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빅산(FA)은 Fe(III)을 킬레이트화하여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Fe(II)로 전환함으로써 대형 해조류의 성장을 촉진하고 손 상된 해중림의 복원을 돕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풀빅산의 공급에 따른해중림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FA 보충제는 철(Fe) 부족 해역 내 인공 어초에 설치되었으며, 해조류 군집 및 해양 환경조사는 사계절을 대표하는 학술 잠수를 통해 수행되었다. 연 구 결과, 풀빅산 공급으로 인해 가용 철(Fe) 농도가 증가하면서 해조류의 광합성과 영양소 흡수가 촉진되어 성장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총 생물량은 전체 해조류 총 생물량과 비우점종에 비해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철 보충제가 특정 우점종의 양적 증가에 기여하며, FA 보충제가 설치된 어초에서 해조류 군집의 양적 및 구조적 변화를 유발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풀빅산을 해중림 복원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해조류 생태계 관리 및 보존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절화 국화의 수경재배와 토경관비재배 시 생육 특 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장, 절화의 생체중 과 건물중은 토경관비재배에서 증가하였다. 식물체 내 전질소, 칼륨 및 칼슘의 함량도 토경관비재배에서 더 높았다. 반면에 줄기 직경은 수경재배에서 3.7mm로 증가하였다. 또한 개화소 요일수도 토경관비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3일 정도 단축되었 고, 줄기 1개당 꽃 수도 19.6개로 수경재배에서 더 많았다. 결과 적으로 토경관비재배에서 식물체 내 무기염류 함량이 높고, 초장이 길어지고 생체중, 건물중이 증가하였지만 수경재배보다 개화기는 지연되었다. 또한 토경관비재배보다 수경재배에서 줄 기 직경이나 꽃 수 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배자의 입장에서 국화 수경재배를 통해 양분과 수분 공급량의 조절에 의한 개화 기의 조절, 조기 개화 및 절화 품질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ilage inoculants, which include beneficial microorganisms like lactic acid bacteria (LAB), play a vital role in modern silage production by enhancing fermentation quality.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commercial inoculants on the fermentation dynamics of Italian ryegrass silage over 45 days. The treatments included a control group and five inoculant formulations: T1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T2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T3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iplantibacillus buchneri), T4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Lactiplantibacillus acidophilus and Lactiplantibacillus bulgaricus), and T5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and Enterococcus faecium). After 45 days, all treatment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crude protein (CP)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80.64 g/kg dry matter (DM), p<0.05). Treatments T2 and T5, which incorporated combinations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and Enterococcus faecium, showed higher CP contents at 105.53 and 107.05 g/kg DM, respectively. The inoculated silages also demonstrated a rapid pH reduction within the early days, with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in T1 reducing the pH to 4.0 within four days. Additionally, inoculated treatm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actic acid levels than the control (67.96 g/kg DM, p<0.05), and T3 (Lactiplantibacillus buchneri) produced higher acetic acid levels (16.07 g/kg DM, p<0.05) than other inoculants. The control group also had a notably higher ammonia nitrogen content. In conclusion, while single-strain inoculants like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re effective for rapid acidification, the use of combined bacterial strains can further enhance silage quality by improving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nutrient preservation, particularly in treatments like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iplantibacillus buchneri and Enterococcus faecium.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하면 식물의 생장속도가 빨라지거나 영양학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음이온 처리 시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이온을 온실해충인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 처리하여 방제효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음이 온 처리 시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서 살충효과와 기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점박이응애 알에서도 음이온 처리가 부화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온실에서 밀도실험 결과, 700,000 ion/cm3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밀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이온 처리 시, 부가적인 효과로 온실해충(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에 대해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보여준다.
Silage inoculants, crucial in modern silage production, comprise beneficial microorganisms, primarily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tegically applied to forage material during ensiling.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inoculants produced by different companies. Five treatments were evaluated, including a control group: T1 (Lactobacillus plantarum), T2 (Lactobacillus plantarum + Pediococcus pentosaceus), T3 (Lactobacillus plantarum + Pediococcus pentosaceus + Lactobacillus buchneri), T4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T5 (Lactobacillus plantarum + Pediococcus pentosaceus + Enterococcus faecium). Italian ryegrass was harvested at the heading stage and treated with these silage inoculants. Samples were collected over a 60-day ensiling period. Co-inoculation with L. plantarum and P. pentosaceus (T2)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C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inoculation exhibited with resulted in Lacto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in the T2 treatment exhibited higher CP content of 106.35 g/kg dry matter (DM). The T3 treatment, which included heterofermentative bacterial strains such as Lactobacillus buchneri, exhibited an increase in acetic acid concentration (11.15 g/kg DM). In the T4 treatment group, which utilized a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the NH3-N/TN content was observed to be the lowest (20.52 g/kg DM). The T5 containing Enterococcus faecium had the highest RFV (123) after 60 days. Expanding upon these findings, the study underscores not only the beneficial effects of particular inoculant treatments on silage quality but also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customized inoculation strategies in maximizing nutrient retention and overall silage preservation.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내 관상용으로 많이 활용되는 스킨답 서스의 실내재배 시 적정 인공광원, 수경재배 전기전도도 농 도 및 용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내재배 시 인공 광원은 형광등, 적청 LED, 백색 LED로 처리하였다. 수경재배 시 양액 농도는 EC 1.2, 1.6, 2.0ds·m-1 수준으로 하였고, 재 배용토는 제올라이트, 코코피트, 펄라이트, 황토볼 4가지로 달리하였다. 스킨답서스의 실내 재배 시 줄기 길이는 형광등 과 적청 LED 처리보다 백색 LED 처리에서 길어졌다. 잎의 크기는 적청 LED 처리에서 형광등과 백색 LED 처리보다 커 지는 경향이었다. 엽록소 지수값은 백색 LED>적청 LED>형광 등 순으로 높았다. 수경재배 시 스킨답서스의 줄기길이는 EC 농도가 높아질수록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용토별로 비교하면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엽록소 지수값 도 EC 농도와 비례하여 높아졌고, 용토별로는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서 높았다. 