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ct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related to exposure of organic solvent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between workers at the workplace exposedto organic solvent (toluene, xylene, styrene) and workers at general workplac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to December 2010, th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male workers of 168,769 persons with age group 30-59completed medical checkup, dividing workers at organic solvent exposed work place and workers of generalworkplace against which comparisons were carried out about the result of general characteristics, blood test.Whether exposed to organic solvent and exposed period relationship with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wereidentified through execution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valence rate of the metabolic syndromeby age was 15.0% for the 30s, 19.8% for the 40s, 22.9% for the 50s. For the whole workers, the prevalence rateof the metabolic syndrome was 17.4% in exposed workplace and 18.4% in general workplace that was higherthan the rate in exposed workplace. Even if age, drinking, smoking, exercise, region and BMI were corrected,the exposure to the organic solvent was the higher the significance of blood pressure and fasting glucose werestatistically and also the longer the period of exposure was, the higher the significance of blood pressure wasstatistically. In this study, the exposure to the organic solv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with bloodpressure and fasting glucose among the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nd the period of exposure showed a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with blood pressure.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by prospective cohortstudy about the organic solvent and the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supplementing the defects.
목적 : 영유아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K-MBI와 한글 PEDI를 실시하여 영유아 뇌성마비의 일상생활 평가에 있어서 두 평가 도구의 적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 1세부터 5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 66명과 정상 발달 아동 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의 검사도구인 K-MBI와 한글 PEDI는 모두 검사자 1명에 의해서 시행되었고.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0과 MedCalc version 12.3을 사용하였다. 뇌성마비군과 정상군에서 두 평가의 변별력을 비교하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분석을 이용하였고, 두 집단 간에 K-MBI 점수와 한글 PEDI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K-MBI와 한글 PEDI 모두 정상군과 뇌성마비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K-MBI의 경우 보행, 의자/침대 이동, 계단 오르기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글 PEDI에서는 기능적 기술 부분과 보호자 도움 부분 양측에서 이동 영역, 신변처리 영역, 사회적 기능 영역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 평가의 적합성 비교를 위하여 Area Under the ROC Curves (AUC) 넓이 차이를 비교한 결과 총합, 신변처리 영역, 이동 영역 모두에서 한글 PEDI가 K-MBI보다 넓었다. 결론 : 영유아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 유무를 변별하는데 한글 PEDI가 현재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으로 사용되는 K-MBI보다 높은 변별력을 가진다. 임상에서 영유아 뇌성마비의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시 아동의 일상생활을 보다 적절히 평가 할 수 있는 도구로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