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농어업유산의 지정과 함께 농업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의 지속가능을 위한 관리 체계와 기술 적용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농업유산자원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와 모니터링을 위한 진보된 기술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농업유산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굴, 조사, 관리, 모니터링 방안과 지형도, 지적도, 항공 영상, 위성 영상, LiDAR 등 지리정보데이터를 사용한 농업유산의 조사 및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농업유산 자료가 다양한 관련 분야의 연구자에게 제공한다면 농업을 유산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방법론은 한국의 농업유산의 혁신과 보존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4,000원
        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농업에 관한 관심과 농촌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업유산을 보전·계승하고 지정과 개선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록화 방안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농업유산의 조사 및 기록 항목은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정 기준과 신청서 등으로부터 도출하였다. 농업유산의 발굴에서부터 지정에서의 업무분석을 통해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록내용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록 항목 간의 관계와 중복 및 농업유산과 관련한 주체, 대상, 행위 등을 고려하여 DB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농업유산 DB의 활용은 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정과 관리 단계를 준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농업유산 DB는 농업유산자원의 발굴과 지정, 관리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공장은 외부 환경요인에 관계없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통해 작물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켜 생산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은 엽채류 중 만추대 열풍적치마상추, 만추대 청치마상추, 그린 로메인상추, 그린골 양상추, 개량사또 쑥갓과 영진 청경채를 대상으로 식물공장에서 실험하였다. LED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원의 종류를 적색, 청색, 적색+청색, 적색+청색+백색, 적색+적외선 혼합광으로 구성하였다. 적색+청색 혼합광에서 적색과 청색의 조사기간 비율은 1 : 1, 2 : 1, 5 : 1, 10 : 1로 구성하였고, duty 비는 100%, 99%, 97%로 구성하였다. 광원의 종류에 따른 결과 로메인상추에서 지상부 건중량과 S/R 비는 R+B 혼합광에서 가장 높았고, 양상추의 지하부 건중량과 쑥갓의 S/R 비는 R+B+W 혼합광에서 높았지만, 나머지 종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적색과 청색의 조사기간 비율에 따른 결과 청치마상추, 양상추와 청경체는 지상부 건중량, 총 건중량, S/R비가 비교적 적색의 비율이 높은 조건 (5 : 1)에서 가장 높았다. duty 비에 따른 결과 R+B 혼합광에서 쑥갓은 100%와 99%, 로메인은 100%와 97%일 때 지상부와 지하부, 총 건중량이 높았다. S/R 비는 엽채류 6종 모두 duty 비가 낮은 97%에서 높게 나와 낮은 duty 비에서도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R+B+W 혼합광에서 청치마상추와 로메인상추 그리고 청경채는 duty 비는 낮은 97%에서도 비교적 높은 지상부 건중량 및 총 건중량을 보였다. 또한, 로메인 상추와 양상추의 S/R 비는 duty 비가 97%인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LED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공장에서 각 엽채류 별로 적절한 광원과 광질을 이용하면 외부 환경인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재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GIAHS의 동적보전과 순응적 관리의 총체적 관리접근법에 대한 견해를 토대로 우리나라 농업·농촌유산에 대한 관리와 적용 가능한 활용방안에 대해 언급하였다. 우리나라 농업·농촌유산에 대한 DB화(기록화)도모와 ‘지역농업·농촌유산’, ‘국가적 농업·농촌유산 후보지’, ‘국가 농업·농촌유산’으로 순차적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에의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최종적으로 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농업·농촌유산에대한 동적보전 및 사업계획의 방법으로 지방 유산제도 도입과 지방유산의 지정을 조장하기 위한 매뉴얼 등을 마련하여보급하는 것과 “농업·농촌유산자원해설사”와 “농업유산 지식체계의 전승자” 등 농업·농촌유산자원에 대한 보전·관리및 계승을 위한 제도 도입 병행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촌의 자연자원·경관자원·생태자원과 함께 통합적 관리를 위한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활용을 위한 관련법 제정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0년대 후반 이후 농촌관광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촌관광과 연관된 연구가 다방면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 가운데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구분하는 연구도 늘어나게 되었다.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대상 자체의 유형을 구분하는연구는 해당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초석을 만드는데 크게 기여해왔다.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구분하는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왔지만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채 전문가적 관점이나 통계적 유사성에 의거하여분류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실제 관광자원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체험 중심의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촌어메니티자원 DB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마을별 관광자원을 수집하고카드 분류법(card sorting test)을 실시하였다. 카드 분류법의 피조사자는 농촌관광의 경험이 있는 대학생 32명을 선정하여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농촌자원유형 분류를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 상위 항목에서는 ‘체험하기’,‘지역향토음식 먹기/만들기’, ‘숙박하기’, ‘주변관광/경관감상’, ‘레져 즐기기’, ‘예술활동하기’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하위항목에서는 상위항목의 ‘체험하기’에서만 분리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지역자원활용체험’, ‘자연체험’, ‘전통체험’, ‘수확/채집체험’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을 하는 관광자들의 만족도 제고와 관광자원에 대한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농촌관광자원 유형 분류는 농촌관광자원 및 지역자원을소개하기 위한 홍보자료 및 웹, 앱 메뉴 설정 등에 이용되는 등 향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시행되는 ‘농촌마을 리모델링 시범사업’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추진체계와 세부내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촌마을 리모델링 관련 연구는 현재까지 리모델링의 목적이나 기능에 따른 다양한 개념연구와 농촌주택, 마을쉼터, 공공시설 등과 같은 개별시설에 대한 규모와 배치기준 등에 대한 분야에 한정되어 있어종합적으로 농촌공간을 리모델링하는 계획 수립과 이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는 