스킨답서스의 생체중도 EC 농도가 높 을수록 높았고, 제올라이트와 코코피트에 높은 경향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스킨답서스의 NFT를 이용한 실내 재배 시 적정 인공광원으로는 백색 LED를, 수경재배 양액의 농도는 EC 1.6∼2.0ds·m-1를, 그리고 NFT 용토는 제올라이 트나 코코피트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감소는 생물다양성의 커다란 위협 요소 중 하나이고 생물종이 서식하는 공간적 분포에 대한 이해는 멸종위기종 관리, 생태계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남한지역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Ⅰ급으로 지정된 붉은점모시나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분포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를 위해서 최근 보전생물학, 동물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MaxEnt 모델을 현재시기와 미래시기 의 생물기후변수에 적용하여 잠재적 서식지 분포 변화를 평가하였다. 붉은점모시나비는 미래시기에 서식지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예측되었고, 기온보다 강수량에 의한 영향이 크고, 특히 강수량 계절성에 영향이 가장 클 것으 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국내 생물다양성 증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 변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중대한 위협 요인 중 하나이다. 생물종의 공간 분포를 이해하는 것은 보호지역에서 멸종 위기 종 관리와 생태계 복원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남한지역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 종 Ⅱ급인 쌍꼬리부전나비의 기후 변화에 대한 서식지 분포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보전 생물학, 동물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MaxEnt 모델을 현재와 미래 기후 조건에 적용하여 잠재적 서식지 분포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에 쌍꼬리부전나비의 서식지 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기온과 강수량 모두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더운 시기의 평균기온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생물다양성 보전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남한 지역에서 서식하는 멸종 위기 종 2급인 왕은점표범나비의 기후 변화에 따른 서식지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일모델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생물 보전과 동물 생태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 되는 앙상블 모델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 기후 조건에서의 잠재적 서식지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래에는 왕은점표범나비의 서식지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이 변화 는 기온과 강수량 모두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수량의 계절적 변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 변화로 인한 생물종의 서식 분포의 이해를 향상시켜 멸종 위기 종 관리와 생태계 복원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중요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peated use of biocidal products, including household insecticides and disinfectants, has led people to seek safer alternatives, such as light traps, ultrasound generators, or repellent lamps. By appearances, these physical/non-chemical alternatives seem appealing to many consumers and are gaining more attention. However, unlike biocidal products, these alternatives are not subject to mandatory approval and registration processes, and no standards for efficacy and safety are in place. Given the increasing numbers of insect traps on the market,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vestigate their efficacy.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attraction activity of ten commercially available insect trap products. They varied in size, structure, trapping methods (fan or sticky pad), and attractants. Their efficacies were assessed under both laboratory condition (1.8m x 1.8m x 1.8m) and semi-field room condition (4m x 6m x 2m). Ul*****APTM demonstrated the highest capture rate (%), leading us to further study the role of its attractant. Notably, the capture rate increased by 28.9% when the CO2 attractant was used, displaying statistical differences (P = 0.032).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consumer acceptance and satisfaction were monitored using 20 participants. The potential of insect traps as viable alternatives to biocidal products is discussed.
Corn silage is extensively utilized in ruminant feeding on a global scale, with substantial research efforts directed towards enhancing its nutritional worth and managing moisture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normal cutting height and elevated cutting height on whole-crop corn silage. Corn was harvested at heights of 15 cm and 45 cm above the ground, respectively, 45 days after heading. The harvested corn was cut into 2-3 cm lengths and packed into 20-liter plastic silos in triplicate. The results showed that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water soluble carbohydrates (WSC),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C4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while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was significantly lower in C45 (p<0.05). The C15 had higher yields than C45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of whole-crop corn silage. The increase in cutting height resulted in a larger change in moisture content and NDF per centimeter. After 60 days-ensiling, C45 showed significantly lower NH3-N concentrations. Moreover, C45 had significantly higher lactic acid concentration, lactic acid/acetic acid ratio,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 compared to the control. Mold was not detected and the yeast count was less than 2 log10 cfu/g fresh matter in both control and C45. In summary, C45 improved the feeding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whole-crop corn silage at the expense of forage productivity.
Backgrou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led to the creation of a mechanical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representative massage as a passive treatment. The use of mechanical massage offers the distinct advantage of being user-friendly and available for use at any given time.
Objectives: To investigated present the outcomes of utilizing a massage bed on the range of motion (ROM) and pressure pain threshold (PPT) in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low back pain.
Design: ABA design of a single case study.
Methods: To measure the ROM of the subject's trunk flexion, extension, lateral flexion, and rotation, a tape measure and goniometer were utilized. Furthermore, PPT was measured using an electronic pressure pain meter. Baseline A and Baseline A’ periods were conducted for 5 consecutive days without intervention. Following the baseline periods, a massage bed intervention was administered for 1 hour daily for a total of 10 days during the Intervention B period. Daily assessments were performed, and the Intervention B period was conducte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ROM effect was confirmed in trunk lateral flexion and rotation, while the PPT was effective in both L1, right L2, left L4, and left L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use of a massage bed improved the ROM and PPT in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back pain.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a larger sample size are necessary to validate thes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