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indoor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56 multiple-use facilities located in Gwangju area from December 2017 to December 2018. The averag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underground space was 51.70 Bq/m3, and that of the 1st floor was 38.73 Bq/m3, indicating that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underground spa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1st floor.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derground space. The concentration of radon on the 1st floor with underground space was 37.25 Bq/m3, and the concentration of radon on the ground floor without underground space was 47.94 Bq/m3. In the absence of underground space, indoor radon concentration was high.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buildings over 30 years old was 87.26 Bq/m3, indicating a significantly higher indoor radon concentration compared to those of buildings less than 30 years old.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ventilator.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space without an operating ventilator was 52.17 Bq/m3, and that of space with a ventilator in operation for more than 8 hours per day was 36.31 Bq/m3. This result shows that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the space with an operating ventilator is lower than the space where the ventilator is not in operatio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the space with an operating ventilation system was lower than that on the same floor of the same building, and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enclosed space was about 4.4 times higher than that of open space in the same building. In additio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spatial features. The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of enclosed space was 64.76 Bq/m3, which is higher than those of an open space and an active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isture removal using a moisture condensation tube on the odor concentration, when sampling a malodorous substance from an odor discharge facility’s emission sites. For high-temperature and humid gas streams, the odor concentration was decreased through the use of a moisture condensation tube. The multiple odor concentration of the high-temperature and humid gas streams emitted from boiler-burning equipment decreased from a 3,000 to a 1,221 dilution factor when using one or two moisture condensation tube. This multiple odor concentration was further decreased to a 1,000 dilution factor by using two moisture condensation tubes and glass beads, and also was decreased to a 374 dilution factor by using two moisture condensation tubes and silicagel. Among the designated offensive odorous substances, ammonia, trimethylamine and acetaldehyde that have high solubility in water showed high reduction rate of thei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result using a sampling tube only, th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94.8% ~ 97.7% for ammonia, by 87.5% ~ 95.9% for trimethylamine and by 100% for acetaldehy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ampling using a moisture condensation tube affects the concentration of multiple odor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using a sampling tube only for emissions sampling enhances analytical accuracy and precision rather than using moisture condensation tube with sampling tube, even for the emissions containing moisture.
광주천은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광주광역시를 통과한 후 영산강과 만나는 길이 약 20km의 지방하천이다. 생태하천 복원사업 등을 통해 부족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천유지 용수 명목으로 주암호 호소수, 영산강 하천수, 그리고 하수 처리장 방류수 재처리수 등이 다량 방류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생태학적 영향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환경부 주관의 전국자연환경조사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에 따른 대규모 생태조사시 광주천은 2~3지점 포함되어 조 사되고 있으며, 과거 광주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대 한 분포조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더욱이 세계적인 물 관리 패러다임이 생물․ 생태학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광주천 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고 그 일환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조사를 실시하였 다. 본 조사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총 3회에 걸쳐 현장조사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조사를 수행 하였다. 1차 조사는 2014년 10월 30일, 2차 조사는 2015년 2월 4일, 3차 조사는 2015년 4월 22일 실시하였고 조사대상 지점은 교란지점을 중심으로 상류부터 5개 지점을 선정하 였다. 지점 1~3은 상류지역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처리 수 방류구 , 주암호 호소수 방류구, 영산강 하천수 방류구가 설치되어 있다. 지점 4는 중류지역으로 다른 하천이 유입되 는 지점이다. 지점 5는 하류지점으로 영산강과 합류되는 지 점이다. 대조군으로는 광주천이 발원하는 무등산 제2수원 지 상류 계곡 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4문 7강 16목 31과 50종이 확인되었다. 곤충 류가 39종 (88.1%), 비곤충류가 11종 (11.9%)으로 나타났 다. 곤충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이 48.1%, 날도래 목(Tricoptera)이 28.3%를 차지하였고 파리목(Dipteria), 딱 정벌레목(Coleoptera) 순이었다. 평균 개체수는 지점 1에서 586개체, 지점 2에서 348개체, 지점 3은 187개체, 지점 4는 184개체, 지점 5에서는 58개체였다. 분류된 종과 개체수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각 지점별 우점종은 지점 1과 2에서는 부채하루살이(Epeorus pellusidus Brodsky), 지점 3에서는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 Iwata), 지점 4 와 5에서는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Linnaeus)로 나 타났다. 우점도지수(DI)는 평균 0.62로 5개 지점에서 모두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H')는 평균 2.18 로 4, 5지점에서 다소 낮게 분석되었다. 종풍부도지수(RI) 는 평균 2.33으로 지점 1에서 평균 3.35, 지점 5에서 1.14로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균등 도지수(J')는 평균 0.62를 나타내었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 록 낮아지기는 하나 그 차가 크지 않았다. 하천 수질상태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는 비내성 범주 지수(EPT)를 조사한 결과 지점 1에서 86.0%, 지점 2는 85.4%, 지점 3은 61.5%, 지점 4는 54.0% 그리고 지점 5에서 46.9%를 나타내었다. 본 조사는 광주천에 대한 향후 지속적인 수생태 건강성 평가연구의 일환으로 지방하천에 대한 체계적인 생물조사 를 바탕으로 생태학적 관점에서 하천에 대한 수질관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의 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하거리 가 짧고 도시의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해 하천 수량이 줄어 들며 다양한 인위적인 교란요인이 상존하는 광주천에서는 이화학적 수질조사는 그 한계가 있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을 포함한 다양한 수서생물 이용한 생태학적 수질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iciency of using 7 indoor plants, which were Chrysalidocarpus lutescens, Ficus robusta, Sansevienria trifasciata, Rhapis excelsa, Scindapusus aureus, Anthurium andraeanum and Pachira aquatica, for B·T·E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removal were assessed at 1200 Lux light intensity in airtight chambers (1.27 m3). Rhapis excelsa, Chrysalidocarpus lutescens and Ficus robusta were among the most effective plants, completely removing for B·T·E within 38 hours, wherease Scindapusus aureus and Sansevienria trifasciata were the lowest in terms of removal efficiency. But when the removal efficiency was measured per unit leaf area (μg·m−3·−2), it was found that Scindapusus aureus, Anthurium andraeanum and Sansevienria trifasciata removed higher amount than Rhapis excelsa, Chrysalidocarpus lutescens and Ficus robusta. Plants with wide leaves and a big leaf area including Rhapis excelsa and Chrysalidocarpus lutescens showed higher removal efficiencies of B·T·E than those with smaller leaves such as Scindapusus aureus. Among the plants tested over 120 hours, the species that emitted the highest levels of CO2, involved with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plants, Pachira aquatica (11,560 ppm) was emitting 10 times more CO2 than Scindapusus aureus (1,260 p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