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고온 가열된 시멘트 페이스트에 나타나는 균열을 CO2 가스 노출을 통한 회복 거동에 대해 관찰하였다. 시 험체는 W/C 40 %의 시멘트 페이스트로 설정하였다. 전기가열로를 목표온도까지 도달시킨 후 가열로 상부에 부착하여 일면 가열을 실시한 후 가열된 면에 나타난 균열을 고배율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촬영결과 CO2 가스 노출을 통한 회복 재령으로 인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의 균열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은 것을 관찰하였다.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hange of mass of concrete structure subjected to fire damage, cement paste was exposed at high temperature to maintenance time and analyzed mass change characteristics by TGA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ss reduction rate of cement paste de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ime after heating at high temperature.
In this research is underway to determine the exact damage level of concrete structures damaged by fire. Cement paste hardened at 700℃ was characterized by TGA. As the depth increased, the mass reduction rate increased and the mass reduction rate decreased as the retention time increased.
In this study, the chemical deformation of cement pastes was determined by chemical analysis. X-ray diffraction equipmen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transformation. The decrease of ettringite and the collapse of gypsum were confirmed and then the calcium hydroxide gradually decreased.
In this study, the chemical deformation of cement pastes was determined by chemical analysis. The specimen for FT-IR analysis was prepared in the form of fine powder by grinding before heating.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hydrates inside the cement paste tended to decrease.
In this study,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diffusion of cement paste at elevated temperature. Results of the experiments can be used to predict the fire damaged temperatures of concrete, and to recommend proper methods for repair and rehabilitation.
In this study, In this study, Simulation using COMSOL Multiphysics thermal flow program of A company was carried out for thermal diffusion analysis according to depth of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 diffusivity decreased with the depth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creased with the heating time.
In this study, In this study, Simulation using COMSOL Multiphysics thermal flow program of A company was carried out for thermal diffusion analysis according to depth of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 diffusivity decreased with the depth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creased with the heating time.
In this study,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diffusion of cement paste at elevated temperature. Results of the experiments can be used to predict the fire damaged temperatures of concrete, and to recommend proper methods for repair and rehabili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re structure of cement paste after exposing to elevated temperatures, up to 800°C. The variation of pore structure of each sample was monitored for 180 days by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MIP).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heated temperatures causes the increase of the size and volume of pores, which is probably due to the dehydration of hydration products, such as calcium silicate hydrate and calcium hydroxid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s on the pore structure of cement paste which, in turn, can provides information to evaluate the damage level of concrete structures due to fire.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MIP) test was conducted for this investig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higher is the pore volume of cement paste and the wider is the pore distribution.
In previous research, it was found that waste oil was effective on resisting carbonation of concrete.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waste oil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when blast furnace slag with high volume is used as a partial replacement of cemen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waste oil in the concretes decreased slump and air content, but further reduction was not observed as the amount of the waste oil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 waste oil had a little impact on deteriora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s.
포유동물 생식세포를 생산하는 정자형성과정은 정원줄기세포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가 일생 동안 정소 내 기저부에 존재하면서 계속적인 증식을 통해 그 수를 유지하고, 그 중 일부가 감수분열에 진입하여 남성생식세포인 정자를 생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신생 및 성체의 정원줄기세포는 의학과 접목하여 불임 및 저출산 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어, 이미 많은 연구자에 의하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중 성체 정소 유래의 정원줄기세포는 신생 정소에 비하여 체세포당 비율이 매우 낮아 이를 분리하여 배양하기 위해서는 효율 높은 정원줄기세포의 분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조직이식 방법을 통하여 성체 생쥐의 정원줄기세포를 과밀화하고, 이렇게 얻어진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고자 하였다. 6~8주령의 정상적인 정자형성과정이 일어나고 있는 성체 생쥐 (BDF1)의 정소를 분리하였고, 정소 내 존재하는 분화된 생식세포를 줄여주기 위하여 면역이 결핍된 누드마우스의 등쪽에 이식하였다. 이때 생착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은 3개 (whole testis under dorsal skin, slice testis under dorsal skin and whole testis in the abdominal cavity)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식하였다. 이식 2~4주 후 이식한 정소 조직을 채취하여 일부는 기존의 방법 (정소 조직의 이식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조직이식을 시행 후 세정관내 존재하는 정원줄기세포의 비율을 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나머지 조직은 개개의 세포로 분리하여 정원줄기세포의 증식 및 유지에 필요한 성장인자 (GDNF, bFGF, LIF, EGF, IGF-1)를 첨가한 후 배양하였으며, 7~10일마다 계대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RT-PCR, AP staining, TUNEL staining, Immunocytochemistry 및 FACS analysis를 통하여 정원줄기세포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식 2주 후 3그룹 내 정원줄기세포가 포함되어 있는 비율은 각각 93% (13/14), 92% (12/13), 57% (4/7)로 나타났으며, 이식된 조직의 seminiferous tubules내에는 분화된 생식세포가 사라지거나 퇴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TUNEL assays를 통하여 Whole과 Sliced testis 그룹에서는 7.3±3.3%과 8.3±3.9% 만이 세포사가 진행되는 세포를 관찰한대 반하여 Abdominal cavity에 이식한 군에서는 70.9±16.2%로 매우 높은 세포사율을 관찰하였다. 체외배양 기간 동안 정원줄기세포의 colonization 효율은 이식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관찰하였다. 조직 이식 후 배양한 성체 유래 정원줄기세포는 위 성장인자가 포함된 배양액에서 2.5달 (8계대) 동안 성공적으로 유지 배양되었다. 배양된 세포는 정원줄기세포의 특징인 AP activity를 강하게 나타냈으며, 표지인자인 Thy-1와 GFRα-1 또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FACS와 Immunocytochemistr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RT-PCR를 통하여 정원줄기세포 표지유전자 마커인 integrin β1, mvh, ngn3 mRNA는 강하게 발현되는데 비하여 생식세포 분화유전자 마커인 piwil2, stra8, c-kit, TH2B and TP-1 mRNA는 발현되지 않거나 약하게 발현되었다. 조직이식을 통하여 성체 내 존재하는 극소수의 성체 정원줄기세포의 분리 및 배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생쥐 모델 시스템을 인간에게 적용할 경우 autologous한 조직이식을 통해 단순화된 방법으로 정원줄기세포 분리 및 배양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