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조류를 대상으로 국립공원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여 생물다양성이 서식지 변화나 환경변화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것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산림성 조류로 두견목, 딱다구리목, 수리목, 매목, 비둘기목, 쏙독새목, 올빼미목, 참새목 등에 해당하는 112종에 대하여 5인의 전문가 의견을 통해 교란 민감도 값을 산출한 후 자연성 지수 값을 산출하였다. 교란 민감도는 긴꼬리딱새와 팔색조가 높았으며 까치, 직박구리, 멧비둘기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각 공원에서 기록된 개체수 합과는 역상관으로 나타났다. 조류 자연성 지수는 속리산에서 78.70, 월악산 68.30, 주왕산 60.64, 월출산이 49.09로 나타났으며 특정 개체수를 지닌 종이 사라지는 시나리오별로 전체 종수와 Fisher’s alpha, Shannon-Wiener 다양도지수 (Hʹ), 자연성 지수가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연성 지수는 희귀종에게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고 개체수가 많은 종으로만 구성되는 경우에도 지역 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추후 전체 조류 종에 대한 교란 민감도 지수를 산출하여 지점별 그리고 시간에 따라 조류의 자연성 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모니터링한다면 기후 변화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변화로 생물다양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300원
        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조류의 중간기착지인 전남 홍도에서 참새목조류의 서식지 이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교목, 관목, 초지, 농경지 등 주요 서식지 유형 중 관목에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교목과 관목, 농경지에서의 조류 행동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교목에서는 주로 휴식을 취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2=61.583, df=2, p〈0.001), 농경지에서는 취식을 하는 양상이 나타났고(2=117.339, df=2, p〈0.001), 관목에서는 취식의 비율이 가장 낮고 휴식과 기타행동의 비율은 유사하게 나타났다(2=66.725, df=2, p〈0.001). 추계에는 춘계에 비해 교목에서의 관찰 빈도가 증가한 반면 관목, 초지, 농경지에서의 관찰 빈도는 감소하였다. 서식지다양도와 종다양도 간에는 서식지다양도가 높을수록 종다양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585, p〈0.01). 본 연구는 참새목 조류의 중간기착지에 대한 보전 전략을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4,000원
        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kinds of odorous aldehyde were investigated at industrial complex in Busan. Samples were collected by DNPH cartridge at 24 work places, 81 samples in 44 sites, and analysed by HPLC/UV system. Acetaldehyde was detected in 78 samples with range of 1.2~299.7 ppbv.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and i-valeraldehyde were detected in 7 samples, 11 samples, 2 samples and 9 samples, respectively. Measured concentration of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n-valeraldehyde and iso-valeraldehyde were ranged 14.8~74.1 ppbv, 1.6~132.0 ppbv, 11.7~13.3 ppbv and 113.9~8858.9 ppbv, respectively. Among total analysed samples, 15 samples were over than degree 3 of calculated odor intensity. All of i- Valeraldehyde detected samples were showed over than degree 3. The work places subsisted aldehydes with high concentrations were related with leather-factory wastes disposal plant, leather, feedstuff, producing synthetic seasoning and textile mill.
        4,000원
        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lodor as the sense pollutions is rising to surface with a new environmental matter. Especially, malodor"s appeal is increasing steadily from a residential area of the industrial complex. The odor characteristic and odor active compounds of industries should be identified to solve this problem. The dye company was selected as a sample among the industries. Air samples of the dye company were sampled with polyester aluminum bag and it was analyzed by GC/FID/O and GC/MS. The feature of the complex odor was ironing, sour and burnt smell. The odor active compounds of individual odor which contribute these smell were mainly 2-ethyl-hexanal, octanal, 2-ethyl-1-hexanol and nonanal. This study will help odor problem of industries to solve effectively.
        4,000원
        7.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3년간 봄과 가을에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hynchus)의 이동 규모를 조사함으로써, 기상에 따른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고, 벌매의 이동생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홍도에서 기록되어진 벌매의 개체수를 살펴보면 2005년 702개체, 2006년 404개체, 2007년 659개체로 나타났고, 이중 봄철에 관찰된 개체수는 2006년 2개체, 2007년 8개체에 불과하여 홍도는 벌매의 가을철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월 20일에서 10월 5일 사이에 많은 이동이 확인되었다. 벌매는 2007년 가을 시간대별로 조사된 538개체의 벌매 중에서는216개체(40.1%)가오전 7시에서 8시 사이에 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시 풍향 선호도는 이동 방향의 오른쪽 뒤쪽에서 불어오는 북서풍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속이 5m/s 미만일 때 벌매의 이동이 더 활발하였지만, 5m/s 이상의 강한 바람일 경우에는 이동의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풍속과 풍향은 벌매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판단된다. 한반도의 벌매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로 지속적인 이동 개체군의 규모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자료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 가을철 이동 집단의 이동경로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국내 위성추적을 통한 이동경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most effective salting-out effect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application of various inorganic salts (NaCl, Na₂S0₄, NaHSO₃) using Alkali impregnated filter-Headspace-GC/FID. Five various VFAs (propionic acid (99.5%), r-butyric acid (99%), butyric acid (99%), i-valerie acid (99%), valerie acid (99%)) have been used. VFAs have been analyzed by adding 30%, 70%, 100%, 150%, 200% of different inorganic salts with HS-GC/FID. The efficiency of salting-out effect was obtained from the values of peak area in chromatogram. The most effective salting-out effect for applired inorganic salts was observed at 100% saturation. It was confirmed NaHSO₃ for salting-out effect was the best among inorganic salts. In addition, NaHSO₃ showed more efficiency of salting-out effect than NaCl as molecular weight of VFAs increas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