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3

        18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사용되기 위한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분자량(600, 1,500, 2,000, 3,400)의 polyethylene glycol 양 끝단을 ethoxysilane기로 치환하여 전구체를 제조하였으며, 전구체간의 졸-겔 반응을 통하여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전해질막은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KI 및 I2로 도핑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원료로 사용한 PEG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는 분자량 2,000의 PEG를 사용한 전해질막에서 볼 수 있었다. 복합전해질막은 이온전도도에 있어서 큰 향상을 보였다. PEO 전해질막에 비하여 분자량 2,000의 PEG를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전해질막은 월등하게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였다.
        4,000원
        18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도성 고분자 중 안정성이 높은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박막을 제조하고 박막제조 방법에 따른 전기변색 특성을 연구하였다. PEDOT 박막은 전기중합법과 증기중합법에 의해 제조되었고, 두가지 방법 모두 도핑되지 않은 중성 상태에서 짙은 푸른색을 띠는 박막으로 제조되었다. 전기변색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와 Cyclic voltammetry가 사용되었으며, 산화/환원 시 표면은 AFM으로 관찰되었다. 전기 중합법으로 제조된 PEDOT 박막에 비해 증기중합에 방법에 의해 제작된 PEDOT 박막의 표면이 거칠기 50 nm 이내로 균일 하였다. 특히 증기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 변색 소재의 특성도 응답성 1.5초 이내, 49%의 투과율 차이, 402의 변색 효율을 보여 박막의 특성 향상으로 전기변색특성이 향상 된 결과를 보였다.
        4,000원
        183.
        2010.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n and Mg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u-Fe-P alloy were investigat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nsile strength,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softening,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precipitation phases in order to satisfy characteristic for lead frame material. It was observed that Cu-0.14wt%Fe-0.03wt%P-0.05wt%Si-0.1wt%Zn with Sn and Mg indicates increasing tensile strength compare with PMC90 since Sn restrained the growth of the Fe-P precipitation phase on the matrix. Howev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by adding addition of Sn and Mg because Sn was dispersed on the matrix and restrained the growth of the Fe-P precipitation. The size of 100 nm Mg3P2 precipitation phase was observed having lattice parameter a:12.01Å such that [111] zone ax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lead frame; so,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a substitution material for lead frame of Cu alloy.
        4,000원
        184.
        2010.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looked at high performance copper-based alloys as LED lead frame materials with higher electrical-conductivity and the maintenance of superior tensile streng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n the tensile strength,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softening,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precipitation phases when Cr was added in Cu-Fe alloy in order to satisfy characteristics for LED Lead Frame material. Strips of the alloys were produced by casting and then properly treated to achieve a thickness of 0.25 mm by hot-rolling, scalping, and cold-rollin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hardness and electrical-conductivity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To determine precipitates in alloy that affect hardness and electrical-conductivity, electron microscope testing was also performed. Cr showed the effect of precipitation hardened with a Cr3Si precipitation phase.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appropriate aging temperature and time have been determined and we have developed a copper-based alloy with high tensile strength and electrical-conductivity. This alloy has the possibility for use as a substitution material for the LED Lead Frame of Cu alloy.
        4,000원
        18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 chloride) (PVC)가지형 공중합체 전해질과 헤테로폴리산(HPA)을 이용하여 유무기 합성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poly(vinyl chloride)-g-poly(styrene sulfonic acid) (PVC-g-PSSA)는 PVC의 이차 염소의 직접적인 개시를 이용한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로 합성하였다. 이때, HPA 나노입자는 수소 결합을 통해 PVC-g-PSSA 가지형 공중합체와 결합하는 것을 FT-IR spectroscop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전해질막의 수소이온 전도도는 HPA의 질량 분율이 0.3이 될 때까지 상온에서 0.049에서 0.068 S/cm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HPA 나노입자 고유의 전도도와 가지형 공중합체가 가지고 있는 술폰산의 강화된 산도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합습률은 HPA의 질량 분율이 0.45까지 증가할수록 130에서 84%로 감소하였다. 이것은 HPA나노입자와 고분자 메트릭스 사이의 수소 결합의 상호작용 때문에 물을 흡수하는 site의 수가 감소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열중량 분석결과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해질막의 열적 안정성이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87.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vinyl chloride) (PVC) 주사슬과 poly(hydroxyethyl acrylate) (PHEA) 곁사슬로 구성된 빗살모양의 PVC-g-PHEA 공중합체를 원자전달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PVC-g-PHEA의 OH 그룹과 이미다졸 디카르복실릭산 (IDA)의 COOH 그룹과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가교된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인산(PA)을 도핑하여 이미다졸-인산 착체를 형성한 결과, PA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막의 수소 이온 전도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100도 비가습 조건에서 수소 이온 전도도는 최대 0.011 S/cm까지 증가하였다. 만능 재료 시험기(UTM) 측정결과, 제조된 PVC-g-PHEA/IDA/PA 전해질막은 575 MPa의 높은 Young 모듈러스 및 기계적 강도를 보여주었다. 열분석 결과(TGA) 전해질막은 200℃까지 열적으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91.
        2009.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moelectric power and resistivity are measured for the perovskite LaNi1-xTixO3 (x≤0.5) in thetemperature range 77K−300K. The measured thermoelectric power of LaNi1-xTixO3 (x≤0.5) increases linearlywith temperature and is represented by A+BT. The x=0.1 sample showed metallic behavior, the x=0.3showed metal and insulating transition around 150K, and x=0.5 showed insulating behavior the over thewhole temperature range.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x=0.1 shows linear temperature dependence over thewhole temperature range and T2 dependence.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x=0.3 shows alinear relation between lnρ and T−1/4 (variable range hopping mechanism) in the range of 77K to 150K. Forx=0.5,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resistivity is characteristic of insulating materials; the resistivity datawas fitted to an exponential law, such as ln(ρ/T) and T−1, which is usually attributed to a small polaronhopping mechanism. These experimental result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spin polaron (x=0.1) andvariable range hopping (x=0.3) or small polaron hopping (x=0.5) of an almost localized Ni3+ 3d polaron.
