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lyphenol content of common buckwheat, Tartary buckwheat, buckwheat leaves, sea tangle, sea mustard ears, and fusiformis were analyzed. Among these, buckwheat leaves exhibit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Hot water extraction followed by treatment with plantase enzyme increased the polyphenol yield by 56% for buckwheat leaves and by 34% for sea tangle. Cytotoxicity test performed on 3T3-L1 pre-adipocytes for seaweeds and buckwheat leaves reveal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1 mg/mL. Additionally,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buckwheat leaf and sea tangle extracts on the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confirmed that buckwheat leaf extract inhibited fat differentiation at 10 mg/mL and sea tangle at 0.1 mg/mL. Buckwheat/sea tangle enzyme food had 6.5 times higher amylase activity, 27 times higher protease activity, and more than twice as high dietary fiber, polyphenol, and DPPH scavenging ability as brown rice enzyme foods. Buckwheat/sea tangle enzyme-supplemented food contained more than 30% more phlorotannins and 7.8% more alginic acid than brown rice enzyme-supplemented food.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의 혁신은 정보통신기술에 기여한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진 기술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관점에서 서비스의 보안, 성능, 가용성 등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점점 더 많은 개인과 기업의 정보들은 물론 공공부문의 정보들도 클라우드 서비스에 놓이게 되면, 주된 관심은 어떻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에 맞추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제도가 시행되고 있고 미국에서는 FedRAMP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인증제도의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두 인증제도간의 차이점에 대하여 기술한다. 궁극적으로는 두 인증제도간의 비교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