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림에서 간벌 강도에 따른 황소비단그물버섯의 균사집단과 genet의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34%, 45%, 60%의 강도별 간벌이 이루어진 소나무 목재생산림에서 2018년 발생한 황소비단그물버섯을 대상으로 SSR(Simple sequence repeat) 분석을 실행한 결과 발생한 자실체의 개체수는 34% 간벌지역이 104개체로 다른 처리구 비하여 약 60~100개체 이상 많았다. 34% 간벌 지역에서 발생 균사집단의 형태는 임목을 기준으로 크게 약 5 m 직경의 원형의 형태로 발생하였고 일부 자실체는 바위 위에 약 3~4 cm 두께로 깔려진 낙엽위에 발생하기도 하였다. 45% 간벌 지역에서는 자실체가 6~7 m 범위에서 벌채된 그루터기를 포함하여 무작위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60% 간벌 지역에서는 입목과 입목 사이에 6 m 길이의 폭이 좁은 타 원형이나 선형의 형태로 발생하였다. 대조구에서는 총 2 개의 자실체가 입목의 근원부 주위에서 발생하였다. 각 처리구에서 SSR 분석결과 Sb-CA1과 Sb-CA3의 maker만이 잡종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34% 간벌 처리구에서 발생한 황소비단그물버섯은 60% 간벌 처리구에 비하여 He/Ho의 값이 1정도 낮았다. 34% 간벌 처리구에서는 총 20개의 genet이 확인되었고 genet의 크기는 평균 14±11 m 2 였다. 단일 자실체로 형성된 genet은 전체 genet 의 60% 였다. 45% 간벌 처리구에서는 총 6개의 genet이 확인되었고 평균 크기는 11±12 m 2 였다. 단일 자실체로 형성된 genet은 전체 genet의 50% 였다. 60% 간벌 처리구에서는 총 10개의 genet이 확인되었고 genet의 크기는 평균 1.1±0.8 m 2였다. 단일 자실체로 형성된 genet은 전체 genet의 70%로 나타나 간벌의 강도가 작을수록 균사 생장에 의한 genet의 크기는 더 크며 간벌 강도가 클수록 단일 genet의 형성율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숲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B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학생 26명으로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5회기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 들의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숲에 대한 환경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체험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숲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증가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증가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산림치유 6대 요법 중 걷기, 경관 감상, 숲속 향기를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체험활동이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삼척시에 거주하며 우울증과 건망이 심하다고 호소하는 독거노인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 집단은 매 주 1회(총 6회기)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들은 모두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한국판), SF-36(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에 대한 사전-사후(one-group pre-post test design) 설문지 검사를 받았다. 연구 결과 치유 프로그램 참여 후 응답자의 정신상태와 우울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산림환경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 해소 그리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홀로 남겨져 외부활동을 기피하는 은둔형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토록 유도할 경우 나이와 환경으로 인한 치매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3~5세 유아교육기관 재원생 어머니들의 일상생활 속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숲체험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숲과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숲체험 참가한 학모 61명과 숲체험에 참가하지 않은 학모 61명으로 총 122명에게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총 122명 중 82.8%의 학모들은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있고 자주 확인하는 빈도도 84.4%으로 높았지만 이에 대한 지식과 대처방안 및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실천은 부족 하였다. 숲과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은 숲체험에 참여한 학모들에게서 숲의 역할 및 도심과 비교한 숲 환경의 차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았다. 따라서 어머니들이 먼저 숲을 적극적으로 체험 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 된다면 유・아동들의 숲체험이 활성화 될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를 비롯한 현재의 유해환경을 개선하는데도 기여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 표고버섯은 소비자의 선호도가 매우 높고, 전체 임산버섯 생산량의 약 97.7%를 차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단기소득임산물중 하나이다. 이러한 표고버섯은 최근 신품종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육종가의 권리 보호를 위하여 품종을 구분할 수 있는 분자마커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품종 ‘산마루2호’를 37개의 표고버섯 품종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CAPS 마커를 개발하였다. ‘산마루2호’의 유전체에서 Scaffold 2번 1803483에 위치한 단일염기 다형성(SNP)이 확인되었고, 이 SNP를 포함하여 증폭한 DNA는 제한효소 Hhal에 의하여 특이적으로 절단되지 않아 다른 표고버섯 품종들과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 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비교집단 만3세~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 년 7월10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로 1시간(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0.05).