        4,000원
        192.
        200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development of a human body model for electric shock, electroconductive paints with carbon black as a filler material were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ume resistivities of thin films fabricated using the electroconductive paint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particle sizes and content of carbon black. With a carbon black particle size over 80 μm, agglomeration of carbon black powders was observed. The volume resistivity of the particles increased as the porosity increased and as the amount of carbon black decreased due to the agglomeration of carbon black powders. With a particle size of 4 μm and 20 μm, agglomeration of carbon black powders was not observed and their porosities were measured as 0.86% and 1.12% with volume resistivities of 20 Ω·cm and 80 Ω·cm respectively. A carbon black particle size of less than 20 μm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as a type of electric-shock electroconductive paint for a human body model.
        4,000원
        193.
        200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por phase polymerization of a conductive polymer on a SiO2 surface can offer an easy and convenient means to depositing pure and conductive polymer thin films. However, the vapor phase deposition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very poor adhesion as well as difficulty when patterning the polymer thin film onto an oxide dielectric substrate. For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patternability and adhesion of Poly(3-hexylthiophene) (P3HT) thin film to a SiO2 surface, the substrate was pre-patterned with n-octadecyltrichlorosilane (OTS) molecules using a μ-contact printing method. The negative patterns were then backfilled with each of three amino-functionalized silane self-assembled monolayers (SAMs) of (3-aminopropyl) trimethoxysilane (APS), N-(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EDA), and (3- 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DET). The qual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atterned P3HT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with optical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nd a four-point probe. The results exhibited excellent selective deposition and significantly improved adhesion of P3HT films to a SiO2 surface. In addition, the conductivity of polymeric thin films was relatively high (~13.51 S/cm).
        4,000원
        19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vinyl chloride) (PVC) 주사슬과 poly(hydroxyethyl acrylate) (PHEA) 곁사슬로 구성된 가지형 공중합체를 원자전달라디칼 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PVC의 2차 염소원자의 직접적인 개시반응에 의해 친수성인 PHEA 단량체를 그래프팅시켰다. 이렇게 합성된 PVC-g-PHEA을 술포석시닉산(SA)를 사용하여 가교시켰으며, 이는 가지형 공중합체의 -OH 그룹과 SA의 -COOH와의 에스테르 반응임을 FT-IR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온교환능(IEC)은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하여 증가하여 0.87 meq/g까지 도달하였고, 이는 전해질막에 이온 그룹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함수 율은 SA 함량이 20 wt%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또한 수소 이온 전도도도 SA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20 wt% SA 농도에서 0.025 S/cm의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 그룹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와 가교가 증가하는 효과가 서로 경쟁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4,000원
        19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work, the choice of the nano carbon black and optimum mixed ratio and effectiveness of the mixed carbon black to get a raw data for a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complex board. Optimum mixed ratio of paper sludge & water was 1 : 2.5 for reformations. HB-41-Y was cheaper than Super-P with the single carbon black. Also electric conductivity of HB-41-Y(6.406×10-2 Ωcm-1) was about 6.5 times higher than Super-P(9.741×10-3 Ωcm-1) at 20 wt% carbon black. This time optimum mixture ratio of the paper sludge and the carbon black to be about 15 wt%, optimum mixed ratio HB-41Y and Graphite about 3:1 and its electric conductivity was 5.824×10-2 Ωcm-1.
        4,000원
        19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스티렌-폴리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PS-b-PHEA) 디블록 공중합체와 폴리비닐알콜(PVA)을 1 : 1 무게비로 블렌딩하여 수소 이온 전도성 가교형 고분자 전해질막을 개발하였다. 특히 술포석시닉산(SA)를 사용하여 디블록 공중합체의 PHEA 블록과 PVA와 가교반응을 시켰고, 이를 FT-IR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온교환능(IEC)은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하여 증가하여 0.95 meq/g까지 도달하였고, 이는 전해질막에 이온 그룹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함수율은 SA 함량이 20 wt%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또한 수소 이온 전도도도 SA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20 wt% SA농도에서 0.024 S/cm의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함수율과 수소이온전도도의 이러한 경향은 S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 그룹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와 가교가 증가하는 효과가 서로 경쟁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4,000원
        198.
        2008.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drogen production via high high-temperature steam electrolysis consumes less electrical energy than compared to conventional low low-temperature water electrolysis, mainly due to the improved thermodynamics and kinetics at elevated temperaturetemperatures. The elementalElemental powders of Cu, Ni, and YSZ are were used to synthesize high high-temperature electrolysis cathodecathodes, of Ni/YSZ and Cu/YSZ composites, by mechanical alloying. The metallic particles of the composites were uniformly covered with finer YSZ particles. Sub-micron sized pores are were homogeneously dispersed in the Ni/YSZ and Cu/YSZ composites. In this study, The cathode materials were synthesized and their Characterizations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Cu/YSZ composite was measured improved compared tothan that of the Ni/YSZ composite. Slight A slight increase in the resistance can be produced for in a Cu/YSZ cathode by oxidation, but it this is compensated offset for by a favorabl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erefore, Cu/YSZ cermet can be adequately used as a suitable cathode material of in high high-temperature electrolysi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