)하였고, 문제 수행능력 관련 스트레스는 2.92(중간)→2.70(사후)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간 채집 활동 속에 서 이용되는 근육의 움직임이 뇌 기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참여자가 적은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령대별, 성별 등 다양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채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14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생물자원관은 2010년부터 우리나라 생물종을 대상으로 IUCN 적색목록 범주에 따른 종 평가를 실시하여 국가생물적색자료집을 발간하여 왔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관속식물, 척추동물, 무척추동물 등 주요 분류군 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여 총 10권의 자료집을 발간하였고, 2019년부터는 기존 평가 종을 대상으로 재평가를 실시 하여 지금까지 총 9권의 자료집을 재발간하였으며, 내년에 거미류 자료집 발간으로 재평가를 마무리할 예정이 다. 현재까지 총 4,353종에 대한 IUCN 적색목록 범주에 따른 평가를 완료하였으나 이는 전체 자생생물종 58,050 종 대비 약 7.5%에 불과하다. 따라서, 2024년부터는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신규 분류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2019년부터는 IUCN 적색목록팀과 함께 우리나라 고유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IUCN 적색목 록에 등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총 150종의 고유종을 IUCN 적색목록 사이트에 등재를 완료하고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14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15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nalyzed comparatively the ground beetle communities of 1993 and 2023, with 30 year interval, in broadleaf and coniferous stands of the Gwangneung forest, a biosphere reserve in South Korea. 2,906 individuals (53 species, 38 genera, and 15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broadleaf stands and 1,782 individuals (36 species, 32 genera, and 14 families) from coniferous stands in 1993. The dominant species was Synuchus cycloderus in both stands. In 2023, 1,682 individuals (110 species, 78 genera, 21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broadleaf stands and 990 individuals (92 species, 67 genera, 22 families) from coniferous stands. In 2023, the dominant species were Eucarabus (Parhomopterus) sternbergi sternbergi in broadleaf stands and Coptolabrus jankowskii jankowskii in coniferous stands. Species richness (R'), species evenness (E'), species diversity (H'), and dominance (DI) were all higher than in broadleaf (R'=15.472, E'=0.336, H'=1.601, and DI=0.371) and coniferous (R'=13.756, E'=0.369, H'=1.324, and DI=0.326) forests in 2023.
        15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왕담배나방은 기주범위가 넓은 다식성으로 토마토, 옥수수, 담배, 해바라기, 땅콩, 면화, 콩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며, 장거리 이동성 해충으로도 유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월동번데기의 성충으로 우화모델(2종)를 작성하고 포장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월동 번데기는 휴면을 종료한 후 안점소실 과정을 거쳐 정상의 번데기로 이행되고 비로소 성충으로 우화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첫 번째 모형(모 형 1)은 2단계 휴면후발육 우화모형으로 안점소실에 필요한 적산온도 59.9DD (발육영점온도 15.9℃)와 번데기 발육완료에 필요한 192.3DD (발육영점온도 10.2℃)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모형(모형 2)은 온도자극 우화모형으 로 17.63℃의 온도자극 이후에 번데기 발육을 개시하는 모형이었다. 적산온도는 단순 평균온도법과 사인곡선법 으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포장자료와 비교 결과 모형 1에 사인곡선법을 적용했을 때 실측치와 편차가 3일보다 작거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사인곡선법을 적용한 모형 2는 3~6.5일의 편차가 있었다. 평균온도법을 적용한 경우 두 모형 모두 실측치와 편차가 증가하였다. 모형을 활용하여 예측 우화시기와 트랩유살자료를 비교하여 왕담배 나방의 비래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5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또한 충랑은 2018년에 품종등록된 3배체(캠벨얼리×고처) 포도로 신품종 연구가 필요한 품종이다. 연무늬들명나방 (Syllepte pallidinotalis)은 캠벨얼리와 신품종 충랑에서 잎의 가장자리를 말고 그 속에서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잎에 피해가 관찰되었다. 연중 포도원에서 연무늬들명나방의 밀도는 7월 중순과 9월 하순에 2번의 peak를 보였 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2령이 되면 잎을 말고 안에 숨기 때문에 잎을 말은 이후 약제 살포시 잎 안에 잘 뭏지 않아 방제가가 떨어졌다. 