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은, 자연과 더불어 또래들과 함께 지내며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생태지식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증가하였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 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효능감이 크게 향상되어 친사회 적행동과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and accumulated temperature of Lentinula edodes strains from primordial occurrence to fruit body maturity. The experimental strains were Sanjo 108 (high temperature type), Sanjo 302 (middle temperature type) and Sanjo 502 (low temperature type). When the Sanjo 108 and Sanjo 302 occurred, the daily mean temperature inside the L. edodes inoculated logs was 17.9 ~ 20.5 °C, which was lower than air temperature by 0.7 ~ 1.15 °C. When the Sanjo 502 occurred, the daily mean temperature inside the L. edodes inoculated logs was 3.6 ~ 16.6 °C, which was lower than air temperature by 0.1 ~ 0.7 °C.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the minimum temperature when the fruit body occurred was 4.4 °C inside the inoculated logs and 6.9 °C in the air temperature in Sanjo 108 and Sanjo 302, and in Sanjo 502 was 5.5 °C inside the inoculated logs and 9.1 °C in the air temperature. The number of days from primordial occurrence to fruit body maturity in Sanjo 108, Sanjo 302 and Sanjo 502 was 3.9 days, 5.1 days and 10.6 days, and accumulated temperatures of these strains were 104.9 °C, 129.2 °C and 141.4 °C, respectively. The number of days and accumulation temperatures were 518 days and 8,361 °C in Sanjo 108, 444 days and 6,475 °C in Sanjo 302, and 560 days 9,263 °C in Sanjo 5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ushroom occurrence by forest thinning in the Pinus koraiensis stand. The leaf area index,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soil water content, and amount of throughfall were measured in the P. koraiensis stand. The more throughfall of 72 mm / year and about 1 °C higher soil temperature were observed in the P. koraiensis stand than non-treatment stand. Relative humidity and soil water cont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mushrooms in the P. koraiensis st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roughfall and ectomycorrhizal mushrooms was 0.93 in the thinned stand of P. koraiensis. 6 less species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and 7 more species of saprophytic mushrooms were observed in the thinned stand than in the non-treatment stand of P. koraiensis. Suillus pictus, an ectomycorrhizal mushroom, was found in a distribution of 100 pieces in the non-treatment stand and 69 pieces in the thinned stand of P. koraiensis. But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was 0.823 in the non-treatment stand and 0.911 in the thinned stand of P. koraiensis. In conclusion, forest thinning increased throughfall by decreased crown density. Accordingly it increased the number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An increase of felled trees in the forest thinned sites caused an increase of saprophytic mushroo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mino acids content of shiitake mushrooms grown in eight different media and under three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The sawdust media were supplemented with 4 kinds of nutrients - rice bran, barley, bean curd refuse, and red ginseng refuse in an 8:2 ratio with or without 0.5% calcium chloride, and the fruiting temperature was set to low (13–15oC), medium (18–20oC), or high temperatures (24–26oC). Seventeen amino acids were detected, and the content varie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s of the media. The highest total amino acid content (209.7 mg/g) was measured in mushrooms from the media with red ginseng refuse, and the glutam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51.3 mg/g) in mushrooms from the media with barley. In terms of fruiting temperature, the amin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38.2%) at medium temperature followed by the content at low (32.5%) and high temperature (29.3%).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shiitake mushrooms was similar between the medium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of collected strains of Hypsizygus marmoreus based on their rDNA ITS sequences. The size of ITS rDNA regions of H. marmoreus strains, collected form various regions. A phylogenetic trees based on the ITS region revealed that the strains could b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groups including Villosiclava virens, Hypsizygus marmoreus, Lepista irina, Lyophyllum Decastes, Lyophyllum shimeji, Pleurotus floridanus.
