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방사성 SrCl2를 이용하여 Sr 농도를 50, 100, 200mg·kg-1 및 토양 유기물 함량을 5%, 10% 및 15%로 달리하여 배추의 생육, 생체중,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생육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r 농도가 증가할수록 초장, 근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Sr 200mg·kg-1 처리에서 생육 저 해가 뚜렷하였다. 반면, 엽록소 함량(SPAD)은 처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광합성 색소에는 Sr의 영향이 제 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는 Sr 처리에 따른 생육 저해가 완화되었으며, 특히 유기물 15% 조건에서 완충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유기물이 Sr의 생물유효도를 감소시켜 식물체 흡수를 억제하 는 기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비방사성 SrCl2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작물의 Sr 독성 반응과 유기물 기 반 토양 완충 효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으며, 향후 방사성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및 안전 농산물 생산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담액수경재배(DFT, Deep Flow Technique) 조건에서 질산태 질소(NO3-N) 결핍이 Perilla frutescens Britt.(잎들깨)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야마자키 표준 양액을 기반으로 NO3-N 농도를 0%(대조구), 30%, 50%, 70%, 100%의 5수준으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처리구를 설정하였다. 처리 시작 후 20일부터 80일까지의 기간 동안, 초장, 엽수, 마디수, 줄기직경 등 주요 생육 지표는 질산태 질소 결핍 (Nitrate Deficiency, ND)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80일 후 ND 100%(0 mM) 처리구에서 는 생육이 크게 저해되어 초장, 엽수, 마디수, 줄기직경이 각각 49.2%, 59.4%, 41.7%, 42.2% 감소하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각각 93.4g에서 15.5g, 11.8g에서 3.0g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식물체 내 총 질소 함량도 ND 수준이 높 아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D 0% 대비 ND 100% 처리구에서는 약 50% 이상의 질소 함량 감소가 관 찰되었다. 하엽에서는 황화, 갈변, 괴사 등의 생리적 장애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엽록소 분해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는 수경재배 조건에서 잎들깨의 안정적인 생육과 생리적 기능 유지를 위해 충분한 질산 공 급이 필수적임을 보여주며, 상업적 생산을 위한 질산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ral language comprehension (OLC) and vocabulary depth are widely recognized as key predi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research has either provided a limited representation of OLC or failed to acknowledge the distinctive predictive nature of vocabulary dep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bined contributions of OLC, conceptualized as a unified composite of foundational language variables and compares its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to vocabulary depth, while accounting for writing abilities. A total of 169 advanced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were tested on listening comprehension, grammar knowledge, vocabulary breadth, vocabulary depth,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SEM analyses revealed that both OLC and vocabulary depth made unique contributions to reading comprehension, with OLC demonstrating relatively stronger predictive power. Writing abili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when OLC and vocabulary depth were considered in the same model.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ndependent predictive roles of OLC and vocabulary depth in L2 reading comprehension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these constructs into EFL pedagogical practices.
As space missions extend in duration, the impact of spaceflight on human reproduction poses serious biomedical challenges. The reproductive system is susceptible to microgravity, ionizing radiation, and circadian disruption. This review summarizes current evidence on how space environments affect reproductive function, focusing on gametogenesis, hormonal regulation, pregnancy, and embryonic development. We reviewed data from rodent models, parabolic flight experiments, and space-exposed cellular systems to assess the effect of space-relevant stressors on reproductive health. Findings show that microgravity impairs sperm motility and hormonal balance, while radiation increases DNA fragmentation and induces heritable epigenetic changes. Female reproductive health is similarly affected, with radiation accelerating follicular loss and hormonal disruption impairing ovulation. Early pregnancy stages, including implantation and placental development,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space conditions. Rodent studies indicate that while basic fertility may persist, the long-term effect on offspring health and multi-generational outcomes remains unclear.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targeted countermeasures and continued research to ensure reproductive success in future space missions.
This study explores a church leader’s perceptions of language policy goals and cultural practices within a Korean-American church, as well as the changes prompted by the COVID-19 pandemic. Drawing on theories of ethnic churches, language planning and policy, and communicative frameworks of organizational identity, the study employ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ultiple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of English and Korean worship services, two in-depth interviews, audio recordings, and artifact document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dual role of first language and cultural practices in affirming both ethnic identity and Christian faith among Korean congregants. Furthermore, this research illuminates the integrative role of the church—both institutionally and socially—during a global crisis. The church leader’s motto, “Stay well and stay connected,” was expressed through linguistic and cultural adaptations that promoted a sense of belonging and positive identity amidst uncertainty.
