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물체정유란 식물체에 함유된 휘발성분을 증기증류를 이용하여 추출한 액상 형태의 추출물로 살충, 살균, 항세균, 살선충 등 다양한 활성들이 보고되어 있다. 특 히 최근 메틸브로마이드 등 가스형태의 훈증제들이 가지고 있는 독성 등 여러 가지 부작용 때문에 식물체정유들이 가지고 있는 살충, 살균,항세균 활성들이 관심을 받 고 있다. 식물체정유에는 다양한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는데(cynohydrins, monoterpenoids, sesquiterpenoids, sulphur compounds, thiocyanates 등) 이들 화 합물들은 단독 혹은 협력하여 다양한 활성들을 보인다. 이들 식물체 정유 혹은 정유 유래 화합물들은 발육단계별로도 다양한 활성에 차이를 보이며 농약에 저항성인 계체에 대해서도 활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식물체정유는 이산화탄소나 ethyl formate 등과 혼합하였을 때 훨씬 좋은 활성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식물체정 유 성분들의 살충 혹은 살균 활성을 나타내는 기작에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이 되었 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기작은 알려진 것이 별로 없는 실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식물 체정유 및 정유성분들의 살충, 살균, 항세균 등 다양한 활성을 알아보고 앞으로 식 물체정유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제의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38년 DDT가 개발된 이후 현재까지 해충 방제를 위하여 유기합성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고 해충방제에 많은 공헌을 한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살충제의 장기간 및 과다 사용으로 최근에 인축에 대한 독성, 환경오염, 저항성해충의 출현, 잠재해충의 해충화 등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유기합성농약의 여러 가지 부작용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이들을 대체할 환경친화형 방제법을 개발해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할 생물농약 개발에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며, 국내생물농약시장은 환경친화형 방제제에 대한 수요 증가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생물농약 연구는 대부분 농업 혹은 위생 해충에 국한되어 있으며, 산림해충 방제를 위한 생물농약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 산림에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할 친환경 방제법 개발은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현재까지 산림해충 방제를 위한 국내산림해충의 화학생태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두나무(Juglans sinensis)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수고 20m 까지 자라며 씨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는 소 백산, 속리산 이북의 고도 100∼1500m 정도의 산림지대 및 계곡 등에 자생하나 고 도 500m 정도에서 잘 자라는 낙엽활엽수로서 수고 20m, 직경 80cm까지 자라며 중 국, 시베리아에 걸쳐 분포한다. 그러나, 최근 호두나무잎벌레(Gastrolina depressa) 가 발생하여 호두나무와 가래나무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호두나무잎벌레 에 대한 국내 연구 자료는 생태에 대한 간략한 자료가 있으나, 정확한 형태적 특성 및 생태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호두나무잎벌레에 대한 형 태 및 발육단계별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두나무잎벌레(Gastrolina depressa) 의 알은 타원형이며 진한 오렌지색을 띠었다. 유충은 총 3령기를 거치며, 몸 전체에 걸쳐 회색을 띠었다. 유충기간은 약 8.14일이 소요되었다. 성충은 암수 모두 남색이 었으며, 암컷이 수컷에 비해 크기가 컸다. 월동한 성충은 4월말에 처음 발생하여, 기주식물의 어린잎에 난괴로 산란하였다. 다자란 3령 유충은 짧은 전용기를 거친 후 번데기가 되었다. 새로운 성충은 5월 중순부터 우화한 후, 바로 휴면에 들어갔다.
        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astragalosides in Astragalus membranaceus. Between the phenolic compound groups, flavonoids compounds (51.13%) had higher average concentrations than the phenolic acids groups. Among the 30 phenolic compounds, quercetin (353.11μg g-1) provid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cultivation year, 3-year-cultivated Astragalus (2612.57μg g-1)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 days, 6/5 harvesting Astragalus (2615.80μg g-1)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henolic acids. Comparison between the top and subterranean parts of harvested Astragalus plants cultivated for 2 years, 3 years, and 5 years showed big differenc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concentrations. Further, the top part had higher amounts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than the subterranean part among all Astragalus. This tendency was similar to those of the top root and lateral root. The concentration of the phenolic compounds in the top roo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teral root.
        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astragalosides in Astragalus membranaceus. The total astragaloside content (1701μg g-1) of 2 year-cultivated astragalus was the highest among the variously cultivated astragalus plants. Upon an increase in cultivation time, the average value of the total astragaloside content decreased (from 1650μg g-1 to 645μg g-1). Especially, the content of astragaloside decreased rapidly. Comparison between the top and subterranean parts of harvested astragalus plants showed that as the cultivation time increased, the astragaloside content of the top part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subterranean part demonstrated the opposite pattern. The astragaloside content of the top root increased compared to that in the lateral root (from 1.9μg g-1 to 33.4μg g-1). Further, the content of astragaloside increased in the top root as the cultivation time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