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itial mass function (IMF) and star formation history of high-mass star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SMC) using a population synthesis technique. We used the photometric survey catalog of Lee (2013) as the observable quantitie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synthetic populations based on Bayesian inference. For the IMF slope (γ) range of -1.1 to -3.5 with steps of 0.1, five types of star formation models were tested: 1) continuous; 2) single burst at 10 Myr; 3) single burst at 60 Myr; 4) double bursts at those epochs; and 5) a complex hybrid model. In this study, a total of 125 models were tested. Based on the model calc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continuous model could simulate the high-mass stars of the SMC and that its IMF slope was -1.6 which is slightly steeper than Salpeter's IMF, i.e., γ=-1.35.
        4,500원
        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falfa (Medicago sativa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age legumes in the world. It has been demanded to establish the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in commercial varieties of alfalfa for forage molecular breeding and production of varieties possessing new characteristics. To approach this, genetic transformatio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nd modified. This work was performed to establish conditions for effective transformation of commercial alfalfa cultivars, Xinjiang Daye, ABT405, Vernal, Wintergreen and Alfagraze. GUS gene was used as a transgene and cotyledon and hypocotyl as a source of explants. Transformation efficiencies differed from 0 to 7.9% among alfalfa cultivars. Highest transformation efficiencies were observed in the cultivar Xinjiang Daye. The integration and expression of the transgenes in the transformed alfalfa plants was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histochemical GUS assay. These data demonstrate highly efficient Agrobacterium transformation of diverse alfalfa cultivars Xinjiang Daye, which enables routine production of transgenic alfalfa plants.
        4,000원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한 톨 페스큐 신품종 푸르미의 종자증식 기술개발과 종자생산성 및 채종짚의 사료가치 평가를 통해 종자생산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별 종자생산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차이는 약 2∼3일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종자수량의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9월 17일 파종이 692본/m2로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채종 종자의 천립중도 2g 내외로 발아율도 80~83%로 처리구간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채종 종자수량의 수량성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경우 1,711kg/ha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생산된 종자의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초 수량과 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파종시 각각 63,556kg/ha, 16,926kg/ha로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10일 간격씩 늦어질수록 건물수량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채종짚의 사료가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000원
        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erformed a BVR photometric survey for the entire Small Magellanic Cloud (~26 deg 2 ) with a mosaic system, Wide Field Imager (WFI), covering three seasons: September and October 2001 and November 2002. Through the usual data reduction procedures, we present ~0.73 million catalogue stars brighter than 19 magnitude in B amongst a total of ~1.3 million and compare them with published astrometry and photometry results. We found that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our and the published data are ~0.7 arcsec in astrometry and 0.065, 0.054, and 0.163 in B, V, and R, respectively, in photometry. In addition, using the 2dF spectroscopic data from Evans et al. (2004), we determined the color excesses in (B-V) and (V-R) to be 0.086±0.156, and 0.065±0.112, respectively, while for the distance modulus, we obtained 18.55±1.05.
        4,500원
        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solar eclipse record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of ancient Korea using astronomical calculations and numerical simulation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olar eclipses were actually observed at the well known capitals of the Three Kingdoms, I investigated the probabilities that the optimal observation areas of the Early Silla, Goguryeo, and Baekje records would appear around Chinese continent. I found higher probabilities than those suggested by Park and La (1994), although the numerical values are still low,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Early Silla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probability that the optimal observation area of the Later Silla records will be present around South Korea is only 13.6%, although the area shows a good match with the known capital. I also analyzed the number distribution of the eclipse records for the Three Kingdoms (except for the latter Silla's) according to the observers' locations: at the optimal observation areas and at the known capitals. And then I compared with the number distribution of all eclipses observable from those locations. From the χ2-test, I found that the Goguryeo and Baekje records had better representation of their population distributions at the latter regions (χ2=27.93 and 205.5) than at the former ones (χ2=34.19 and 211.5).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observers' location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either near China, as suggested by Park and La, or in the Korean peninsula, sol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hus recommended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real observers' locations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4,200원
        6.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朝鮮)시대 관상감(觀象監)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점산(占算), 측후(測候)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왕립기관이었다. 그 왕립기관은 학문에 따라 천문학(天文學), 지리학(地理學), 그리고 명과학(命課學) 세 개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 중 천문학 부서는 오늘날 지구과학의 학문 분야들과도 일맥상통하는 업무들을 수행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관상감의 직제와 시험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상감은 조선시대 왕립기관들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직제, 기능, 그리고 과거시험(科擧試驗)에 관한 규정들은 그 시대에 발간된 법전들에 법으로 명시되어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법전들, 관서지들, 그리고 실록(實錄)의 기록들에 대한 연구로부터, 먼저 우리는 관상감은 인원수의 규모면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 보다 더 큰 규모임을 알았다. 왜냐하면 관상감 인원의 추정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있어서는 서리(胥吏), 관노비, 장인(匠人)등과 같은 하급계층들은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관상감 관원이 되기 위한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내용에 있어서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첫 번째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관상감을 포함한 당시 예전(禮典)에 속했던 기관들의 과거시험에 적용되었던 몇 가지 시험 규정들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5,200원
        7.
