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방제는 주로 항공방제나 지상방제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나무주사를 통하여 매개충 (솔수염하늘소)을 방제하기 위한 연구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약제의 나무주사시 솔수염하늘소의 약효발현농도, 처리 후 기간별 효과(2017년~2018년)를 검토하였다. 실내 발현농도 시험에서는 Acetamiprid, Thiamethoxam LC50 value는 각각 0.102ppm, 0.083ppm 으로 나타 났으며, 야산(포장)에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처리구의 100.0% 치사 소요일 수는 처리 90일 후 11.0일, 9.4일, 처리 360일 후 11.6일, 10.0일로 나타나서 두 약제 모두 3월 처리시 다음해에 발생하는 매개충 (솔수염하늘소) 방제까지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노랑총채벌레는 저항성 해충군이 가지고 있는 크기가 작고 산란수가 많으며 세대기간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령기가 혼재하고 있으며, 꽃과 잎 등 식물체뿐만 아니라 토양에서 생활환을 완성하는 복잡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총채벌레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설 내 방제는 어려운 실정이며, 동일계통의 작용기작을 갖는 약제들의 단조로운 패턴의 약제사용으로 인하여 그 방제효과는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처리별 효과 검증을 통하여 방제체계를 제안하였다. 우선 실내에서 약제별 약충과 성충에 대한 처리방법별 효과 검토를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가 높지 않은 초기에 사용이 가능한 약제와 총채벌레 밀도가 높은 시기에 처리할 수 있는 약제를 선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포장에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조합별 효과 검토를 하였다. 또한 본 시험결과들을 기초로 ㈜경농에서는 3가지 이상의 다른 작용기작의 약제를 밀도가 높을 경우 3~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연속살포하는 3!3!3! 총채벌레 관리프로그램을 운영중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중이다.
        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EA affects BAX and NF-kB involved in cell deaths from global ischemia, and to do this, observes the changes of BAX and NF-kB caused by EA application after transient global ischemia. The experimental method is to give rise to global ischemia and apply EA to 27 SD rats with the particulars of being six-week-old, male, around-300 gram-weighing, and adapted to laboratory environment for more than a week, and divide them into three groups, that is, GV20 EA group(n=9), L14 EA group(n=9), no-treatment GI group(n=9), and then observe their changes of BAX and NF-kB at the time lapse of 6 hours, 9 hours and 12 hours after ischemia, using western blotting. The numerical decrease of BAX expression at the time lapse of 9 hours after EA application, 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observed in GV20 EA group and L14 EA group, and the NF-kB expression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GV20 EA group and L14 EA group, but the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EA application. Therefore, EA application at the early phase of global ischemia is considered to affect BAX and NF-kB and play a positive role in decreasing apoptosis and cell deaths by inflammation.
        4,000원
        8.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멸구에 강한 병원성이 있는 Serratia marcescens, biotype A2a를 분리, 동정하였다. 벼 유묘에 분무한 후 성충-계절풍을 따라 비래하는 형태-을 공시하고 병원성을 조사하여 3~5일 만에 강한 살충력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세균의 곤충병원성 관련 형질 탐색을 하기 위하여 Tn5로써 돌연변이를 시도한 후, Chitinase, Protease, DNase indicator media에서 돌연변이 계통을 분리하였다. 이들을 공시충에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ro-Strain중에서 병원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공시충을 전자현미경(SEM, TEM)으로 관찰하여, abdomen의 전장부위와 표피사이에 다수의 세균이 증식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곤충복부표피조직 중 cuticle층은 intact한 상태였다. 따라서, 이에 관련된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genomic library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4,000원
        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Whil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20 (S)-ginsenoside Rg3 (Rg3) have been studied, it remains unclear how Rg3 regulates lipid metabolism in inflammatory macrophages. Thu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some eicosanoids related to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20 (S)-ginsenoside Rg3 in murine macrophages. Methods and Results : UPLC-MS/MS was used to profile various eicosanoids from RAW264.7 cell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and Rg3. The profiling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Rg3 was validated by assessing the levels of nitric oxide,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6 in the activated macrophages treated with Rg3. A total of 69 eicosanoids were analyzed in RAW264.7 cells. Principal component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differentiated control cells from cells treated with LPS, Rg3, or LPS + Rg3 for 12 or 24 h. Furthermore, some differentially regulated compounds were found between macrophages treated with LPS for 24 h and those treated with LPS + Rg3 for 24 h. Conclusion : Rg3 alters eicosanoid metabolism in activated macrophages treated with LPS. Furthermore, we identified several eicosanoids correlated wi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Rg3.
        1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activitie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KG)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ild simulated cultivation ginseng (WCG) in mice. Fifty 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vehicle); B (WCG 100 mg/kg); C (WCG 500 mg/kg); D (KG 100 mg/kg); E (KG 500 mg/kg). Subsequently, the mice were subjected to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and treadmill test at the 4th and 7th weeks. The glycogen content in the muscle and blood analysis (levels of glucose, triglyceride (TG), IGF-1) were also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last FST and treadmill test at the 7th week. Immobility times in FST were shorter in WCG- than KG-treated groups, and the results of the treadmill tests were also significant except for KG-treated at 100 mg/kg. The glycogen content was increased in both groups with a peak at 500 mg/kg of WCG groups. Serum concentrations of TG and glucose were decreased by administration of KG and WCG and all treated groups showed increase in the level of IGF-1 in ser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KG and WCG supplementations are effective in escalating the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