The effects of improved aeration in saw dust bag cultivation on the Lentinula edodes hyphal growth were measured by CO2 concentration within the bags, the hyphal growth and bag weight loss. The aeration of the bags was controlled with 10 kinds of pore sizes of the lid and with pores on one side only or both side on the lid. In the conventional bags with a cotton plug CO2 concentration was 3.83%, the hyphal growth 2.25 ㎜/day and bag weight loss 0.84g, while in the bags with a lid 20.4㎜ diameter pore the CO2 concentration was 4.00%, the hyphal growth 2.68㎜/day and bag weight loss 1.3g. The bag with a lid pored on both top and bottom side was lower in CO2 concentration by 0.50%, higher hyphal growth rate by 0.04 ㎜/day and lower weight loss by 0.26g than the bag with a lid pored bottom side only. We concluded that the most effective lid for bag cultivation of L. edodes was the one with 20.4㎜ pores on both side of the lid.
The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brown layers in oak sawdust cultivation bed of Lentinula edodes was investig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arenchymatous cells became thinner and the middle layers of the cells degraded in the oak sawdust bed at a plastic cultivation shed in four months. L. edodes hyphae penetrated into the pit and profusely branched within the bassal tube cells. Pit pores of ray parenchymatous cell in the decomposed sawdust became larger than in the uncolonized cells and were circular or irregular. The brown layer producing fruit body was 0.34㎜ thick and 0.67㎏/㎠ in hardness with especially 0.20㎜ thick layer of highly dense hypahe. On the other hand the brown layer without fruit body was 1.17㎜ thick, 0.94㎏/㎠ in hardness, and 0.80㎜ thick with smooth surface of highly compact dense hypae. This nonfruiting brown surface was heavily colonized with contaminating fungal hyphae and bacterial cells. We conclude that phys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layer can affect fruiting of L. edodes.
The effect of sterilization and incubation temperatures of fermented oak sawdust on Lentinula edodes hyphal growth was investigated. The pile of 33 tonnes of oak sawdust fermented in a plastic shed for 24 days. During the fermentation the acidity of the sawdust within the pile was lowered to pH 4.2 and temperatures increased to 58℃ in over 20cm depth. The sawdust samples collected at 20, 60, 80 and 100㎝ depth each and moistened to 65% water content were sterilized at 65, 100 and 121℃ each for an hour. The sterilized sawdust contained in 50㎖ test tubes was inoculated with L. edodes hyphae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and then was incubated at 15, 20, 25℃ for four weeks. L. edodes hyphae grew faster, 94.6mm, on the sawdust collected from 60cm depth than other depths, and did at 25 incubation temperature after sterilization at 121℃. The hypahe grew only 9.9cm on the sawdust from 100cm depth. When the sawdust from 60cm depth was sterilized at 100℃, the hyphae grew best by 22.1cm at 15℃. However, on the sawdust sterilized at 65℃ the hyphae did not grow at all. Thus, we conclude that sawdust fermentation under 60㎝ depth and autoclaving it can improve L. edodes hyphal growth, but the sterilization of sawdust at 65℃ is not sufficient for the hyphal growth.
본 연구는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안정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전국에 있는 임신 24주에서 38주 사이의 임산부들로 임신 중 합병증이 없고 태아에 이상이 없는 임산부 133명을 대상으로 숲 태교 프로그램을 실시하 였고, 숲 태교 프로그램은 전국에 있는 국립자연휴양림에서 2011 년 4월 9일부터 12월 18일까지 총 11회기를 각 회기별 2박3일(8 회), 1박2일(3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 없이 실험군 단일집단의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Ahn(1984)이 개 발한 임산부의 스트레스 척도와 Ryu(2003)가 재구성한 정서안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산부의 스트레스 하위요인에서 태아 스트레스는 3.04점에서 2.38점으로, 임부 스트레스는 2.95점 에서 2.35점으로, 배우자 스트레스는 2.44점에서 1.92점으로 감소 하였고, 임신 스트레스 전체적으로도 사전 2.87에서 사후 2.26으 로 낮게 나타나,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1). 임산부의 정서안정 하위요인에서 긴장과 불안은 5.32점에서 5.77점으로, 근심과 두려움은 4.77점에 서 5.41점으로, 자신감과 낙관은 4.87점에서 5.36점으로, 만족과 평온함은 4.90점에서 5.38점으로 증가하였고, 정서안정 전체적으 로도 사전 4.98에서 5.50으로 크게 증가하여,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정서안정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1, p< .001). 본 연구 결과 자연친화적 숲 태교 프로그램은 임산부의 스트 레스 감소와 정서안정 증진은 물론 태아의 건강한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