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Aulacophoroides hoffmanni (Takahashi, 1937)를 최초로 보고한다. 2024년 야외조사에서 한국의 서부 2개 지역의 등나무(Wisteria floribunda (Willdenow))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A. hoffmanni를 확인하였다. 무시성충의 상세한 형태 기재와 계측값을 제시하였으며, 생체 및 슬라이드 표본 사진을 포함하였다. 이 종은 등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관상용 등나무의 주요 해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위벌과에 속하는 Coelioxys의미기록 2종 Coelioxys conoidea Illiger, 1806 와 Coelioxys formosicola Strand, 1913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 고한다. 본 종의 기재,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4,000원
        9.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lictidae 전 세계적으로 3,500종 이상 발견된 큰 그룹이며 사람들의 땀에 이끌리는 특성을 보여 Sweat bee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번 연 구에서는 꼬마꽃벌과에 속하는 Halictus hedini hedini Blüthgen, 1934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기재,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 한다.
        3,000원
        1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파리과에 기생하는 종으로 알려진 Bitomus (갗고치벌속)는 한국에 4종 보고되어있다. Bitomus는 Fischer (1987, 1994)에 의해 개정되었 고, Papp (1978, 1981)에 의해 한국에서 보고되었다. Bitomus는 움직이지 않게 연결된 마치 껍질과 같은 2-3번째 또는 4번째 복부마디로 다른 속들 과 구별된다. 본 조사연구 결과로 Bitomus indicus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기술과 진단형질도판을 수록한다.
        4,000원
        1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lenopsis invicta, known as the red imported fire ant, is an insect native to South America. This species was unintentionally introduced into Australia, New Zealand, several Asian countries, Caribbe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It shows a high survival rate and settlement potential in human-habitable and non-living areas such as tropical rainforests, disturbed areas, deserts, grasslands, and roads. In Korea, invasions of red fire ants have been reported every year since 2017, and two invasions were discovered in 2023. Quarantine agency analyzing the haplotype and colony social type of S. invicta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Population genetic analysis using Microsatellite Alleleic data of 66 loci to trace the origin of the invasion. Through research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we have received samples and expanded our genetic information database. This study analyzed genetic differences between 15 invasive populations and 44 reference groups. As a result of microsatellite analysis, the domestic invasive population showed a genetic structure similar to those in Guangzhou, China, and Florida, USA.
        1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rasitic rate of A. orientalis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parasitic rate five years ago, immediately after release, and parasitic rate was also compa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way from the release point. In addition, haplotype of A. orientalis was confirmed and the association with life cycle characteristics was decid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22 and 2023. The parasitic rate of release point in Buye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6% in 18 years to 91.21% in 22. And the parasitic rate by distance from release point is 91.21% (200m), 44.46% (12km), and 65.75% (46km). At all points of survey, only haplotype C and D were foun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plotype C and D in the parasitic rate and sex ratio.
        1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genus Asobara Foester, 1863 (Braconidae: Alysiinae), two new species, Asobara rotundata sp. nov.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addition, the DNA barcode region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were sequenced for the species. An identification key for the Asobara species officially recorded from Korea is provided.
        15.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제주도 올리브(olive, Olea europaea)에서 발생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총 15종의 해충이 확인되었다. 이중 나방 류와 노린재류의 발생과 과실 피해가 매우 심했다. 나방류는 수수꽃다리명나방(Palpita nigropunctalis), 큰점애기잎말이나방(Aterpia circumfluxana), 차잎밀아나방(Homona magnanima),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나방류 해충은 주로 잎을 가해했지만, 수수꽃다리명나방은 과실피해도 심하게 유발하였다. 노린재류로는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풀색노린 재(Chinavia hilaris)가 주로 발생하여 과실 피해를 유발하였다. 깍지벌레류인 갈색깍지벌레(Chrysomphalus bifasciculatus)와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는 무방제 시 과실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진딧물과 해충은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면충(신칭, Prociphilus oleae)만이 발생하였고, 갈색나무매미충(Ricania shantungensis)도 올리브에 처음 발생이 확인되었다.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철모깍지벌레(신칭, Saissetia olea)은 발견되었으나 방제후 더이상 발생하지 않았다. 이외 천공성 해충이 올리브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였으나,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