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81.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ybean mosaic virus에 감수성 품종인 단경콩과 저항성 품종인 팔달콩의 cotyledon에 여러형태로 자극을 처리하였을때 유도되는 isoflavone aglycones(daidzein, genistein)와 이들 배당체들(daidzin, genistin)의 시간별 축적 정도를 조사하였다. UDP-glucose, , 의 처리 및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하여 두 품종 모두 isoflavone aglycones와 이들 배당체들의 함량이 대조구(water 처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처리에 의해서는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soflavone glucosides의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UDP-glucose, 및 의 처리에 의하여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크게 나타났다. 특히 daidzein의 경우,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해서 daidzein의 최대 축적 양에는 두 품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최대 축적 시간은 팔달콩이 단경콩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그 배당체인 daidzin과 geinstein의 축적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모든 자극처리에의해 높게 나타났다. UDP-glucose, , 및 의 처리에 의한 daidzein과 geinstein이 축적되는 양은 단경콩에서는 초기에는(24hr까지)에는 비슷하나, 48hr이후에는 daidzein의 축적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팔달콩에서는 대체로 전 기간에서 daidzein의 함량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서는 두 품종에서 모두 daidzein의 양이 geinstein의 양보다 크게 나타났다.
        4,600원
        82.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수직 사이로에 충진된 옥수수를 대상으로 M.B를 사용하여 자연중력하에서 소독할 때 M.B가스의 침투확산성 및 살충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이로 표층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2시간후부터 100mg/l 이상에서 20mg/l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2.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3m 깊이 지점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12시간이후 100mg/l 이상에서 30mg/l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표층의 고농도 M.B가스가 불과 30분 이내에 3m 깊이 까지 침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고농도의 M.B가스는 13m 깊이 지점까지 1시간 이내에 침투되었으며 투약후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100mg/l 이상40mg/l 이상의 M.B가스가 검지되는 것으로 보아 자연중력하에서 옥수수를 소독하는 경우 13m 깊이 부근에 M.B 가스의 고농도 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4. 사이로 기부(21m 지점)의 M.B가스는 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아 M.B의 침투가 아주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5. M.B 가스의 횡 확산성은 수직 침투성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사이로 길이 3m의 경우 투약방향으로부터 약 13m지점의 qdnl는 중심부의 약 , 그리고 깊이 13m 지점에서는 지점에서는 의 농도에 불과하였다. 6. 투약후 24시간만에 조사한 사이로의 표층 및 기부(21m 지점)에 삽입 했던 공시충(거짓쌀도둑)은 모두 사멸되었으며 48시간후에 조사한 3m, 7m, 및 13m 지점의 공시충도 모두 사충으로 발견되었다.
        4,000원
        83.
        202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rein ,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organic loading rate in anaerobic digestion was evaluate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a laboratory -scale semi-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and feedstock was food-waste leached. The organic loading rate was increased by 0.5 kgVS/m3 in each phase from 1.0 kgVS/m3 to 4.0 kgVS/m3. At the end of the operation, to check the failure of the reactor, the organic loading rate was increased by 1.0 kgVS/m3 in each phase and reached 6.0 kgVS/m3. This shows that the biogas yield decreased as organic loading rate increased. Biogas production seemed to be unstable at 3.5–6.0 kgVS/m3. Moreover, biogas production dramatically fell to approximately 0 mL at 6.0 kgVS/m3, which was decided as the operation failure on the 16th day of the las tphase. The result of the reactor analysis shows that the cumulation of volatile fatty acid increased as the organic loading rate increased. This seems to occur due to the decreasein pH in the reactor and led to extinction of anaerobic bacteria, which were the biogas products. Although the buffer compound (alkalinity) could prevent the decline in pH, the concentration of alkalinity was found to be lacking at a high organic loading rate
        84.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이산화탄소(CO2)의 포집과 저장기술(CCS,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은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CCS기술이 2050년 50%의 CO2감축량 중 20%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가 중기(2020)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에서 CCS기술을 핵심포인트 기술의 하나로 선정하고 있다. CCS 기술은 화석연료 사용에 따라 발생된 CO2를 분리하고 회수하는 포집과 포집된 CO2를 저장소까지 이동하는 수송기술 및 수송된 CO2를 지중 또는 해양에 주입하여 격리시키고 감시하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CCS 처리의 전체 비용 중에서 CO2포집비용이 75∼85%를 차지하고 있어, 저비용 포집공정이 CCS 기술 상용화에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CO2포집기술 중, 연소 후 포집기술은 상용화 단계에 근접한 수준까지 발전할 정도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액상 흡수제를 이용한 화학흡수법은 대량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화학흡수제로는 MEA(monoethanol amine)와 같은 아민(amine) 계열의 용매가 대표적이며, 이들은 CO2와 결합력이 매우 강하여 빠른 흡수속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흡수된 CO2를 분리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화학 부반응에 의한 흡수제의 손실, 흡수제에 의한 장치부식 등의 단점도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흡수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차세대 흡수제로서 페놀레이트(phenolate)계, 설포네이트(sulfonate)계 및 이미다졸(imidazol)계 등을 바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수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포집된 CO2를 메탄올, 포름산, CO, 에틸렌 등으로 전환시켜 재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포집된 CO2의 처분 또는 재활용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나트륨 이온(Na+)을 함유하는 알카리 폐액이나 농축해수를 포집을 위한 액상흡수제로 활용하는 자원회수형 화학흡수법의 적정 조건과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기술은 Na+이온과 CO2를 반응시켜 중탄산나트륨(NaHCO3)으로 회수하는 암모니아-소다법(솔베이법)으로, 다음 반응식에 따라 CO2를 흡수하고 흡수된 CO2를 NaHCO3로 전환시켜 침전시킨다. CO2(g) + NH4OH(aq) → NH4HCO3(aq) (1) Na+(aq) + NH4HCO3(aq) → NaHCO3(s) + NH4+ (2) 솔베이반응은 반응촉매인 암모니아 농도(반응식 1)와 흡수액 중의 Na 농도(반응식 2)에 전적으로 지배를 받았다. 