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1

        18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여 가상현실 게임 환경에서 가상의 손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 이동과 가리키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상의 손을 게임 화면에 나타낸다.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은 가상의 손이 물건을 선택하고 옮기도록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비전 기반 손 인식 기법으로 먼저 RGB 컬러영역에서 HSV 컬러영역으로 입력영상을 변환하고 H, S 값에 대한 이중 임계값과 연결 요소 분석을 이용하여 손 영역을 분할한다. 다음으로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0, 1차 모멘트를 적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손 영역에 대한 무게 중심점을 구한다. 구해진 무게중심점은 손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며, 분할된 손 영역의 픽셀 집합 중 무게중심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픽셀들을 손가락의 끝점으로 인식한다. 마지막으로 무게중심점과 손 끝점에 대한 벡터를 통하여 손의 축을 구한다. 인식 안정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누적 버퍼를 이용한 떨림 보정과 경계상자를 이용한 처리 영역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의 방법은 기존의 비전 기술을 통한 손 인식 방법들에 비하여 별도의 착용 마커를 두지 않고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다양한 입력 영상들에 대한 실험 결과는 제안 기법으로 정확하게 손을 분할하고, 안정된 인식 결과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8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과 정서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P지적장애 생활시설 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2007년 3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매주 1회 금요일 총 38회 실시하였다. 손기능 평가 결과 악력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후 왼손이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손목 테스트의 경우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서행동 척도 평가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위항목 충동, 우울, 불안, 그리고 현실감 부재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손기능과 정서행동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186.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심리, 정서적 행동특성과 손기능 및 원예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9월 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주 2회씩(월요일,목요일) 총 22회 실시하였고, 6명을 대상으로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와 Purdue Pegboard 검사, 원예활동평가를 통해 원예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사회, 심리적 행동특성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 60.8점에서 실시 후 평균 72.5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실시 전 31.7점보다 실시 후 평균 27.0점으로4.7점 낮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여자 중학생의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 특성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손의 기민성을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오른손과 왼손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원예활동 평가에 있어서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응력 등 9개 세부영역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후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18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남자중학생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특성과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8월 23일부터 12월 21일까지주 5회씩 총 76회 실시하였고, 6명을 대상으로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와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원예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사회, 심리적 행동특성은 대상자 6명 전부 향상되었으며, 원예반학생보다 부족하고, 특히 눈과 손의 협응 운동 부류의 정교한 운동기능 수행능력은 더욱 낮으며, 지능이 낮을수록 운동기능이 떨어진다(송, 2003). 원예치료는 지적장애인의 직업적응에 있어서 운동지각능력, 체력 및 지각적 인식능력, 쓰기능력 등 신체적 능력향상에 효과적인데(노, 2000), 지적장애 학생의 손 기민성을 Purdue pegboard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양손 및 조립 기능이 향상되었다(김 등, 2005). 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 42.8에서 실시 후 평균 62.5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 평균 6.9점 높아져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손의 기민성을 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오른손, 왼손, 양손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19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e on hand function and cognitive ability of the old age with serious brain diseases. This study was intended for the inpatients in a geriatric ward, K hospital located in Gumi-si, Kyeongsangbuk-do, for dementia or cerebral apoplexy caused by brain diseases. Patients were divided to 7 of experimental group and 4 of control group. Horticulture program included flower arrangement in the first half and plant culture in the later half. As a result horticulture program test, Hand function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 on both hands from 57.42 to 82.57 (p=.001) on the right hand, from 62.50 to 90.58 (p=.001) on the left hand. Change of cognitive ability show as follow. Communicational problem and senile infirmity of the patients with serious brain diseases made many difficulties. The numeral value, therefore, did not show significant development due to high individual deviation. As a result, horticulture program is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 and hand function for the old age with serious brain diseases. Therefore, the more systematic horticulture program in the long view is expected to help the old age with serious brain diseases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and give them effective affect.
        19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동생활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가 손기능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악력 측정 결과 실험군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후 오른손과 왼손 모두 p<0.01수준에서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박스&블록테스트 평가결과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후 오른손은 p<0.05수준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고 왼손은 p<0.01수준에서 고도의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 측정결과 대조군은 실시 후 수치가 0.2점 감소한 반면 실험군은 2.0점 증가하였다. 감정균형 측정결과 실험군이 4.1점 증가하여 p<0.01수준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 대인관계 측정 결과 대조군은 실시 후 수치가 3.0점 감소한 반면 실험군은 수치가 1.2점 증가하였다.
        195.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ile increasing demand of the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people, assistiv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The natural signal of human such as voice or gesture has been applied to the system for assist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people. As an example of such kind of human robot interface, the Soft Remote Control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HWRS-ERC in KAIST[1]. This system is a vision-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 lamp and curtain.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of the system is the hand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The frequently occurred problems which lower the recognition rate of hand gesture are inter-person variation and intra-person variation. Intra-person variation can be handled by inducing fuzzy concept. In this paper, we propose multivariate fuzzy decision tree(MFDT) learning and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hand motion recognition. To recognize hand gesture of a new user, the most proper recognition model among several well trained models is selected using model selection algorithm and incrementally adapted to the user’s hand gesture. For the general performance of MFDT as a classifier, we show classification rate using the benchmark data of the UCI repository. For the performance of hand gesture recognition, we tested using hand gesture data which is collected from 10 people for 15 day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lassification and user adaptation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is better than general fuzzy decision tree.
        196.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는 안전한 해양레저 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두 가지 개인 휴대용 전자장치 개발 내용을 기술한다. 하나는 조난자를 신속히 민-관-군 동시 다발적으로 수색하기 위한 선박용 9GHz 대역의 일반 레이더 전파에 응답하는 레이더 응답장치이다. 다른 하나는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식별할 수 있는 900MHz 스펙트럼 확산 주파수 홉핑 방식의 송수신기와 GPS를 이용한 해상 무선식별장치 개념의 전자장치이다. 해양경찰 함정을 이용한 해상에서의 다양한 현장실험을 통하여 두 가지 장비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상용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197.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게임 시장에서 한층 강화된 몰입감을 부여하는 증강현실 기술 기반의 3D 게임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응용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게임의 구현 기법을 제시한다. 웹캠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특징점들의 움직임을 통해 추적 대상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된 행위를 인식한다. 손동작 추적으로부터의 움직임의 궤적의 형태와 메뉴나 가상객체 위치 관계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된 움직임을 신뢰성있게 판단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의 우수성 입증을 위해 두 개의 증강현실 응용 시스템을 구현하고 인식의 정확도를 실험하였다. 응용으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해 동작하는 뮤직플레이어와 사용자가 위치한 현실공간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내에서 가상농구게임을 개발하였다. 뮤직플레이어에서는 사용자가 손동작으로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가상농구게임에서는 가상의 공이 가상공간에 추가되고 이를 사용자가 물리공갈에서 직접 손을 움직여서 가상의 공과 상호작용한다. 사용자의 움직임 인식에 대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의 사용자에 대해서 평균 94%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급격한 움직임의 사용자에 대해서는 약 84%의 정확도를 보였다.
        198.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에는 2,100종류의 식물이 자라고(양과 송, 2002)있으나, 근래에 소황금(Scutellaria orthocalyx)이 확인되어 한국 미기록 식물로 보고하는 바이다.