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브람스의 몇몇 피아노 작품의 창작에 자극을 주고 작품에 반영되어 있는 음악외적 대상으로서의 ‘시적(poetic) 요소’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브람스가 ‘절대음악의 전 형’으로 귀결되는 일련의 음악사회적·미학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후반 의 ‘절대음악 미학의 대표자’로 손꼽히는 한슬릭(Eduard Hanslick)과 브람스(Johannes Brahms)의 관계가 조망되고, 브람스 음악에 대한 한슬릭의 수용에서 드러난 모순점을 비판 적 시각으로 서술하면서 브람스 음악을 ‘절대음악의 전형’으로 자리매김하는 기존 음악사의 평가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시적 요소’가 음악적 프로그램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과제를 제기하였다.
        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프만(E. T. A. Hoffmann)의 《운디네》는 그의 가장 대표적인 음악작품으로서 당대에 대성공을 거두었지만, 지금은 거의 잊혀진 오페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운디네》의 양식적인 주요 특징을 고찰하여 그 음악사적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그리고 이에 연관하여 호프만이 여러 비평문을 통해 발표한 오페라에 관한 관점을 조망함으로써 국내 학계에 통용되고 있는 기악음악(교향곡)에 방점을 둔 호프만 음악미학을 수정·보완하는 시도를 하였다.
        3.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는 음악사상 가장 연구가 많이 되고 오늘날 까지 극단적인 찬사와 비난을 동시에 받으면서 논쟁의 한 복판에 서있는 인물이다. 본 논문 은 바그너에 관한 연구 중에서 현행 학계의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는 바그너의 반유대 주의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고, 그 첫 번째 단계로서 바그너의 반유대 주의의 원인과 배경을 다루었다. 논의의 전개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부각된 주요 주장과 사안 에 따라 첨예한 대립 중에 있는 주요 쟁점을 검증·정리하였다.
        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슈만의《4번 교향곡》(d단조, op. 120)은 “한 악장으로 구성된 교향곡”이라는, 그 이전까 지의 교향곡 문헌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슈만이 남긴 교향곡 중에서 가장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곡은 슈만 생존 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작 품의 1버전(1841년)과 2버전(1851년)에 대한 찬·반 논란이 팽팽한 가운데 그에 대한 배경 과 작품의 양식적 특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 행연구에서 도출된 주장들을 검증하고, 설명하며, 수정하면서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5.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ogreen21 is a national R&D program to gear up agro-biotechnologies mainly organiz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close cooperation with industrial-universities consortia for 10 years since the year 2001. The goals of the program are : 1) Development of indigenous and fundamental agrobiotechnologies and materials in Korea. 2) Promotion of practical use of agrobiotechnology on the basis of indigenous fundamental technology. 3) Provision of the foundation for agricultural industry using advanced technolog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ovel biomaterials with value-added functional traits. The program is composed of three phases to accomplish the goal for 10 years through the developmental stages as the time goes by. Final phase will be due on 2008 to 2010. The goal of the phase would be on promotion of product-based projects for industrialization of biotechnological outputs. The objectives of the phase will be put on : 1) bisafety assessment of Gm products and commerciliazation of transgenic plants, and 2) Certification of novel materials with high value including its promotion and commercialization. If we could have carried out this special project successfully, it would be expected 1) Realization of a strong nation with advanced agrobiotechnology by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science comparable to that of developed countries. 2) Transforming Korean agriculture into a high-tech and highly competitive industry with competitiveness. 3) Improving quality of rural life through reduction of labor power and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