미흡한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농촌마을 리모델링 추진체계로 첫째,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의 준비단계, 즉 주민이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마을정비 방향 설정, 시설물형태, 위치배치 등 사업내용에 대한 토론이나 포럼을 거쳐 마을계획서작성을 하는 것, 둘째, 지자체에서 선정된 사업내용, 규모, 시기, 예산내역 및 예상성과 등을 검토하여 사업시행계획을수립하는 것, 셋째, 관련전문가들에 의해 공간 및 시설계획과 법제도 검토를 통해 농촌마을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현재 농촌마을 리모델링은 개별적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에서 마을공간에 대한 종합적 계획 방식으로변하고 있어 이를 위한 주민, 지자체, 전문가의 역할을 정의하여 리모델링 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추진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사업에 관련한 내용에 국한되어 수행되었으나 향후에는 농촌마을 리모델링의대상별 세부기준과 리모델링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경관은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을 대표한다. 문명화된 세계에서 진정한 자연경관은 찾아보기 힘들며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도 적은 지역에만 존재한다. 가장 오래된 대표적인 경관은 사람들이 경제, 생산의 가치 뿐 아니라 미적 자원으로서토지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최근까지도, 전세계적으로 토지의 농업생산성은 다른 어떤 것(미와 휴양, 회복의 가치 등) 보다도 주요한 관심사였으나이제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는 상황에서 농촌경관이 지닌 가치들은 상실될 위기에 처해졌다. 동시에,우리가 공공영역을 관리하고 개발하는 방법은 점점 더 명확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어떠한목적의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데 있어 경제적, 생태적 생산성과 지속가능성 등의 생태적 효과의 평가에 크게 의지한다.이러한 평가는 기후변화와 자원의 추출 등의 영향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는데는 적합하나,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데가장 큰 방해가 되는 문화적, 심리적인 경관의 장소애착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기술적 경관평가와 관리에는 두 가지관점이 있다.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는 경관평가 기법을 자연경관 가치의 체계적인 평가로부터발전시켜 왔으며 이것은 인간의 개입이 조화롭고 만족스러운 세계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유럽에서의경관은 문화적이고 사람이 체험하는 것으로, 평가에 있어 측정 가능한 가치보다는 문화적 산물과 장소애착의 역할을중요시 여겨 기술적 계획과의 연계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분석의 필요요소가 어느때보다도 광범위 해졌으며 정치적으로는커뮤니티부터 국가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민감한 이해집단을 포함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 두 가지 관점은 모두현대 계획의 의사결정 환경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과 자연경관의 평가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북아메리카와 유럽의 두 가지 관점에서 다루고 한국에서의 현대 농촌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적합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특히 미국의 주요 국가기관과 Scenic America 등 민간단체, 그리고 European Landscape Convention 의 경관 보호의 목적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4,200원
        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대상지는 경남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에 소재하고 있는 남사예담촌으로, 전통 농촌경관이 고스란히 보전되어 있는 전통문화마을이다. 남사예담촌의 원경은 양호하나 마을내 일부 돌담으로 가려진 한옥내부가 유휴지나 텃밭으로 이용․방치되어있거나, 돌담 보수처리가 원활하지 못하여 훼손된 경관을 보여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치되어 있는최소공간에 돌담, 마을안길, 전통놀이 시설물 등의 전통정원 요소를 도입하여 전통문화마을의 주거경관 및 환경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통정원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4,000원
        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purposes to make a GIS database of South Korea rural village forest. So we first tried to collect data of their geographic coordinates or location from the many references on the rural village forest. As the result, we collected locations of the 634 forests. Boundaries of the 462 forests could be made by using their satellite imagery. Finally we implemented GIS database of the 462 traditional rural village forest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surveyed 100 forests out of them. They were analyzed in the view of location, area, wood species, cultural assets and activities of inhabitants. These data can be used in the rural village planning and I look forward this database is helpful to preserve existing traditional rural village groves as a lasting legacy.
        1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contents of revision of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according to Landscape Law discussed in this study show that the urban landscape and rural landscape have a propulsion system which integrate them into the national landscape and manages through the landscape planning. Howeve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reflecting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re needed. Planning the landscape by generalizing the size of the population, administrative district, the surface area does not mee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Landscape Law that tries to establish differentiated local landscapes. Therefore, the association of professionals who can support and establish a propulsion system for landscape plann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urban landscape, the landscape committee is fulfilling the role, but none is available for the rural areas. This study is mostly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however, in the future, it is desirable to have selected pilot areas for different landscape types and review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the application and process, in order to establish the landscape guidelines for the rural landscape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