본 연구는 한반도 유사 사례 중 하나인 1976년 판문점 도끼 사건에 대 한 한미일 3국의 관점을 역사적인 측면에서 관련 문서를 통해 고찰하였 다. 한국 정부와 국회는 북한과 공산주의에 관한 강렬한 적대감을 나타내 었다. 미국 백악관도 북한의 전적인 책임을 강조하며 북한을 비난하였다. 미국 의회는 판문점 도끼 사건을 규탄하였지만, 동시에 한국의 국내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이에 박정희 정권은 미국 의회의 대응이 매우 모호하다고 판단하여 불편함을 나타내며 미국 국무부에 도움을 요청하였 다. 한편, 일본 정부와 자민당은 판문점 도끼 사건에 대한 미국의 초기 대응에 공감하였다. 그러나 일본 국회에서 다른 정당은 한반도 유사시 미 국의 동맹인 일본이 개입하게 될 가능성을 매우 우려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유사 사례 중 하나인 1976년 판문점 도끼 사건이 발생하였던 당 시 한미일 3국의 시각이 모두 협력적이지는 않았음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담액수경재배(Deep Flow Technique, DFT)로 재배된 잎들깨(Perilla frutescens)의 생장 및 생리 적 반응에 미치는 인산결핍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산 결핍 처리는 야마자키 표준 배양액을 수정하여 0% (대조 구), 30%, 50%, 70%, 100%의 5 수준으로 달리 조성하였다. 처리 20일부터 80일까지 인산 결핍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초장, 엽수, 마디 수, 경직경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80일째에는 100% 인산 결핍 처리에서 초장이 10.1cm, 엽수는 식물체당 2.7장으로 급감하였으며, 이는 대조구의 73.5cm 및 12.8장에 비해 현저한 생장 저해를 나타냈다. 또한, 인산 결핍 조건에서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의 생체중은 93.4g 이었으나 100% 인산결핍 처리구에서는 2.1g으로, 건물중은 11.8g에서 0.4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인산 결핍 정도가 증가할수록 하 부엽에서 황화(Chlorosis) 및 괴사(Necrosis)와 같은 생리장해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산이 잎 들깨의 영양생장과 건물생산량 증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은 한반도 유사 사례 중 하나인 KAL 858 사건 당시 한미일의 대응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KAL 858 사건이 발생했던 전두환 정권 시기와 노태우가 대통령으로 취임했던 1988년 2월 25일 이후 시기를 구 분하여 한국, 미국, 일본에서 생산된 1차 자료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KAL 858 사건 발생 당시 한국, 미국, 일본은 공통적인 반응을 나타냈 다. 우선 KAL 858 사건이 일어났던 1987년 11월부터 한국, 미국, 일본 모두 협력하여 북한을 규탄하며 제재를 가하였다. 반면, 노태우 대통령 취임 이후 한국, 미국, 일본은 북한을 규탄하면서도 군사적인 보복 등의 강력한 제재와 관련된 고려를 줄였다. 본 연구는 1987년 KAL 858 사건 에서 한국, 미국, 일본이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음을 제시한다.
Gentamicin is an aminoglycoside antibiotic effective against aerobic gram-negative bacteria and is also used in veterinary medicine, particularly in the swine and bovine industries. However, no gentamicin product is currently approved for treating equine diseases in Korea.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time-dependent residue of gentamicin in horse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IV) via jugular vein. The test product was injected at 6.6 mg/kg BW via jugular vein in nine horses.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horse's jugular vein at 15 minutes, 30 minutes, 1, 4, 8, 12, 24 and 48 hours after injection. To purify the gentamicin in serum, 100μL of 20 mM HFBA in DW, 100 μL of 30% trichloroacetic acid and 300 μL of 20 mM heptafluorobutyric acid (HFBA) in acetonitrile (ACN) were added to 500 μL of serum and supernatant was applied to LC-MS/MS after centrifugation. LC-MS/MS-8050 analyzed the level of gentamicin in serum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ESI) and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positive mode. Gentamicin C1 was 478 m/z and product ions were 322, 157 m/z. Precursor ion of Gentamicin C1a was 450 m/z and product ions were 322, 160 m/z. Precursor ion of Gentamicin C2 and C2a was 464 m/z and product ions were 322, 160 m/z. The LC column was a C18 and mobile phase composed of 20 mM HFBA in 5% ACN and 20 mM HFBA in 50% ACN. The amount of gentamicin was calculated by adding four components of gentamicin (C1, C1a, C2 and C2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gentamicin were calculated by the WinNonlin program. The Cmax of gentamicin in horse serum was 93 ± 17 μg/kg and the Tmax was 0.25 ± 0 hours. The T1/2 was 6.41 ± 2.32 hours and the CLt was 0.05 ± 0.01L/hr/kg. The Vd was shown as 0.44 ± 0.13 L/kg and the MRT was 1.98 ± 0.55 hours. In conclusion, our data provides useful pharmacokinetic parameters for gentamicin in horses following IV injection.
