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영양물질인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수 및 해수염에 존재하는 마그네슘과 칼슘을 사용하여 스트루바이트와 수산화인회석을 만들어 침전을 시켰다. 실험의 목적은 해수와 해수염을 사용하여 pH와 농도의 변화에 따른 영양염의 제거율을 비교평가 하였다. 하수의 실험조건에서 해수를 사용한 결과 인의 제거율은 90 %, 질소의 제거율은 50 %로 나타났다. 또한 pH 9, 질소와 인의 농도 10 mM, Mg/PO43-, NH4+의 비율 2의 조건에서 해수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질소의 제거율은 90 %, 인의 제거율은 70 %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인의 제거율이 높은 이유는 해수를 사용한 경우 질소와 인의 몰 농도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으며, 해수염을 사용한 경우 해수에 포함된 칼슘이 인과 반응하여 수산화인회석으로 침전 제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수중의 질소와 인을 제거를 위하여 해수와 해수염을 사용한 결과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5.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포해역에서 염분의 농도는 우기인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서는 30.3%에서 31.1%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나 여름철에는 27.6% 로 낮아져 담수의 유입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월 영산호 하구언 직 하류에서 염분의 농도는 23.6% , 목포항에서는 23.4%이였으며 장좌도와 달리도에서는 28.9%, 30.7%로 나타나 담수의 유입이 영산호에 유입되었으며 목포항에서도 혼합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염도가 약간 낮아진 것으로 보아 목포항의..
        4,000원
        6.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s (namely pH and Mg2+ concentration) for removing nutrients using MgCl2. I t will also aim to remove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such as those found in wastewater using MgCl2 with the aid of zeolite. I t was observed that nutrient removal using MgCl2 is best at pH 9. Increasing the pH further would affect NH4 + and PO4 3- ions therefore lowering the removal efficiency. Struvite formation does not occur at equal molar concentrations, which may be due to the absence of seeding material. Although addition of zeolite can increase removal effeciency for nitrogen, 100% removal may not be obtained. The Mg2+ previously present affect the ion exchange negatively.
        3,000원
        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호수는 인이 제한영양염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인의 제거는 하수처리에서 중요한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하수처리장은 재래식처리공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인의 제거율이 10~30%로 낮게 나타나 인의 제거공정은 필요하게 되었으며 패각은 수중의 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서 인의 활용이 주목된다. 회분식으로 패각을 이용하여 인의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패각의 크기가 작을수록, pH가 높을수록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칼슘의 주입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칼슘의 농도가 높을수록 처리효율이 증가하였으며 칼슘의 농도를 20mg/L로 조절하여 실험한 결과 2시간 내에 9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재순환을을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재순환율이 증가할수록 제거율은 증가하였으며 PH 11에서 재순환율을 300%로 조절한 결과 인의 제거율은 80%가 되었다. 중탄신이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중탄산이온의 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중탄산이온의 증가에 따라 인의 제거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소하는 비율은 지수함수로 나타났다.
        4,000원
        8.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육상 오염원의 영향을 적게 받는 완도 해역에서 약 10년간의 월별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식물성플랑크톤의 증가에 의한 유기물의 증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DIN의 경우 겨울철인 2월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인 0.138mg/L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름철인 8월에는 0.052mg/L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DIP의 경우도 DIN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겨울철인 2월의 농도가 가장 높은 0.015 mg/1이고 여름철인 8월이 가장 낮은 값인 0.011 mg/1를 나타내고 있다. 식물성플랑크톤의 제한영양염을 알아보기 위하여 Redfield ratio(N:P=16:1)를 이용하여 제한영양염을 평가하여 보면 완도해역은 질소가 제한 영양염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장 제한이 되고 있는 계절은 여름으로 N/P의 비가 10.5로 나타났다 Chl.-a는 겨울철인 2월에 비해 봄과 여름인 5월과 8월에 79%, 9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농도는 COD로 나타내었으며 2월에는 0.84 mg/1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8월인 여름철에 가장 높은 1.10 mg/1를 나타내었다. 영양염과 Chl.-a의 상관관계는 DIN과의 상관에서 r2M가 0.93, DIP과의 상관에서 r2M〈/TEX〉가 0.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물성플랑크톤의 증식이 영양염의 감소에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Chl.-a와 COD의 회귀분석에서 상관계수 r2M가 0.78로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기물의 생산량은 겨울철에는 17%, 여름철에는 3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완도의 해역에서 수온이 증가하는 여름철에 용존성 영양염의 농도는 감소하고 있으나 식물성플랑크톤의 지표가 되는 Chl.-a와 유기물의 지표가 되는 COD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우양식장의 저질에서 암모니아, 황화수소가스와 같은 독성물질의 용출은 수질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칼럼에 저질을 주입하고 저질 개선제로 활성탄, 제올라이트, 패각 그리고 철 등을 주입하여 저질로부터 용출되는 독성물질을 중심으로 수질에 미치는 영행을 평가하였다. 암모니아 질소(NO3)는 제올라이트와 패각을 주입한 곳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제올라이트는 암모늄이온(NH4+)을 이온교환으로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며, 패각은 pH의 상승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pH를 유지시켜 암모니아가스(NO3)의 농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화수소와 COD는 활성탄을 주입한 곳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으며 황화수소는 패각에서도 부분적으로 제거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은 활성탄, 패각, 철에서 잘 제거되었다. 새우 양식장에서는 특히, 주간에 플랑크톤의 광합성에서 의해서 pH가 상승하게 되며 이것은 암모니아가스의 농도가 높게 된다. 그러나 패각의 주입은 pH의 상승을 방지하여 암모니아가스의 농도가 높게 된다. 그러나 패각의 주입은 pH의 상승을 방지하여 암모니아가스의 농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4,000원
