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꽃장식의 전문성을 체계화하기 위해 수행 되어졌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미지 형용사가 질감 성, 색감성, 시대성, 장식성의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진다. 요인별 꽃에 대한 분석을 보면, 질감성에 있어서 는 질감성이 가장 높은 꽃은 흰색 칼라꽃이 2.00으로 나 타났으며, 로코스퍼럼은 −1.90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색감성에 있어서는 색감성이 가장 높은 것은 노랑색 장미가 1.70로 나타났으며, 안개꽃은 −2.40으로 색감성이 가장 낮았다. 시대성에 있어서는 시대성이 가장 높은 꽃은 천일홍이 2.00이었으며, 로코스퍼럼은 −3.00으 로 시대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식성에 있 어서는 장식성이 가장 높은 종류는 아가판서스가 2.50로 나타났으며, 헬리코니아가 −2.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다. 각 요인별 상관관계를 보면, 색감성과 시대성이 상 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색감성과 시대성이 꽃장식을 할 경우 가장 중요하다고 해석되었다.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는 색감성이 가장 높고 다 음으로 질감성과 장식성, 시대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꽃장식을 할 때, 색감성과 질감성에 치우치다보면 시대성에 대한 중요도가 간과되기 쉬워 진다고 생각되었다.
        4,000원
        3.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sidered to theoretical establishment. Through European Artistic History Consideration. The paper analysed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floral art based on the era classification. The environmental floral art has been developed since American started to press the naturalization on 17 century. Based on the styles of cone of Byzantine and S styles of Baroque, the formative floral art has been expended since. To report the expressive floral art, the paper has chosen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external method can classify into the mix and match expression, the natural expression and ethnic expression. Particularly, the classic Georgian and Victoria expression had been a source of the mix and match expression. And the ethnic expression has developed from the old Egyptian which displayed the national character by the three primary colors (red, yellow and blue). The other one is internal expression. The internal expression has divided into the realistic and the abstract expression. The realistic expression has progressed after the Rome era which used the natural material like fresh flower bouquet. The abstract expression is more artificial method in the consideration of color and vagina. The fusion style floral art h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Victorian era which created floral art mixed with the variety of material such as shell, feather, wax and fabric. The effect of floral art has also recognised inc. emotional, decoration,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