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Invasion of these invasive plants in the ecosystem threatens the habitat of endemic species, reduces biodiversity, and causes a disturbance in the ecological system. Hypochaeris radicata L. (Asteraceae), the most invasive plant in Korea, particularly in Jeju Island, invades farmlands, and autochthonous forests,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monocultures and modification of the ecosystem structure.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as, we evaluated the biological activity of 70% ethanolic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Hypochaeris radicata L.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70% ethanolic extracts of different parts, such as flower, leaf, stem, and root, of H. radicata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flower extracts (50.82 ± 3.16 ㎎ · GAE/g). In addition,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was observed in flower extract (15.19 ± 2.03㎎ · QE/g). The flower extract of H. radicata exhibited strong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than the other parts. The flower extract of H. radicata was observed to have the highest tyrosin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onclusions: The flower extracts of H. radicata exhibited remarkable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tyrosin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These activities might be related to the 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the H. radicata flower extract.
        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ome of invasive plants, which were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have caused problems in Korea. Invasion of these invasive plants in the ecosystem threatens the habitat of endemic species, reducing biodiversity, and causing a disturbance in the ecological system. Hypochaeris radicata L. (Asteraceae), the most invasive plants in Korea, particularly in Jeju Island, invade farmland, and autochthonous forest, establishing monocultures and modifying the ecosystem structure. This invasive species has become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because they displace the indigenous plant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iv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root, stem, seed and leaf) of the invasive exotic species Hypochaeris radicata L. Methods and Results :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stimate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to investigate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ethanolic leaf, root, seed, and stem extracts of the Hypochaeris radicata.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by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reducing power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ssay and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also determined and expressed in gallic acid and quercetin equivalen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ethanolic extracts of the leaf, root, seed, and stem of H. radicata posses significant scavenging activity against DPPH (21.25% for leaf, 34.98% for root, 60.76% for seed and 45.25% for stem at 250 μg/ml eac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4.85% for leaf, 17.40% for root, 35.91% for seed and 24.70% for stem at 250 μg/ml each), reducing power activity (0.178 absorbance at 300 μg/ml for leaf, 0.211 absorbance at 300 μg/ml for root, 0.447 absorbance at 300 μg/ml for seed, 0.276 absorbance at 300 μg/ml for stem).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may b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adequate phenolic (gallic acid content is 361.92.98 μg/g in leaf, 356.59μg/g in root, 719.72 μg/g in seed and 512.08 μg/g stem) and flavonoid compounds (219.52 μg/g in leaf, 75.67μg/g in root, 281.39 μg/g in seed and 215.66 μg/g stem).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thanolic extracts of both leaf, root, seed and stem of H. radicata has demonstrat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has demonstrated that Hypochaeris radicata seed ethanol extracts are rich in phenolics and have a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a radical-scavenging action in all of the tested methods. This suggests that Hypochaeris radicata is a good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인삼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케어 제품의 시료 제시 방법과 여성들의 삶의 질 개선 효과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삶의 질이란 질병이나 건강 상태가 일상생활에 미치 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에 저자들은 45명의 건강 한 성인 여성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Group A)에는 브랜드 고유의 패키지를 유지한 인삼 크림 시료를 제공하였고, 다른 그룹(Group B)은 브랜드와 제품명을 알 수 없는 하얀색 통에 담은 동일한 시료를 제공하여 8주간 사용하게 하였다. 피부 관련 삶의 질 평가는 Skindex-16 설문지를 사용하여 시험 초기와 4주 후, 8주 후에 걸쳐 시행되었다. 시험 참여를 중지한 2명의 피험자를 제외한 43명의 Skindex-16 초기값의 평균은 22.70 ± 4.82점이었다. 8주 후, 그룹 A의 Skindex-16 지표는 초기값 23.30 ± 5.14에서 20.20 ± 4.83으 로, 그룹 B는 22.17 ± 4.58에서 20.52 ± 3.6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개선되었다. 세부 항목에서는 그룹 A의 ‘증상’ 항목이 4주 후, ‘감정’ 항목이 8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기능’ 항목은 어 느 그룹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총합과 세부 항목 모두 측정 시기 및 그룹에 따른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인삼 크림이 포함된 스킨케어가 건강한 성인 여성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스킨케어 행위 자체가 패키지에 대한 영향보다 삶의 질의 개선에 주는 영향이 큼을 추측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삶의 질’이란 기존의 피부과학 지표의 개선과 주관적 만족도의 개념을 넘어 신규한 화장품 효능 영역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표는 한의학을 기초로 한 새로운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한방화장품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얼굴과 피부에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 환자의 질병과 체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방법이었다. 내부 장기의 상태를 얼굴에 발현되는 증상과 피부를 통해 진단하는 방법을 한의학의 진단체계에서는 ‘망진(望診)’이라 한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5년간 인삼농축크림을 사용한 피검자군 여성 11명과 대조군여성 11명을 대상으로 한의사 3인의 망진 평가와 비침습적인 피부 실측 과정(non-invasive skin bio-engineering)을 병행하여 두 그룹 간의 피부 상태를 비교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총 17항목의 망진 평가에서는 7개 항목에서 인삼농축크림 장기사용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7가지 피부 측정항목에서는 유분, 거칠기, 색소침착 면적과 눈가 주름 깊이에서 인삼농축 크림 장기사용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인삼농축크림의 장기사용이 피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한의학적인 진단법과 현대기기를 이용한 피부 계측 방법을 융합하여 한방화장품의 특성을 살린 신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