본 연구는 딥러닝 영상 재구성 기법을 적용한 8개의 뇌질환군의 감마나이프 수술 계획용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전이성 뇌종양, 뇌동정맥 기형, 수막종, 뇌하수체선종, 삼차신경통, 청신경초종, 맥락얼기 유두종, 해면상 혈관종, 총 8개의 질병을 진단받은 사람들의 T2 강조 영상(T2 weighted imaging, T2WI), 조영증강 T1 강조영상(contrast enhancement T1 weighted imaging, CE-T1WI)의 방법으로 검사한 MRI 영상을 SwiftMR을 이용하여 딥러닝 영상 재구성 기법인 디노이징(denoising)과 초해상도(super resolution)가 적용된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에 대한 성능 평가는 최대 신호대잡음비(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 구조적 유사도(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 SSIM),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gamma knife radiosurgery, GKRS)의 좌표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원본영상을 기반으로 영상 품질이 개선된 영상의 PSNR과 SSIM은 높은 수치를 나타냄으로써 MRI 영상의 재구성이 문제없이 이루어졌고, GKRS의 수술 좌표계 또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딥러닝 영상 재구성 기법은 영상 품질 향상과 영상 보존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임과 동시에 좌표계도 변화를 보이지 않아서, 딥러닝 영상 재구성 기법은 감마나이프 수술 계획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법임을 확인하였다.
국내 수박(Citrullus lanatus) 품종의 발아율에 대한 Solid Matrix Priming(SMP)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Micro cel-E가 SMP 처리에 가장 이상적인 matrix로 밝혀졌으며, 종자:matix:물의 비율은 10:5:10(w/w/w)로, 25°C 에서 3일 동안 처리했을 때 유근의 돌출없이 발아속도가 촉진되었다. SMP 처리 과정 동안 초기 4시간 동안의 수분 흡수율은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이후 72시간 동안은 더 느린 속도로 흡수되었고, 처리 마지막 시간까지 수분 흡수 율은 41%이었다. 발아 온도와 상관없이, SMP 처리된 종자는 발아 시간이 단축되면서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특히, 최적 발아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품종별 차이는 있었으나, 특히 ‘해찬꿀’과 ‘리코스위트’ 품종 에서 발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일부 품종에서 SMP 처리 종자의 유묘출현율과 초장, 생체중이 무처 리에 비하여 증가한 값을 보였으며, SMP 처리로 종자의 발아속도 및 유묘활력을 증진시켜 우량 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increasing rapidly with the popularization of electric vehicles and the expansion of wireless electronic devices. However, the most widely used lithium-ion batteries are subject to frequent fire incidents, limiting market growth. To avoid flammability, solid electrolyte-based systems are gaining attention for next-generation lithium-ion batteries. However, challenges such as limitations in ionic conductivity and high manufacturing costs require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a new nitrogen-based solid electrolyte material that has not yet been widely explored. We propose a methodology for selecting the final material through high-throughput screening (HTS), detailing the methods used for material sele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we present ab initio molecular dynamics (AIMD) calculations and results for nitrogen-substituted materials with carbon and oxygen replacements, including Arrhenius plots, activation energy, and the predicted conductivity at 300K for the material with the highest Li-ion conductivity. While the performance does not yet surpass the ionic conductivity and activity of conventional solid-state electrolytes, our results provide a systematic framework for exploring and screening new solid electrolyte materials. This methodology can also be applied to the exploration of different battery material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innovation of next-generation energy storage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