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Graphitic nitrogen-doped carbon film/nanoparticle composite, in which the films were wrapped and separated by the nanoparticles, was prepared through a simple co-calcination route. Due to its unique porous structure and improved nitrogen content, the as-prepared electrode material could exhibit high specific capacitances of 317.5 F g− 1 at 0.5 A g− 1 and 200.0 F g− 1 at 20 A g− 1, and stable cycling behavior with no capacitance decline after 10,000 cycles in three-electrode system. When assembled in two-electrode capacitor, its specific capacitance could be well kept at 265.5 F g− 1 at 0.5 A g− 1, and thus the supercapacitor with a high energy density of 9.22 Wh kg− 1 was obtained. The superior energy storage properties of the as-prepared material indicate its promising application as high-performance carbon-based electrode for supercapacitors.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내 전문전시원에 발생한 이입식물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이입식물 분포조사를 시행 하였다. 그 결과 자생식물 299종, 귀화식물 49종, 재배식물 13 종 총 63과 214속 361종이 조사되었다. 국화과가 63종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 사초과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입식물의 이입 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비교 분석 한 결과 309종이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로 확인되었으며, 전 문전시원 내 식재 식물이 확산된 경우가 17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 49종을 원산지별로 구분하면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69.4%, 이입 시기별 1기와 3기의 비율이 90%를 차지하였 다. 귀화식물의 귀화도 분포 등급을 적용한 결과 4등급 이상이 면서 이입 시기가 3기인 식물 9종은 빠르게 확산할 우려가 큰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국립수목원에 어느 정도 귀화식물이 분포하는지를 가늠하는 도시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15.0%로 나타났으며,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중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가 출현하였 다. 이입식물은 자생식물군락과 전문전시원 내 관람로에 침입하 여 세력권을 확장하고 우점하는 경향이 있어 각각의 생태적 특 성을 고려한 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aromatic carbon content of epoxy resin (EP) increased via carbon tar pitch (CTP) modification, and the CTP occurred self-polymerization reaction. The carboxyl and hydroxyl groups of CTP and the hydroxyl and carboxyl groups of EP occurred chemical cross-linking reaction. CTP and graphitization treatment promoted EP CF carbon crystal growth. The graphitization degree of pure EP CF and 40 wt% CTP modified EP CF are 8.42% and 44.21%,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 CTP content, the cell size, ligament junction and density of graphitization modified EP CF gradually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pores and cells gradually decreased. The cell size, ligament junction size and density of 40 wt% CTP modified graphitization EP CF increased to 1200 μm, 280 μm and 0.5033 g/cm3, respectively. EP CF exhibits entangling carbon ribbon and isotropic amorphous carbon. The 40 wt% CTP modified EP CF is composed of evenly distributed amorphous resin carbon and graphite domain CTP carbon. The graphitization modified EP CF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40 wt% CTP modified EP CF is 126.6 S/m. The compressive strength can be decided by EP carbon strength and its char yield, and graphitization 40 wt% CTP modified EP CF reached 4.9 MPa. This study provides some basis for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TP modified EP CF.
수염풍뎅이(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는 과거에는 흔히 발견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한반도 내 개체수 가 급격히 감소하여 2005년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해당종의 분자생물학적 연구는 멸종위기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로 인해 NCBI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서열정보들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수염풍뎅이의 유전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생물정보학적 기술을 활용하여 전사체 분석을 진행하였다. Illumina HiSeq 2500 플랫폼을 사용하여 53,433,048개의 RNA reads를 얻었으며, Trinity와 TGICL을 이용한 De novo 어셈블리 분석을 통해 18,172개의 unigenes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unigenes는 GO, KOG, KEGG, PANM DB를 활용하여 annotation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GO 분석에서는 ‘binding and catalytic activities’와 관련된 항목이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KOG 분석의 경우 ‘Cellular Processes and Signals’ 범주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KEGG 분석을 통해 2,118개의 unigenes가 metabolic 카테고리에 annotation된 것을 확인하였다. SSR 모티프 분석에서는 AT/AT (42.90%) 모티프, AAT/ATT (13.13%) 모티프 순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들을 이용하여 유전자원 및 종 정보를 실시간 제공 및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Database 및 web-interface를 구축하 였으며, 이러한 자료들은 국내 멸종위기종인 수염풍뎅이의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발굴 및 확보할 수 있는 기반자 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ver the past decade, in-feed native advertis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forms of online advertising, attracting attention from both academia and industry. Compared to traditional online ads, in-feed native ads are less intrusive and have more engaging content, effectively reducing users' tendency to avoid ads and improv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Despite existing review studies, most of them focus on specific aspects of in-feed native advertising, such as ad identification, disclosure, or regulation, and lack an over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Moreover, with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forms,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AI technologies, and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ad literacy, in-feed native ad research faces new issues and practical challenges. Thus, a systematic review of existing research is necessary to identify valuable future research directions.
