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hesperidin과 hesperidin의 aglycone 형태인 hesperetin의 2,2'-azobis (2-aminopropane) dihydrochloride (AAPH)에 의해 신장 독성이 유도된 쥐에서 신장 보호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은 200 mg/kg/day의 농도로 7일간 위내투여하였으며, AAPH를 복강주사하여 급성 신장 손상을 유도하였다. 이 후 쥐의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산화 함량, nitric oxide (NO) 생성량, catalase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으 며, nuclear factor-kappa B (NF-κB) 및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AAPH로 신장 독성을 유도한 control군의 신장 내 지질과산화 및 NO 생성량은 신장 독성을 유도하지 않은 norma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산화적 손상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hesperidin과 hesperetin를 투여했을 때 신장 내 지질과산화 및 NO 생성량이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을 투여한 군의 경우 신장 내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hesperidin과 hesperetin의 투여는 AAPH로 신장독성을 유도한 control군 100% 대비 NF-κB 단백질을 각각 66% 및 71%로, iNOS 단백질 발현을 각각 46% 및 33%로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hesperidin과 hesperetin의 투여가 항산화 활성 조절을 통해 AAPH로 유도된 신장 독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Brassica as matter of seedling manner, they have the bilocular ovary and 20~28 seeds per silique after fertilization. Rarely some of B. juncea and yellow sarson (Brassica rapa ssp, tricolaris) have multilocular ovary. In this stdudy, the LP8 (YS-033, CGN06835) is shown tetralocular ovary as well as high seed yields. As microscope study for the different size of immature bud sections and we have known the floral meristem with already four locules in immature buds less size than 1mm of LP8. To identify of determining of tetralocular ovary formation, RNA-seq was carried out on the isolated RNA from less than 1mm and from 1mm of bud size respectively. By contrast tetralocular ovay and bilocular ovary, Chiifu is used. A total of 994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DEGs) are detected in only LP8. Among the DEGs, we identify 18 DEGs in only immature buds of less size than 1mm. The expression patterns of 18 DEGs are validated by real time quantitative PCR and these genes are cloned and the sequence analyzed. At present, 12 candidated gene are analyzed by sequencing and there are detected by large fragment insertion as well as SNPs in sequence comparison to Chiifu. We will perform the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se DEG genes in Arabidopsis for relation between genes and tetralocular ovary. Our result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for mechanisms of tetraovular ovary in Brassica rapa.
        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assica rapa subspecies show morphological variability, containing vegetable types and oilseed types. The yellow sarson types(Brassica rapa ssp, tricolaris) have distinct morphology, yellow seeded and contain some lines with very unique character of tetralocular ovary. For genetic studies on tetralocular ovary related to high seed yields, we produced genetic segregation population with F2 and double haploid(DH) population. The yellow sarson LP8 (YS-033, CGN06835) with character of tetralocular ovary used as a maternal plant and crossed by LP21 of turnip rape type with bilocular ovary as paternal plant. We took on the microspore cultures on immature bud which is collected on sizing from 2mm to 3.2mm for DH population. The regenerations DH plants are analyzed by ploidy determination using flow cytrometer and selected on diploid plants. These regenerated DH and F2 plants are doing bud pollination and measuring the phenotype traits. Also, these populations will be used for identify of genetic locus relate to tetralocular ovary using genotyping by sequencing.
        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일산의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5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25일부터 11월 13일까지 매주 1~2회, 회기 당 30~40분씩 총 14회에 걸쳐 유치원 교실과 옥상에 위치한 실외 텃밭에서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영·유아발달영역의 인지와 정서 영역에 기초하여 유치원교육과정의 탐구생활과 표현생활을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1회기~8회기까지는 식물을 직접 기르며 식물의 성장을 관찰하는 것과 자연 환경에 대한 학습 활동으로, 9회기~14회기까지는 자신과 또래, 그리고 환경에 대한 정서적 표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물인 상추, 깻잎, 쑥갓은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기르기에 쉬운 식물로서 재배 시기와 재배 장소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4가지 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되었다. 결과에서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예교육이 체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 정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5.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 and A. macrocephala Koidz..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two species were same; basic chromosome number x=12,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2n=24. The present result of A. japonica Koidz. ex Kitam. was same to previously reports and that of A. macrocephala Koidz. was reported first in this study. Size and shape of chromosome were some different from A. japonica Koidz. ex Kitam. and A. macrocephala Koidz.. The karyotype of A. japonica Koidz. ex Kitam. was described as follows; 2n : 24 : 8L + 14M +2S : 2 Asm +2 Bm +2 Cm +2 Dst + 2 Em +2 Fm +2 Gm +2 Hsm + 2 Im + 2 Jm + 2 Km + 2 Lm . And the karyotype of A. macrocephata Koidz. was described as follows; 2n : 24 : 10L +12M +25 : 2 Am +2 Bsm +2 Csm +2 Dsm +2 Esm +2 Esm +2 Gsm +2 Hm +2 Im 2 Jm +2 Km +2 L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