암모니아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 (1)에 의한 CO2 흡수속도가 빨라져 NH4HCO3 농도가 높아졌으며, 이로 인해 반응 (2)가 촉진되어 흡수된 CO2가 NaHCO3로 변환, 침전되는 속도 및 양이 증가하였다. 최적의 암모니아 촉매농도는 5% 정도였으며, NaHCO3 침전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Na 최소농도는 23,000 mg/L였다. 흡수액 중의 Na 농도가 증가할수록 CO2 흡수율과 NaHCO3 침전량은 증가하였다. 이 공정에서 회수된 NaHCO3 침전물은 정제과정을 거칠 경우 탈황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85.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nagement of household hazardous waste (HHW), a component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has become a major of concern partly due to their potential toxicity upon disposal. Improper management of such waste can deteriorate the environment and cause serious damage to the human health. This paper discusses the current fundamental management practices, which include the generation rate, collection systems and treatment using the survey reviews of households and interviews held with experts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Surveys of more than 378 peopl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generation rate, social behavior and awareness regarding disposal of HHW. The target items used in this study includes used lamps, used batteries, pharmaceuticals, and household pesticide chemicals.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the generation rates of HHW varied depending upon the dwelling type, collection system, and waste type. Apartment complex residents participated actively in source separation, using the established collection system with limited items (e.g., fluorescent lamps and batteries), while single family housing residents tend to store HHW at households. There is still a need for public awareness, detailed policies and legislation requiring source segregation at households, and better collection systems for HH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developing better management of HHW in municipal solid waste streams to prevent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and human health risks.
        86.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ntify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 is important for evaluating various reduction measures for greenhouse gas, which causes significant negative impacts on earth. To estimate GHG emission from waste sector over the period of between 2000 and 2009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2006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nd Korean GHG Inventory for local government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were employed. Four different waste treatment methods (landfill, incineration, biological treatment, and Sewage wastewater treatment) were evaluated to estimate GHG emission by following the guidelines. The trends of GHG emission rate by direct emission increased between 2000 and 2009 as a result of increased incineration rate. The solid waste sector was directly responsible for 307,700 tonCO2eq/yr in 2009. Incineration contributed approximately 57% of the GHG emission, while landfill disposal was responsible for about 30% of the GHG. Approximately 464,400 tonCO2eq/yr in 2009 was emitted by indirect emission from the waste sector. Based on the results, a variety of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the GHG emission from waste sector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long with implementing effective waste source reduction and recycling policy. More specifically, this evaluation proposed that among the possible reduction options, further source separation of recyclables as well as improved diversion of recyclable materials at proposed Daejeon resource recycling complex in 2014 would have the greater benefits for reducing GHG emiss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s waste sector.
        88.
        200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imal manure and manure compost produced from livestock farms are widely applied in crop lands. Leachate and runoff water from them are presumed to be one of the major sources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rural streams.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loading of leachate obtained under rainfall simulation. Manure composts for the experiments were collected from beef cattle farms, dairy farms, and pig farms. Water quality parameters include SS, COD, TN, and TP. Most parameters of leachate from pig manure compost was higher than others. Both TN and TP concentrations were reflecting the composition of manure itself. It is recommended, therefore that the leachate from the manure composts should be controlled not to be discharged into stream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