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cuma alismatifolia ‘Chiangmai Pink’는 분홍색 화 포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꽃을 가지고 있다. Curcuma alismatifolia ‘Chiangmai Pink’는 하나의 근경에 2 ~ 5개의 괴근이 연결되어 있으며 C. thorelii ‘Chiangmai Snow’의 하나의 근경에 3 ~ 18개의 괴근이 연결되어 있다. 괴근은 11월에 수확하여 이듬해 4월에 식재하였다. 괴근을 3 ~ 6 개 가지고 있는 ‘Chiangmai Snow’의 개화율은 86%였으 나 15 ~ 18개 가지고 있는 것은 거의 100%를 나타냈다. 괴근 2개를 가지고 있는 ‘Chiangmai Pink’의 개화율은 50%였으나 5개 가진 것은 70%의 개화율을 보였다. C. alismatifolia ‘Chiangmai Pink’와 C. thorelii ‘Chiangmai Snow’는 괴근수가 많을수록 출아일, 화뢰출현기 및 개화 기가 단축되었으며, 초장, 화경장 및 화서장이 증가되었 고, 개화율과 수명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식 재 전 구근의 저장온도는 20oC에 비해 25oC 및 30oC의 경 우 정식 후 맹아가 출현되기까지의 일수가 감소되었다. 또 한 건식저장보다 습식과 상토저장 시에 맹아출현 소요일 수가 크게 단축되었다.
        4,000원
        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확 후 몇가지 전, 후처리가 자생식물인 벌개미취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벌 개비취를 상품성이 있는 절화로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수확 후 3% sucrose + 200 mg·L−1 HQC + 50 mg·L−1 AgNO3+ 50mg·L−1 BA와 3% sucrose + 200 mg·L−1 HQC + 50 mg·L−1 AgNO3+ 150mg·L−1 citric acid 용 액에 16시간 동안 전처리한 경우 증류수구보다 절화수 명이 1.4배 길어졌다. 3% sucrose + 200mg·L−1 HQC + 50 mg·L−1 AgNO3+ 50 mg·L−1 BA와 3% sucrose + 200mg·L−1 HQC + 50mg·L−1 AgNO3+50mg·L−1 GA3 보존용액에 계속 침지한 벌개미취는 증류수에 비해 절 화수명이 1.6배와 1.7배 길어졌다. 이 처리에서 생체중 이 증가되고 수분균형도 늦게까지 플러스 값을 유지하여 절화수명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벌개미취 절화수명에 생체중과 수분균형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어초 'Potomac Red'를 200공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하면서 NH4+과 NO3- 비율을 조절한 액비로 시비한 결과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 모두 27 : 73(NH4+:NO3-)의 비율로 시비된 처리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나타냈다. 파종 56일 후 식물조직의 질소와 인산함량은 27 : 73로 시비된 처리에서 각각 2.84% 및 0.39%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식물체내 K의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지만, 관비용액의 NH4+ 비율이 높아질수록 식물체의 Ca 및 Mg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상토의 pH는 파종 3주 후부터 NH4+:NO3-의 시비 비율에 따른 처리간 차이가 발생하여 8주까지 계속적으로 변하였으며, NO3-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중성쪽으로, 그리고 NH4+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산성쪽으로 변하였다. 상토의 EC는 NH4+ 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100% NH4+ 처리에서 파종 8주 후 2.2dS·m-1까지 상승하였다. NH4+:NO3-의 비율에 따른 상토중 질소 농도변화는 100 : 0의 비율에서 가장 높은 NH4+-N 농도를, 0 : 100에서 가장 높은 NO3--N 농도를 나타내었고, 상토의 인산농도는 처리간 뚜렷한 차이가 없이 식물이 생장함에 따라 토양의 인산농도는 낮아졌다. 그러나 관비용액의 NH4+ 비율이 높아질수록 상토의 K, Ca 및 Mg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관비용액의 NH4+:NO3-의 비율에 대한 식물생장 반응을 고려할 때 두 질소 비율로 27 : 73으로 조절하는 것이 플러그 육묘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4,000원
        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리엔탈계 백합 ‘Casa Blanca’ 절화에 여러 가지 화학적 전처리를 한 후 절화수명, 수분균형 및 엽록소 함량 변화 등을 조사하여 전처리가 백합 절화의 수명 과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본 실 험을 실시하였다. 가장 효과가 좋았던 전처리는 3% sucrose + 200mg·L-1 HQC + 50mg·L-1 AgNO3+ 50 mg·L-1 GA3와 0.2mM STS + 10% sucrose + 100 mg·L-1 GA3+ 1mM MnCl2로 절화수명이 무처리에 비해 약 3~4일간 연장되었으며 화경(化經)도 2cm 가량 증대되었다. 뿐만 아니라 무처리에 비해 생체중 이 높게 오랫동안 유지되었고 증산량에 비해 흡수량 이 높아 수분균형이 오랫동안 (+)상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20일 후 까지도 엽록소의 소실 없이 녹색상태 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