Some consumer good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are in circulation and used in everyday life. In accordance with the Nuclear Safety Act, consumer goods with radioactivity are regulated. However, since most consumer goods distributed in Korea have no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amount of radi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adiation for safety regulation. Among these consumer goods, GTLS (Gaseous Tritium Light Source) contains gaseous tritium (tritium, written as 3H or T), which is a radioactive material. The gaseous composition ratio in GTLS was analyzed using a precision gas mass spectrometer (Thermo Fisher, model MAT 271). As a result of GTLS analysis, the H2, HD or H3 +(T) or 3He, HT or D2 or He, DT, and T2, which correspond to the mass-to-charge ratio (m/z) 2 to 6 and the air components were detected. In addition, substances corresponding to m/z=24 and m/z=21 were also detected. These were compared with pure CH4 and those fragmentation patterns. The ratios of CT4 (m/z = 24) to CT3 (m/z = 21) and CH4 (m/z = 16) to CH3 (m/z = 15) were compared and they agree within the measurement uncertainty. We also performed additional experiments to separate the water component in the GTLS sample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the m/z = 21 to m/z = 24 region is tritium compounds based on H2O. Despite the removal of the water components, peaks were detected at m/z=21 and m/z=24.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component of m/z = 24 in the GTLS sample was CT4.
KHNP is carrying out international technical cooperation and joint research projects to decommission Wolsong unit 1 reactor. Construction data of the reactor structures, experience data on the pressure tube replacement projects, and the operation history were reviewed, and the amount of dismantled waste was calculated and waste was classified through activation analysis. By reviewing COG (CANDU owners Group) technical cooperation and experience in refurbishment projects, KHNP’s unique Wolsong unit 1 reactor decommissioning process was established, and basic design of a number of decommissioning equipment was carried out. Based on this, a study is being conducted to estimate the worker dose of dismantling workers. In order to evaluate the dose of external exposure of dismantling workers, detailed preparation and dismantling processes and radiation field evaluation of activated structures are required. The preparation process can be divided into dismantlement of existing facilities that interfere with the reactor dismantling work and construction of various facilities for the dismantlement process. Through process details, the work time, manpower, and location required for each process will be calculated. Radiation field evaluation takes into account changes in the shape of structures by process and calculates millions of areas by process, so integrated scripts are developed and utilized to integrate input text data. If the radiation field evaluation confirms that the radiation risk of workers is high, mutual feedback will be exchanged so that the process can be improved,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emporary sh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inal decommissioning plan for Wolsong unit 1. By reasonably estimating the dose of workers through computer analysis, safety will be the top priority when decommissioning.
The pitch-based activated carbon fibers (ACFs) were prepared from ethylene tar-derived pitches containing nickelocene (CNi) or nickel nitrate (NiN). The effects of different anions and contents of metal salts on the microstructure and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fibe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Ni2+ from CNi mainly remained its pristine molecule in the organometal salt-derived pitch (OP-xCNi), while Ni2+ from NiN occurred complexation reaction wit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the inorganic metal salt-derived pitch (IP-xNiN) due to the weaker binding ability between anions and Ni2+ of CNi than CNi. The XRD and SEM results confirmed that IP-3NiN-ACF contained Ni, NiO, Ni2O3 nanoparticles with different size distributions, while OP-3CNi-ACF only contained more uniformly distributed Ni nanoparticles with small size. Furthermore, OP-3.0CNi-ACF presented higher specific surface area of 1862 m2/ g and a pore volume of 1.69 cm3/ g than those of IP-3.0NiN-ACF due to the formation of pore structure during the in-situ catalytic activation of different metal nanoparticles. Therefore, this work further pointed out that the desired pore structure and surface chemistry of pitch-based ACFs could be obtained through regulating and controlling the interaction of anion species, metal cations and PAHs during the synthesis of pitch precursors.