특히 생물농약인 비티제를 이용해 방제를 할 경우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에 살포 했을 때 93.5%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5월 하순이나 7월 초순 방제할 경우 73.9, 43.6%로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따라서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 8월 하순에 방제를 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15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포도 과원에서 보고된 장님노린재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가 있으며, 포도 신초를 가해해 잎 이 자라면서 구멍이 나고, 포도알을 흡즙해 포도알 표피를 코르크화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애무늬고리장님노 린재는 약충은 3~4mm, 성충은 4~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엷은 녹색을 띄고, 다리(설상부) 끝이 검어 초록장님노 린재와 구분된다. 조사지점에서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만 채집되었으며, 나무당 0~4.8마리가 발견되었다. 4월 하순 상대습도 40% 이상이고, 일평균기온이 13℃ 이상 10일 정도 경과하였을 때 알에서 부화해 신초를 가해 하기 시작했다. 5월 하순부터 성충이 되며, 포도원 살충제 살포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였다가 7월 초경에 초목성 식물에서 포도원으로 들어와 새로 나오는 포도 부초를 가해하였다. 방제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무게가 차이가 났는데 잎전개기, 꽃송이분리기, 착과기 3회 방제시 수량감소율이 1%인데 비해 잎전개기에만 방제시 3.5%, 꽃송 이분리기에만 방제시 7.9%, 무처리구에서는 15.6%로 방제 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감소량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5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cania sublimata are insects invaded in South Korea from China 2011. It has been happening continuously since invaded and It is established and continues to increase and occur in various crops such as persimmons, peaches, and apples. The nymphs and adults of R. sublimata causes damage by sucking the stems and leaves of trees. Yellow, blue, and white sticky traps (25x15cm) were installed in the 1000m2 Omija(Schizandra Chinesis Baillon) orchard september 2020 and the trap captures by color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yellow sticky traps were installed at heights of 1m, 1.7m, and 2m, and the trap captures according to the height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ttraction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ticky trap, yellow trap was the most attractive, blue and white traps had little attraction. And result of capture according to the yellow sticky trap height the most were caught at 1.7m height, followed by 1m and 2m in that order. Therefore,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investigate the density and monitoring of R. sublimata using yellow sticky trap.
        15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솔알락명나방(Dioryctria abietella)의 유충은 잣나무 구과를 가해 하는데, 피해를 심하게 받은 구과 종자의 손실량은 20.3%이며, 잣나무에서 구과피해율이 평균 25.7%에 달하여(이성찬, 2014), 잣 생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잣나무에서 페로몬 트랩의 설치 높이에 따른 솔알락명나방의 유인 효과 조사를 위하여 고가작업차 를 이용하여 잣나무림 지상부, 수관하부, 수관중부, 수관상부에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였다. 페로몬은 케이아이 피에서 구입 하여 사용하였으며 트랩은 델타트랩을 설치하였다. 4월 26일에 최초 설치를 시작하여 기상상황에 맞게 10~15일 간격으로 수거하여 유인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5월 초순에 4개 개체가 채집되기 시작하였으며, 6월 하순에 136개체가 채집되어 최대 밀도가 채집되었으며, 이후 점차 밀도가 감소하다가 8월 부터 밀도가 다시 증가하였다가 8월 중순 이후부터 다소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6월 초순에는 채집개체가 전혀 없었는데 이는 5월 하순부터 잣나무 송화가루가 날리면서 끈끈이트랩을 오염시켜 끈끈이트랩의 접착력이 떨어진 것에 기인한 것 으로 판단되었다. 수고별 솔알락명나방 페로몬 트랩 유인효과는 채집된 개체의 99.0%가 수관 상부에서 채집되 었으며, 2개체만이 수관중부에서 채집되었다. 수관하부와 지상에 설치된 트랩에서는 전혀 채집이 되지 않아 페로몬 트랩의 설치 높이에 따라 유인 효과가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15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강원특별자치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감나무와 콩에 발생하는 미국선녀벌레, 썩덩나무노린재, 담배거세미 나방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돌발해충인 미국선녀벌레는 약충기인 6월과 성충기인 10월에 발생조사를 진행하고 남방계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과 썩덩나무노린재는 7월과 9월 콩 재배기에 발생조사를 진행하였다. 미국선녀 벌레는 강원지역에 있는 감나무에서 발생을 확인할 수 없었고. 감나무 주변 기타 수목에서 가지당 평균 6.7마리 발생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7월, 속초를 제외한 모든 시군에서 발생이 되었으며, 춘천, 횡성에서 트랩당 60마 리가 넘는 발생밀도를 보였으며, 원주, 강릉, 화천 등 에서는 트랩당 1마리로 낮은 발생밀도를 나타냈다. 썩덩나무 노린재는 7월 춘천, 속초, 홍천 등 7개 시군을 제외한 11개 시군에서 트랩에 포획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화천에 서 트랩당 26마리로 최고발생밀도를 보였다.