        200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patial data integration for geoscientific applic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task of various geoscientific applications of GIS.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spatial interrelationship between input data layers and an integrated layer has not been considered fully and is in the development stage. Regarding this matter, we propose here, methodologies that account for the spatial interrelationship and spatial patterns in the spatial integration task, namely a multi-buffer zone analysis and a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a contingency table. The main part of our work, the multi-buffer zone analysis, was addressed and applied to reveal the spatial pattern around geological source primitiv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an integrated layer. Mineral potential mapping using multi-source geoscience data sets from Ogdong in Korea was applied to illustrate application of this methodology.
        4,300원
        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IS S/W의 지리정보 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수리지형 특성인자는 사면안정성 분석이나 하천환경 분석 등과 같은 다양한 수문학적 응용 연구의 기본적인 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GIS의 확장 프로그램들은 이러한 기본 정보 뿐 만 아니라, 이전에는 복잡한 정보처리과정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특성 정보들을 체계화되고 자동화된 과정을 통하여 손쉽게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S/W 수리응용 연구에서 확장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ArcView GIS S/W와 이를 기반으로 한 수리정보 분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예미지역(1:50,000)의 유수 및 지형인자를 추출하였으며, 여러 가지 매개변수를 통하여 사면안정도에 대한 평가분석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확장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얻은 정보들은 실제 정보와 높은 상관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현장에서의 직접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 대상지역내의 전반적인 사면안정도는 사면안정지수와 S-A Plot의 적용 결과로 이론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적용 방법은 실제측정치와 함께 수리지형 특성과 관계된 기타 지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4,000원
        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약: 수치지질도는 디지털 포맷으로 지리적인 정보와 연계된 공간 도형정보와 지질학적인 데이터베이스 속성정보를 갖는 지도로 정의가 가능하며, 지질정보의 수치 도면화와 지공간 정보처리가 가능한 두 가지 측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질 정보가 근본적으로 자연현상에 대한 실체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복합 대상체에 대한 해석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수치지질도 작업은 기존에 GIS의 주요 응용 분야인 도시정보시스템이나 지도 자동 도면화 등과 같이 인공지물을 다루는 방법을 바로 적용하는 경우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GIS 소프트웨어의 근간을 이루는 정보기술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GIS 활용분야의 확대에 따라 각 활용분야의 고유한 특성과 그에 따른 모델은 수치지질정보화에 대한 중요성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우선 지질 데이터 모델에 대한 주요한 개념을 설명하고 지질데이터 모델에 대한 그간의 선행연구와 접근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객체지향 모델링 방법의 핵심인 UML접근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험적인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통하여 재사용성을 고려한 개념적인 모델과 이에 상응하는 실용적인 시스템 개발 및 표준화 연구측면에서 기존 방식에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보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UML 접근방법을 통한 시스템 아키텍처와 이를 기반으로 한 지질정보시스템은 지구과학분야에서 GIS 활용을 위한 새로운 핵심적인 접근방식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4,800원
        10.
        201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Rigollet first discovered a comet in 1939, many follow-up observations have been made, particularly in Europe. It is now known that the Rigollet comet is identical with the one observed by Herschel in 1788, and thus it is now called 35P/1939 O1 or the Herschel-Rigollet comet. Yumi, a Japanese astronomer, also observed the Rigollet comet in Korea using a 6-inch refractor telescope, and published his data in two Japanese journals (Bulletin of the Observator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Publication of the Lecture on Meteorology). In his paper, Yumi also referred to observations by Hirose and Kanda in Japan. However, their works have not been given attention by international societ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observation data of Yumi and present preliminary orbital elements using it with a modified Gauss method.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to refine the orbital elements of the Rigollet comet by orbital-calculation experts. For that reason, we have also transcribed all the observational data presented by Yu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