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sphine (PH3) fumig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controlling storedgrain insect pests, causing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of stored-grain insect pests to phosphine. PH3 resistance in Sitophilus oryzae has been reported in Korea. However, PH3 resistance in Tribolium castaneum has not been reported y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usceptibilities of T. castaneum collected from five different domestic locations to PH3. The susceptibility to PH3 was investigated using the FAO fumigation method. All domestic T. castaneum individuals were controlled by PH3 at 0.04 g m-3. At 0.01 g m-3, T. castaneum collected from two domestic locations did not exhibit 100% mortality. A P45S point mutation in dihydrolipoamide dehydrogenase (dld) gene was found in a PH3-resistant strain of T. castaneum (Aus07), but not in five domestic stains or a PH3-susceptible strain (Aus10).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ld or cyt-b5-r gene expression across all tested strains. However, the Gyeongju-collected strain of T. castaneum showed more than a 1.7-fold increase in cyt-b5-r expression compared to the Aus07 strain. cDNA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P45S (C133T) in the dld gene was only present in Aus07. A characteristic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cyt-b5-r gene sequence was identified in the five domestic strai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PH3-susceptibility of T. castaneum in Korea to quickly identify resistant individuals and prevent the spread of PH3 resistance through rapid control.
Phosphine is a common pesticide used to control grain pests in Rice Processing Complex(RPC). However, increasing use of aluminum phosphide caused the occurrence of phosphine resistance pests. In this study, phosphine resistance pests collected at RPC in 2023 was investigated with FAO No. 16 test, Dihydrolipomaide dehydrogenase(DLD) test and amino acid mut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occurrence of phosphine resistance in Korea. Tested pests were collected in the 7 province 35 region. As a result of the FAO test of 21 regions, all sample were phosphine sensitives. In DLD test and amino acid analysis, 7 region samples were weak resistances. It is required to inspect the RPC and other grain storage continuously to inhibit the widespread of resistant pest.
본 연구는 식물검역 분야에서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로 인해 발생하는 약해를 저감하기 위한 물질을 모델식물인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스크리닝하였다. 사전연구를 통하여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의 식물 독성 메커니즘으로 활성산소발생와 식물 성장 호르몬인 옥신의 식물체 내 분배억제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약해 저감물질후보군으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ROS scavenger 2종 (NAC, GSH)과 옥신을 훈증제 처리 전 애기장대에 처리한 후 약해의 저감 정도를 육안평가와 더불어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메틸브로마이드에 의해 유도된 약해는 옥신보다는 활성산소를 저감시키는 물질후보군들에서 약해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이 중 GSH을 이용하여 농도구배하여 전처리하였을 때, 5 mM GSH 전처리 후 메틸브로마이드 훈증 시 약해 저감효과가 두드러졌다. GSH 전처리 시 식물체 내에 MBF1c와 HSP70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으로 유도되는 약해를 방어하는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라고 평가된다. 따라서, 식물검역 훈증제 메틸브로마이드에 의해 발생하는 약해를 저감하는 데 GSH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식물체에 적용하여 수출입 시 약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fall armyworm (FAW), Spodoptera frugiperda J.E. Smith is a noctuid moth endemic throughout the Western Hemisphere that has recently become widespread in sub-Saharan Africa. In Asia, FAW was firstly reported at corn fields in India, SriLanka, Bangladeshi, Miyanmar and Thailand in 2018. In January 2019, FAW was also found in Yunnan province of China. In March 2019, the larvae which could be tentatively identified as FAW were caught at a corn field of Plant Protection Center of Lao PDR, which is located in Vientiane, Laos.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by DNA barcoding using the COⅠ segment of the four larvae, which were found to be the haplotype of rice strain (COⅠ-RS). The host strain identity was additionally analysed as a Tpi-C (C-strain allele) by Triosephosphate isomerase gene (Tpi) segment located on the Z sex chromosome. The result shows that the FAW specimens in Lao is the subpopulation of COⅠ-RS/Tpi-C (COⅠ and Tpi haplotype combination). It was reported that COⅠ-CS/Tpi-C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COⅠ-RS/Tpi-C in Western Hemisphere and Western Africa, but COⅠ-RS/Tpi-C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Eastern Africa. It can be supposed that the subpopulation of COⅠ-RS/Tpi-C in Lao is one of the subpopulations which have migrated into the Indochinese peninsula from Eastern Africa, with more detailed analysis for more diverse nationwide specimens left.
