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C-PLUS 그 릿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의 개발은 그릿코칭의 개념화와 그릿코칭 구성요소 설정 및 코칭역량과의 연계 성 도출, ACTIVE 대화모델을 바탕으로 한 그릿코칭 대화모델 구축, 리더의 필 요 역량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직의 리더 15명을 대상으로 총 8회기 C-PLUS 그릿코칭 프 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그릿코칭 프로그램 실시 후 변화된 코칭리 더십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기 위해 코칭리더십 척도(K-CBLS)와 코치의 자기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양적분석을 하였 다. 연구 결과, C-PLUS 그릿코칭 프로그램이 코칭리더십의 하위 요인인 작업 동맹, 열린 의사소통, 학습 및 개발, 수행 과정 및 결과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 는 그릿코칭 프로그램이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프로 그램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효과적 목표 달성을 돕기 위한 그릿코칭역량 척도 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릿코칭의 기본 개념과 척도의 구성요인 및 예 비문항의 구성을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릿코칭 프로그 램에 참여한 코칭학과 석사, 박사 20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 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을 보육, 교육, 심리, 경영, 코칭학을 전공한 교수 및 코칭 전문가 7인에게 1차 내용 타당도를 받아 6개 구성요인, 150문항을 구성하고, 코 칭학과 교수 2인과 함께 2차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4개 구성요인 60개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다. 성인 50명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성 인 261명 본조사 설문 자료를 사용하여 구성요인의 개념 타당성을 검증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통해 성장 마인드 7문항, 열정과 도전 8문 항, 존중과 신뢰 8문항, 끈기와 인내 7문항으로, 4개 구성요인 30문항의 그릿코 칭역량 척도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들이 효과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리더십 코칭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리더십코칭의 기본 개념과 척도의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의 구성은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KPC 이상의 인증자 격을 갖추고 활동하는 전문 코치와 리더 역할을 수행하는 22인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담(FGI)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조직의 리더, 코 칭학과 교수, 코칭 전문가 5인에게 1차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6개 영역, 150문 항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2차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6개 구성요인 98개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고, 리더 257명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요인의 개념 타당 성을 검증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적합도 및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리더십코 칭 척도의 구성요인은 윤리실천(6문항), 성찰 마인드(5문항), 피드백(5문항), 관 계형성(6문항), 의사소통(4문항), 목표달성(7문항)으로 6개 구성요인과 33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리더십코칭 척도를 확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