        10.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coagulants dose after backwashing. The turbidity of initial effluent was high after backwashing in the rapid sand filtration and the high turbidity was almost removed by coagulants dose into filter-sand after backwashing. It was found that the turbidity of initial effluent was well removed by all kinds of the coagulants used in this study. When filtration was performed input water with differentiated pH's, the turbidity of effluent was low at the range of pH 5 - pH 7. But the removal was not good about over pH 9. This result was considered into the existence forms of aluminium, Al(OH)2+ and Al(OH)2+ at pH 5. Cryptosporidiums of effluent were 4/ml for ten minutes immediately after back washing and 3/ml until sixty minutes. However, the case of coagulant dose after backwashing, Cryptosporidiums of effluent were 0.5/ml for ten minutes with no detection after twenty minutes.
        11.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mmonia removal by zeolite adsorp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n generally,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is conducted coagulation/flocculation, sedimentation, sand filtration and disinfection. We tested feasibility with two method, one is powdered zeolite dosing to coagulation tank and the other is to substitute granular zeolite for sand of sand filter. In powdered zeolite test, raw water is used tap water with putting of 2mg/l of NH4+-N. Filtration of granular zeolite was conducted with 80cm of effective column high and 120m/d of flow rate. At above 100mg/l of zeolite dosage, ammonia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elow 0.5mg/l of NH4+-N in powdered zeolite test. But, turbidity was increased to 30NTU by powdered zeolite dosage. That turbidity was scarcely decreased in generally coagulant using condi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n granular zeolite test, ammonia was not detected in treated water until 8 days. This result suggest that using of granular zeolite in sand filter could be removal ammonia in winter. But we need regeneration at zeolite filtration for ammonia removal. So, it is to make clear that zeolite regeneration ability was compared KCl with NaCl. The result reveal that KCl was more excellent than NaCl. Optimum regeneration concentration of KCl was revealed 100 mM. Regeneration efficient was not increased at pH range 10~12.5
        12.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 using ozone combin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ultraviolet treatment were evaluated for 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 (BDOC) formation and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removal. Oxidation treatment were conducted alone or combination with ozone, hydrogen peroxide and ultraviolet processes. Ozone dosage of ozone process was varied from 0.5㎎/ℓ·min to 5㎎/ℓ·min. Ozone/hydrogen peroxide process was done using 20㎎/ℓ of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Ozone/ultraviolet process was irradiated with 12mW/㎠ of density and 254nm. Ozone dosage was varied from 0.5㎎/ℓ·min to 5㎎/ℓ·min at the ozone/hydrogen peroxide and ozone/ultraviolet processes too. Contact time of all the process was 20 minutes. Oxidation treatment were performed on microfiltration effluent samples. BDOC formation was reached to an optimum at ozone dosage of 1.5㎎/ℓ·min in the ozone/hydrogen peroxide process and 1㎎/ℓ·min in ozone/ultraviolet process, after which BDOC formation was decreased at higher ozone dosages. But BDOC formation was increased with ozone dosages increasing in ozone process. The efficiency of DOC removal was higher AOPs than ozone process. Ozone/ultraviolet proces was the highest for DOC removal efficiency in each process. THMFP removal efficiency by ozone/ultraviolet process was higher than that by each of ozone process and ozone/hydrogen peroxide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