2018년 현재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 호남지역본부로 수입된 식물은 220종 17,030건으로 우드펠렛(18%), 주정박(8%), 페스큐 건초(8%), 알파파건초(8%), 귀리건초(6%), 혼합건초(5%), 티모시건초(5%), 라이그래스건초(5%), 목화씨(사료용)(4%), 소나무원목(3%) 등의 순이다. 이와 같이 호남지역은 비재식 사료류(건초 등) 수입비중이 높으며 이는 전국 수입 건수의 약 67%에 달한다. 검역해충은 795건 검출되었으며 이 중 관리해충 294건, 잠정규제해충 146건, 비검역해충 307건 등이다. 관리해충 중 Carpophilus obsoletus가 210건(72%), 잠정규제해충 중 Cryptoletes ferrugineus가 56건(39%)으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또한 호남지역으로 수입 된 재식용 구근류는 생강 및 생강구근, 마늘구근이며 전국 수입 건수의 약 42%를 차지한다. 수입 된 생강 및 생강구근 91건 중 37건에서 해충(선충)을 발견하였고 Meloidogyne sp.(잠정규제해충) 검출로 9건이 폐기·반송되었다. 수입된 마늘구근 34건 중 29건에서 해충을 발견하였고 Carpophilus obsoletus(관리해충) 18건, Cryptoletes ferrugineus(잠정규제해충) 11건이 검출되어 소독하였다.
지난 19년간(2000~2018.9) 검역현장에서 검출된 해충의 종류는 2,028종이며 150,379회 이다. 이중 곤충은 1,745종으로 86%이며, 딱정벌레목은 검출종 중 740종, 42,4%로 검역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머리대장과(Cucujidae)는 머리대장상과에 포함되고, 검출율은 14.7%로 상위 두 번째 과에 속한다. 특히 Cryptolestes ferrugineus(갈색머리대장), Cryptolestes turcicus(터키모진가슴머리대장), Cryptolestes pusillus(긴수염머리대장)은 딱정벌레목 검출종 중 상위 10위 안에 속해 있는 종으로 검역현장에서 매우 중요시 되고 있는 종이다. 본 연구는 머리대장과 C. ferrugineus(잠정규제), C. turcicus(잠정규제), C. pusillus(비검역), C.pusilloides(관리급)에 대한 외형적 특성과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지난 19년간(2000~2018.9) 검역현장에서 검출된 해충의 종류는 2,028종이며 150,379회 이다. 이중 곤충은 1,745종으로 86%이며, 딱정벌레목은 검출종 중 740종, 42,4%로 검역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밑빠진벌레과(Nitidulidae)는 딱정벌레목 머리대장상과에 포함되고, 검출율은 9.0%이다. 검출율이 가장 높은 종은 Brachypeplus rubidus로 1,415회 검출되었으며, Carpophilus obsoletus는 999회, Carpophilus hemipterus는 927회, Carpophilus dimidiatus는 477회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검역과정에서 검출되는 밑빠진벌레과의 Carpophilus 속에 속하는 종들에 대해 검토 하였다. 또한 이들의 외형적 특징과 종의 분류 검색을 제시 하고자 한다.
세계화로 인해 교역 및 여행객의 증가로 외래 병해충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유입 및 확산 경로 규명을 위하여 분자 유전학적 분석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외래 해충인 Reticulitermes kanmonensis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18개의 초위성체마커(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총 16개 지역(전주, 김제1, 김제2, 군산1, 군산2, 서천, 완주1, 완주2, 완주3, 완주4, 익산1, 익산2, 논산, 일본1, 일본2, 일본3)의 흰개미 244개체를 분석하였다. 집단간 대립 유전자 패턴(allelic patterns)분석결과 일본3 지역의 유전적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고 완주2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집단 간 유전적 거리(Genetic differentiation)는 평균적으로 0.163정도의 유전적 다향성 비율을 나타냈고, 서천과 군산2 지역이 0.048로 낮게, 서천과 일본2 지역이 0.442로 높게 나타나 서천과 군산2 집단이 유전적으로 가깝게 나타나고, 반면 서천과 일본2 집단과는 유전적으로 멀게 나타났다. STRUTURE 분석결과는 클러스터 집단 수가 6(k=6)일때 이상적인 집단 패턴을 나타내었고, 유전적 구조는 A그룹(전주, 김제1, 완주2), B그룹(서천, 군산1, 군산2), C그룹(완주1, 김제2), D그룹(논산, 익산1, 익산2), E그룹(김제1, 완주2, 완주3), F그룹(일본1, 일본2, 일본3)의 6가지의 패턴이 지역별로 분리되어 나타났다.