Background: A hip fracture may occur spontaneously prior to the hip impact, due to the muscle pulling force exceeding the strength of the femur.
Objects: We conducted falling experiments with humans to measure the activity of the hip muscles, and to examine how this was affected by the fall type.
Methods: Eighteen individuals fell and landed sideways on a mat, by mimicking video-captured real-life older adults’ falls. Falling trials were acquired with three fall directions: forward, backward, or sideways, and with three knee positions at the time of hip impact, where the landing side knee was free of constraint, or contacted the mat or the contralateral knee. During falls, the activities of the iliopsoas (Ilio), gluteus medius (Gmed), gluteus maximus (Gmax) and adductor longus (ADDL) muscles were recorded. Outcome variables included the time to onset, activity at the time of hip impact, and timing of the peak activity with respect to the time of hip impact.
Results: For Ilio, Gmed, Gmax, and ADDL, respectively, EMG onset averaged 292, 304, 350, and 248 ms after fall initiation. Timing of the peak activity averaged 106, 96, 84, and 180 ms prior to the hip impact, and activity at the time of hip impact averaged 72.3, 45.2, 64.3, and 63.4% of the peak activity. Furthermore, the outcom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fall direction and/or knee position in all but the iliopsoas muscle.
Conclusion: Our results provide insights on the hip muscle activation during a fall, which may help to understand the potential injury mechanism of the spontaneous hip fracture.
The oxygen-rich activated carbon (AC) was facilely developed using petroleum coke as a raw material by KOH activation under the rapid heating rate. The porosity and surface chemistry of ACs prepared under different heating rates were characterized and their adsorption properties for methylene blue (MB)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5 prepared under the heating rate of 5 °C min−1 had the highest surface area compared with the AC10, AC15 or AC20, while the AC20 prepared under the heating rate of 20 °C min−1 consisted of the highest oxygen content and most –OH functional group compares with the other ACs. These indicated that rapid heating rate was against the formation of more developed porosity, however, it was beneficial to producing more oxygen functional groups. As to MB adsorption, AC15 exhibite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for MB of 884 mg g−1 due to high surface area of 2803 m2 g−1 and high oxygen content of 23.27%. Moreover, despite the fact that AC20 had much lower surface area than the AC5, the AC20 showed higher MB adsorption capacity than the AC5. This was because the AC20 has the highest content of –OH, which was a positive impetus for MB adsorption. Therefore, rapid heating rate was an effective and simple approach to preparing the oxygen-rich ACs for improving the adsorption capacity of MB.
홍콩의 비중국어권 유치원생들은 중국어 학습 과정 중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개인적인 이유 외에도 교사와 학교 모두 자원, 교재, 경험 등의 부족으로 이들의 중국어 학습은 도전적 상황에 직면해있다. 최근 홍콩 평등기회위원회(香港平等機會委員會)는 중국어권 학습자와 비중국어권 학습자의 통합교육을 적극적으로 건의하였는데, 본래의 좋은 취지와는 다르게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점들이 제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홍콩 경마자선기금(香港賽馬會慈善基金)과 관련 협력 기관에서는 큰 규모의 연구를 기획하고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중국어권 유치원 교육을 지원하였다. 다양한 프 로그램 가운데, 본 연구는 언어 학습 이론과 효과적인 교육에 중점을 두고, 수업 현장 관찰, 수업 비디오 녹화, 교장과 교사 인터뷰, 학습자 언어 학습 평가와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 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중국어권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반에서 상위반까지의 언어학습 발달과정을 추적 하여 네 차례 언어학습 평가를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3년간의 언어 성적은 뚜렷한 성장을 보였는데, 이를 통해 학습이론과 실제 교육법 사이에 분명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가 통합 정리한 10종의 언어학습이론은 홍콩의 중국어권 유아와 비중국어권 유아의 통합교육에 매우 적합했고,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여러 실제 사례들은 간단히 실행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많은 자원이 투입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도출해 내었다. 본 연구의 이론과 실제 성과가 학계 및 교육 실무자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