        15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status of eggs and adults of Pochazia shantungensis, Lycorma delicatula, and Lymantria dispar was investigated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wintering eggs of P. shantungensis occurred in 24.2% of the region in 2021 and 22.1% in 2022, while adults occurred in 25.2% in 2021 and 24.3% in 2022, indicating the highest occurrence among the pests studies in this research. The occurrence of overwintering eggs of L. delicatula was relatively low, with 2.6% of the region affected in 2021 and 1.9% in 2022. Adults of L.delicatula occurred in 3.2% of the region in 2021 and 3.6% in 2022, while they were not undiscovered in Jeungpyeong, Jincheon, Goesan, and Danyang areas. Their area of occurrence was less than 3% of the region, and the volume of occurrence was not very large. Overwintering eggs of L.dispar occurred in 4.1% of the area in 2021 and 1.7% in 2022, showing a de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ir occurrence was only low to middle in terms of the degree of occurrence.
        15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chilus thunbergii (Laurales: Lauraceae, 후박나무) is planted as a street tree in Jeollanamdo and Jeju Island. Orthaga olivacea (Lepidoprate: Pyralidae, 제주집명나방) is known as a major pest of M. thunbergii. For managing O. olivacea by eco-friendly control method, the mating disruption would be expected. The sex pheromone of O. olivacea was identified as a mixture of (Z)-11-hexadecenyl acetate (Z11-16Ac), (Z)-11-hexadecenal (Z11-16Ald), and (Z)-11-hexadecenol (Z11-16OH) at a ratio of 100: 0.1:0.1 by Chinese research group. Before applying mating disruption, confirmation of its attraction in Korea was essential. The pheromone traps composed of Z11-16Ac alone and the blend of three components (100:0.1:0.1) were installed in Haenam, Jeollanamdo in 2021, and Jeju and Seogwipo, Jeju in 2022. In field attraction test, no O. olivacea was attracted to any trap. However, Mamesastra brassicae (Lepidoptera: Noctuidae), which was not intended, was caught in both years in the trap. Total of 19 in Haenam between September 23 and 30, total of 11 in Jeju between September 30 and October 28, and total of 108 in Seogwipo between September 15 and November 11 were caught to the trap lured with Z11-16Ac. While in the trap lured with the blend, total 1 and 6 were captured in Haenam and Seogwipo, respectively.
        15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in case of Palaearctic region, only one species, Nesendaeus monochrous in this genus was recorded from China. but the biology and life cycle are not clearly known, yet. This species collected from the bud of Glochidion chodoense in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closely related to Heterochyromera imerodeus Kojima & Morimoto which was recorded only in Japan,. But Nesendaeus monochrous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H. imerodeus by the relatively longer elytra with bisinuately round apices. Heterochyromera imerodeus Kojima & Morimoto can be found from Eurya emarginata and Glochidion obovatum in Japan. So, this two species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and need more taxonomic study about the generic synonymy or changing the generic position.
        16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Silpha Linnaeus, 1758 in Silphinae includes 33 species worldwide. This group is flightless and known to feed on invertebrate carcasses from the ground surface. In South Korea, 3 species have been recorded, and S. koreana Cho& Kwon, 1999 is an endemic species, distributed only Mt. Taebaek and Mt. Mindung. Up to date the immature stages of the species has never been studied although the species has significant value as an endemic species. The present study is the very first one ever conducted describing the larv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 koreana along with images of larval stages. Furthermore, we report observations on developmental lengths for each stages of the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