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brane-Aerated Biofilm Reactor(MABR)는 하수처리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의 기포형 산기 시스템은 산소전달효율(OTE)이 낮고 전체 에너지 소비의 80%까지 차지하는 등 에너지 비효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 MABR은 기체 투과성 막(membrane)을 통해 생물막으로 산소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이론적으로 100%까지 OTE 달성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MABR의 산소전달 메커니즘과 구조적 특징을 정리하고, OTE, 산소전달속도(OTR), 폭기 효율(AE) 등의 에너지 효율 지표를 중심으로 파일럿 및 실규모 적용 사례 11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E는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 대비 약 4-5배 향상된 수치이다. 그러나 OTE와 OTR 간의 상충관계, 공정 규모, 기질 농도 등 다양한 운영 변수에 따라 성능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현장 적용에서는 이론적 효율을 하회하는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접근으로는 간헐 공기 공급, 주기적 환기, 막 소재 개선, 막 이완 제어 등이 시도되고 있다. 동시에, 실증 연구들 간 실험 조건 및 효율 지표 산정 기준의 상이함은 결과 해석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MABR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에너지 효율 평가 기준의 표준화와 대규모 현장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농촌정보화는 산업의 생산성 증대와 경쟁력강화와 생산 및 유통의 효율화, 자원관리의 고도화 등을 통해 농촌경제를 활 성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와 설문지에 의한 실 증조사 연구와 문헌연구 등을 수행하였으며, 안동시 특용작물 농가 140명의 유효설문지를 통계처리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고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농가의 컴퓨터 보유농가는 85.7%였으나 노년층인 60 세 이상의 경우 미보유농가가 19.0%로 나타났다. 2. 영농이나 농작물 판매 시 컴퓨터 사용 여부 응답 분포는 성별(χ2=4.667, p<.05), 연령 차이(χ2=10.576, p<.05)에 의해 컴퓨터 사용 여부가 차이가 있음이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3. 정보화를 한다면 최우선필요 분야는 판매분야가 74.3%로 나타났다. 특히 판매분야 중에서도 시스템구축 61.4%, 소비자 정보공유 18.6%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4. 교육시간은 4시간 이하(65.7%)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안동지방 특용작물 재배농가는 농촌정 보화 시스템 구축을 농산물 판매에 중점을 두고 간단하게 배 울 수 있는 시스템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컴퓨터보유여부와 관 계없이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판매시스템 이 이러한 농민들의 요구를 만족하는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 된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ies for estimating the temperature history of the concrete after a fire. In this study measured the carbonation depth after fire resistance tests.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xisting fire damage diagnostic methods, carbonation depth must be than 5cm. However, the actual measured carbonation depth was 1.5 ~ 3.3cm.
To develop anti-acidosis and anti-diabetes agentsfrom natural product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Brazilian plant extracts against microbial -amylase and -glucosidase were evaluated. Among 100 different ethanol extracts tested, those of Acacia jurema Mart., Anacardium humile A. St.-Hil., Cedrela odorata L., and Guazuma ulmifolia Lam showed good inhibitoryactivities toward both enzymes. In addition, an extract of Plumeria drastica Mart. showed specific inhibition of -amylase, whereas that of Eugenia uniflora L. demonstrated strong inhibition of the enzyme. IC50 values of -amylase inhibition suggested that the extract of A. humile A. St.-Hil., which has been used as an anti-diabetes medicine in Brazil, had potent inhibitory activity. The IC50 for the A. humile A. St.-Hil. extract () was similar to that of acarbose (). This activity of A. humile A. St.-Hil. was not reduced by heat or acid treatment. Moreover, treatment with HCl (0.01 M) for 1 h increased the inhibitory activity from 57.5% to 81.2%. Also, the extract did not cause hemolysis of human red blood cells at levels up to 1 mg/m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A. humile A. St.-Hil. is potentially useful as an anti-acidosis and anti-diabetes agent.
Monascus purpureus MMK2를 이용하여 황색색소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균주가 생산하는 황색색소의 최적 배양 조건은 탄소원으로 wheat flour 3.0% 첨가, 질소원으로 0.15%, 인산염으로 의 농도가 0.25% 및 의 농도가 0.15%일 때 가장 높은 황색색소 생성을 나타내었다. 배양 온도는 , 초기 PH가 6.5 및 배양 시간 7일 일 때 황색색소의 생성능이 28.91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