외래 병해충의 유입이 증가 하고 있고 이들의 유입 및 확산 경로 규명을 위하여 분자 유전학적 분석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본 연구는 외래 해충인 Reticulitermes kanmonensis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초위성체마 커(microsatellite)를 문헌을 통해 탐색하였고, NGS(Next-Gen Sequencing) 기술을 통해 새로운 초위성체마커를 개발하였 다. 문헌을 통해 Reticulitermes속에서 개발된 마커29개와 NGS를 통해 선발된 25개의 마커를 탐색 하여, 이중 증폭 및 유용성이 있는 18개의 마커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단일 마커들을 이용하여 6개의 multiplex PCR set 및 증폭 조건을 수립하여 집단유전학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2017년 한해 동안 9개 공항만에서 중국 등 32개국, 120개 품목 8,660건을 조사한 결과, 523건에서 해충 검출이 있었다. 반입빈도가 높은 품목은 사과, 망고, 감귤, 배, 복숭아, 바나나, 오렌지, 오이, 고추. 호두(미탈각), 자두, 드래곤프릇, 포멜로, 토마토, 풋콩, 망고스틴, 대추 등의 순이었으며, 중국, 베트남, 일본, 필리핀, 대만, 태국 등의 나라에서 반입건수가 많았다. 해충 검출 빈도가 높은 품목은 망고스틴, 망고, 사과, 슈가애플, 람부탄, 고추, 자두, 구아바 등이며, 해충 검출 빈도가 높은 국가는 중국, 베트남, 태국 등이었다. 검출 해충류 중 금지해충으로 오리엔탈과실파리류(Bactrocera dorsalis sp. complex) 52건, 오이과실파리(Bactrocera cucurbitae) 1건, Bactrocera latifrons 2건이 있었으며, 과실파리류 32건이 동정중이며,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이 1건 검출되었다.
지난 18년간(2000~2018년 3월) 검역현장에서 검출된 해충의 종류는 1,980종이다. 이중 딱정벌레목은 전체의 42.6% (곤충은 1,707종으로 86.2%)로 검역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여기에서 가는납작벌레과(Silvanidae)는 딱정벌레목 머리대 장상과에 포함되고, 이들의 검출 종은 21종, 횟수는 15,516회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최근 18년간 검출률 결과 Ahasverus sdvana(쌀머리대장)로 6,404회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Slivanus didentatus(두니가는납작벌레)는 6,225회, Oryzaephilus surinamensis(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는 1,123회, Oryzaephilus mercator(곡물가는납작벌레)는 415 회의 검출률을 보여준다. 가는납작벌레과는 딱정벌레목중 가장많은 검출률을 보이는 과로 검역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과에 속한다. 본 연구는 검역과정에서 검출되는 가는납작벌레과 곤충 중 검역현장에서 최초로 발견된 Monanus 속의 한 종을 발견하여 보고 한다.
The acaricidal activity of Asarum heterotropoides root-derived principles, methyleugenol, safrole, 3-carene, α-asarone, pentadecane and A. heterotropoides root steam distillate constituents was tested against poultry red mites Dermanyssus gallinae (De Geer). All active principl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wo conventional acaricides, benzyl benzoate and N,N-diethyl-3-methylbenzamide (DEET). Methyleugenol (24 h LC50 = 0.57 μg/cm2) and safrole (24 h LC50 = 8.54 μg/cm2) were the most toxic compounds toward D. gallinae, followed by 3,4,5-trimethoxytoluene, 3,5-dimethoxytoluene, estragole, α-terpineol, verbenone, eucarvone, linalool, and terpinen-4-ol (LC50 = 15.65–27.88 μg/cm2). Methyleugenol was 16.7× and 11.0× more toxic than benzyl benzoate (LC50 = 9.52 μg/cm2) and DEET (LC50 = 6.28 μg/cm2), respectively; safrole was 1.1× and 0.73× more toxic. Asarum heterotropoides root-derived materials, particularly methyleugenol and safrole,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acaricides. Global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highly toxic synthetic acaricides in indoor environments justify further studies on A. heterotropoides root extract and steam distillate preparations containing the active constituents described as potential contact-action fumigants for the control of m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